•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설문 결과의 분석

ꊲ 수도권관리 및 지역균형발전에 관한 사항 ꊳ 방재․ 안전/환경 및 지속 가능한 발전에 관한 사항 ꊴ 국가경쟁력 강화/국토개발/시민참여 등에 관한 사항

제2장 조사결과 분석 13

제 2 장 조 사 결 과 분 석

1. 응답자의 특성

전국의 20세 이상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실시한 국민여론조사의 응답자는 총 1,500 명으로 남성과 여성이 각각 50.0%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20대가 전체 응답자의 28.9%, 30대가 28.4%, 40대가 22.0%, 그리고 50대 이상이 20.7%의 구성비를 보이고 있다.

<그림 2-1> 연령대별 응답자 특성 분포 (N=1,500)

20 대 29%

30 대 28%

40 대 22%

50대 이상 21%

응답자의 교육수준별 특성을 살펴보면, 중졸이하가 전체 응답자의 8.9%를 차지하며, 고 졸이 38.1%, 그리고 대재 이상이 53.0%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림 2-2> 교육수준별 응답자 특성 분포 (N=1,500)

중졸이하 9%

고졸 38%

대재 이상 53%

14

직업별로는 농림어업 종사자가 전체 응답자의 1.7%를 차지하며, 자영업자가 13.3%, 육 체노동자(블루칼라)가 21.1%, 사무직 종사자가 32.9%, 가정주부가 16.4%, 그리고 학생․

무직․기타가 14.6%의 구성비를 보이고 있다.

<그림 2-3> 직업별 응답자 특성 분포 (N=1,500)

농림어업 2%

블루칼라 21%

화이트칼라 33%

가정주부 16%

학생,무직, 기타

15% 자영업

13%

응답자의 월평균 가계소득별 특성을 보면, 월 100만원 미만 소득자가 9.3%를 차지하며, 월 100~200만원 미만이 32.3%, 월 200~300만원 미만이 28.2%, 그리고 월 300만원 이 상이 30.2%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 외에도 응답자의 거주지역별 분포는 대 도시 거주자가 47.4%, 중소도시 거주자가 44.1%, 그리고 군지역 거주자가 8.5%의 비율 로 나타났다.

<그림 2-4> 월평균 가계소득별 응답자 특성 분포 (N=1,500)

200-300 만원 미만 28%

100만원 이상 300만원 9%

이상 30%

100-200 만원 미만 33%

제2장 조사결과 분석 15

<표 2-1> 응답자의 특성 요약표

구 분 빈도(명) 비율(%)

1,500 100.0

성 별 남 성 750 50.0

여 성 750 50.0

연령대

20 대 434 28.9

30 대 426 28.4

40 대 330 22.0

50대 이상 310 20.7

교육수준

중졸이하 134 8.9

고 졸 572 38.1

대재 이상 794 53.0

직 업

농림어업 25 1.7

자 영 업 199 13.3

블루칼라 317 21.1

화이트칼라 493 32.9

가정주부 247 16.4

학생, 무직, 기타 219 14.6

월평균 가계소득

100만원 미만 140 9.3

100-200만원 미만 484 32.3

200-300만원 미만 423 28.2

300만원 이상 453 30.2

지역특성

대 도 시 711 47.4

중소도시 662 44.1

군 지 역 127 8.5

권역1

수 도 권 708 47.2

강 원 권 48 3.2

충 청 권 150 10.0

호 남 권 168 11.2

대구, 경북권 164 11.0

부산, 경남권 245 16.3

제 주 권 17 1.1

권역2 수 도 권 708 47.2

비수도권 792 52.8

16

2. 설문 결과의 분석

ꊱ 생활환경 및 기반시설에 관한 사항

1 현재 생활 만족 여부

질 문 ○○님께서는 현재의 생활에 만족하십니까, 만족하지 않으십니까?

국민들이 생각하고 있는 현재 생활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이라는 응답이 42.8%로 가장 높고, 이어서 만족 31.4%(매우만족 3%+대체로 만족 28.4%), 불만족 25.8%(매우 불만족 4.9%+대체로 불만족 20.9%)의 순서로 나타나고 있으며, 현 생활에 대해 ‘보통’ 이상이라 고 응답한 비율이 전체의 74.3%를 차지하여 국민다수가 긍정적인 생활만족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그림 2-5> 현재 생활 만족도 (N=1,500)

3.0

28.4

42.8

20.9

4.9

매우 만족 대체로 만족 보통 대체로 불만족 매우 불만족

응답자 특성별로 살펴보면, 남성(25.8%)보다는 여성(37.1%)이, 직업별로는 가정주부 (45.4%)가, 소득별로는 300만원 이상의 고소득층(40.8%)이, 지역별로는 중소도시 (33.1%) 거주자가, 권역별로는 수도권(35.8%)과 강원권(43.8%)에서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제2장 조사결과 분석 17

높게 나타나고 있다.

반면, 연령대가 높을수록, 학력과 소득이 낮아질수록 불만족도가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직업별로는 농림어업(56.0%) 종사자, 지역별로는 수도권보다는 비수도권 (27.4%)에서 불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표 2-2> 현재 생활 생활만족도

구 분

만족

보통

불만족 매우

만족 (A)

대체로 만족

(B)

(A)+(B)

대체로 불만족

(C)

매우 불만족 (D)

(C)+(D)

전 체 빈도 (명) 45 426 471 643 313 73 386 1500

비중 (%) 3.0 28.4 31.4 42.8 20.9 4.9 25.8 100.0

연령대

20대 1.6 32.3 3.9 49.3 13.8 3.0 16.8 100.0

30대 3.7 26.8 30.5 44.6 20.9 4.0 24.9 100.0

40대 1.8 27.0 28.8 41.2 23.6 6.4 30.0 100.0

50대 이상 5.2 26.8 32.0 33.2 27.7 7.1 34.8 100.0

학력

중졸이하 9.0 26.9 35.9 32.0 25.4 6.7 32.1 100.0

고졸 2.3 23.6 25.9 44.4 24.3 5.4 29.7 100.0

대재 이상 2.5 32.1 34.6 43.6 17.6 4.2 21.8 100.0

직업

농림어업 - 8.0 8.0 36.0 40.0 16.0 56.0 100.0

자영업 2.5 22.1 24.6 43.7 25.6 6.1 31.7 100.0

블루칼라 1.6 22.7 24.3 45.7 23.7 6.3 30.0 100.0

화이트칼라 2.2 27.1 29.3 48.1 18.5 4.1 22.6 100.0

가정주부 6.5 38.9 45.4 32.8 19.0 2.8 21.8 100.0

학생, 무직, 기타 3.7 35.6 39.3 38.4 17.8 4.5 22.3 100.0

지역 특성

대도시 1.8 28.8 30.6 44.7 19.6 5.1 24.7 100.0

중소도시 4.2 28.9 33.1 42.3 20.5 4.1 24.6 100.0

군지역 3.2 23.6 26.8 35.4 29.9 7.9 37.8 100.0

권역 분류

수도권 3.5 32.3 35.8 40.3 19.4 4.5 23.9 100.0

강원권 2.1 41.7 43.8 45.8 10.4 - 10.4 100.0

충청권 0.7 25.3 26.0 41.3 26.0 6.7 32.7 100.0

호남권 3.0 19.6 22.6 49.4 19.7 8.3 28.0 100.0

대구,경북권 3.7 22.5 26.2 40.9 28.6 4.3 32.9 100.0

부산,경남권 2.9 26.5 29.4 47.3 19.2 4.1 23.3 100.0

제주권 - 23.5 23.5 47.1 29.4 - 29.4 100.0

18

1-1 불만족 사항

질 문 현재의 생활에서 어떤 것이 가장 만족스럽지 못하다고 생각하시는지 요?

현재 생활에 만족하지 않는다는 응답자를 대상으로 불만족한 분야를 질문한 결과, ‘물 가’가 27.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직장(17.1%), 교육문화(16.3%), 주택 (11.7%), 교통(9.1%), 환경(7.3%), 의료복지(5.4%)의 순서로 나타나 물가, 직장, 주택 등 경제문제와 관련한 불만족이 전체의 56%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응답자 특성별로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물가’에 대한 불만족도가 높은 가운데 직업별로 는 학생・무직・기타종사자는 직장(24.5%)문제에 대해서, 소득별로는 200-300만원층에서는 교육문화(25.5%) 부문에 대해서, 권역별로는 강원권에서는 직장(40.0%)과 교육문화 (40.0%), 부산․경남권에서는 직장(29.8%), 제주권에서도 직장(60.0%) 문제가 가장 중요한 불만족 사항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두 번째 불만족하고 있는 사항에서는, 30대와 가정주 부는 교육문화에 대해서, 자영업과 소득 100만원 미만, 그리고 비수도권에서 직장문제에 대해 불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림 2-6> 생활 불만족 사항 (N= 386)

11.7

17.1 16.3 9.1

5.4

27.2 0.5

7.3 1.3

0.5 기타 3.6

재해방지 치안 환경 , 하수도 물가 의료, 복지 교통 교육, 문화 직장 주택

한편, 불만족한 분야에 대한 응답자분포를 살펴보면; ①주택문제에 대해서는 농림어업

제2장 조사결과 분석 19

(21.4%), 수도권(18.9%), 제주권(20.0%)에서, ②직장문제에 대하여는 20대(24.7%), 소득 100만원 미만층(25.0%), 제주(60.0%), 강원(40.0%), 부산경남(29.8%), 충청권(24.5%), ③ 교육문화문제에 대해서는 여성(21.1%), 30대(24.5%), 가정주부(27.8%), 소득 200-300만 원층(25.5%), 군지역(3.3%), 강원권(40.0%)에서, ④교통문제는 비수도권보다는 수도권 (14.2%)에서, ⑤의료복지문제에 대해서는 농림어업(14.3%), 부산․경남권(10.5%)에서, ⑥ 물가에 대하여는 중졸이하(44.2%), 농림어업(25.7%), 자영업(34.9%), 블루칼라(33.7%), 소득 100만원 이하(38.5%), 대구․경북권(44.4%)에서, ⑦환경문제는 50대 이상(12.0%)과 학생・무직・기타 직업군(14.3%)에서 각각 불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표 2-3> 생활불만족 사항

구 분 주택 직장 교육,

문화 교통 의료,

복지 물가 상,하

수도 환경 치안 재해

방지 정보

통신 기타

전 체 빈도(명) 45 66 63 35 21 105 2 28 5 2 - 14 386

비중(%) 11.7 17.1 16.3 9.1 5.4 27.2 0.5 7.3 1.3 0.5 - 3.6 100.0

연령대

20대 6.9 24.7 16.4 12.3 2.7 19.2 1.4 9.6 2.7 - - 4.1 100.0 30대 17.0 10.4 24.5 5.7 8.5 26.4 - 2.8 0.9 1.0 - 2.8 100.0 40대 11.1 18.2 19.2 8.1 3.0 30.3 1.0 5.1 1.0 - - 3.0 100.0 50대 이상 10.2 17.6 5.6 11.1 6.5 30.6 - 12.0 0.9 0.9 - 4.6 100.0

학력

중졸이하 4.7 18.6 4.6 2.3 9.3 44.2 - 9.3 - - - 7.0 100.0 고졸 12.3 15.9 15.9 5.9 3.5 32.9 1.2 8.8 0.6 0.6 - 2.4 100.0 대재 이상 12.7 17.9 19.7 13.9 6.4 17.3 - 5.2 2.3 0.6 - 4.0 100.0

직업

농림어업 21.4 14.3 - - 14.3 35.7 - 7.2 - - - 7.1 100.0 자영업 6.4 20.6 11.1 4.8 7.9 34.9 1.6 7.9 - - - 4.8 100.0 블루칼라 10.5 15.8 13.7 11.6 5.3 33.7 1.0 5.3 2.1 - - 1.0 100.0 화이트칼라 14.4 17.1 19.9 13.5 5.4 18.0 - 5.4 1.8 - - 4.5 100.0 가정주부 14.8 9.3 27.8 1.9 3.6 29.6 - 7.3 1.9 1.9 - 1.9 100.0 학생, 무직, 기타 8.2 24.5 12.3 10.2 2.0 20.4 - 14.3 - 2.0 - 6.1 100.0

지역 특성

대도시 12.6 20.0 15.4 10.3 4.6 23.4 - 8.0 2.3 1.1 - 2.3 100.0 중소도시 12.9 16.0 12.9 9.8 5.5 30.7 0.6 6.1 0.6 - - 4.9 100.0 군지역 4.2 10.4 31.2 2.1 8.3 29.2 2.1 8.3 - - - 4.2 100.0

권역 분류

수도권 18.9 9.5 14.8 14.2 4.7 23.7 - 8.3 1.8 0.6 - 3.5 100.0

강원권 - 40.0 40.0 - - 20.0 - - - - - - 100.0

충청권 4.1 24.5 14.3 8.2 6.1 34.7 2.0 4.1 - - - 2.0 100.0 호남권 10.6 17.0 21.3 4.3 8.5 27.6 - 6.4 - - - 4.3 100.0 대구,경북권 1.9 14.8 18.5 3.7 - 44.4 - 9.3 3.7 - - 3.7 100.0 부산,경남권 7.0 29.8 15.7 5.3 10.5 15.8 1.8 7.0 - 1.8 - 5.3 100.0

제주권 20.0 60.0 - - - 20.0 - - - - - - 100.0

20

2 주거지 선택시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사항

질 문 ○○님께서는 주거지를 선택하실 때, 어떤 점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십니까?

국민들이 주거지를 선택할 때 환경(30.5%)을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조사되 었으며 다음으로는 자녀교육(19.6%), 직장(17.4%), 교통(16.5%), 문화 및 복지서비스 (7.0%), 주택(5.6%)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응답자 특성별로 살펴보면, 환경에 대한 고려는 연령별로는 20대(29.3%)와 50대이상 (51.3%)이, 지역별로는 대구․경북권과 제주권을 제외한 전지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학력과 소득수준별로는 큰 차이가 없었다. 반면에 자녀교육을 우선적으로 고려하 는 것은 연령대별로는 40대(32.7%)와 30대(28.4%)에서, 직업별로는 가정주부(31.2%)가, 지역유형별로는 군지역(30.7%)에서, 그리고 권역별로는 제주권(35.3%)과 대구․경북권 (27.4%)에서 환경보다 ‘자녀교육’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2-7> 주거지 선택시 우선적 고려요인 (N=1,500)

17.4 19.6 5.6

16.5 7.0

30.5 1.4

0.8 기타 1.2 부모봉양 치안 및 재해안전 환경 문화복지서비스 교통 주택 자녀교육 직장

한편, 주거지 선택시 각 고려요인별 응답자특성을 살펴보면;

①직장은 20대(23.3%), 화이트칼라(23.1%), 제주권(35.3%), 비수도권(20.6%)에서

②자녀교육은 40대(32.7%), 30대(28.4%), 고졸(23.3%), 가정주부(31.2%), 군지역(30.7%),

제2장 조사결과 분석 21

대구․경북권(27.5%)에서

③주택은 100만원 이하 소득층(10.0%), 제주권(11.8%), 충청권(10.7%)에서

④교통은 20대(23.0%), 중졸이하(22.4%), 학생무직기타(21.5%), 대도시(20.5%)에서

⑤복지서비스는 강원권(14.6%)에서

⑥환경은 50대 이상(41.3%), 학생무직기타(36.1%), 학력과 소득수준에 관계없이, 지역별 로는 대구․경북권과 제주권을 제외한 전지역에서, 비수도권보다는 수도권(35.3%)에서 매 우 높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치안 및 재해안전, 부모봉양은 주거지 선택시 중요하게 고려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 2-4> 주거지 선택시 고려요인

구 분 직장 자녀

교육 주택 교통 문화복지

서비스 환경 치안 및 재해안전

부모

봉양 기타

전 체 빈도 (명) 261 294 84 247 105 457 21 12 19 1500

비중 (%) 17.4 19.6 5.6 16.5 7.0 30.5 1.4 0.8 1.2 100.0

연령대

20대 23.3 5.3 7.6 23.0 9.7 29.3 0.7 0.2 0.9 100.0 30대 18.8 28.4 3.5 12.9 5.6 27.2 1.6 1.0 1.0 100.0 40대 14.2 32.7 4.6 13.0 5.5 26.1 1.5 1.2 1.2 100.0 50대 이상 10.6 13.5 6.8 15.8 6.8 41.3 1.9 1.0 2.3 100.0

학력

중졸이하 10.5 18.7 8.2 22.4 8.2 24.6 1.5 2.2 3.7 100.0 고졸 20.1 23.3 5.9 15.7 4.9 26.8 1.2 0.5 1.6 100.0 대재 이상 16.6 17.2 4.9 16.0 8.3 34.1 1.5 0.8 0.6 100.0

직업

농림어업 20.0 20.0 8.0 16.0 - 20.0 - 4.0 12.0 100.0 자영업 15.1 23.1 6.0 14.6 6.0 30.2 2.5 1.0 1.5 100.0 블루칼라 18.0 22.4 7.3 18.3 6.0 25.2 0.6 1.3 0.9 100.0 화이트칼라 23.1 16.0 3.9 14.8 6.3 32.9 1.4 0.6 1.0 100.0 가정주부 8.9 31.2 4.1 14.6 8.9 28.7 1.6 0.4 1.6 100.0 학생, 무직, 기타 15.1 7.2 8.1 21.5 9.6 36.1 1.4 0.5 0.5 100.0 지역

특성

대도시 14.1 16.6 6.6 20.5 5.5 33.2 2.0 0.7 0.8 100.0 중소도시 19.3 20.7 4.8 13.9 8.8 29.3 0.9 0.8 1.5 100.0 군지역 26.0 30.7 3.9 7.1 6.3 21.3 0.8 1.6 2.4 100.0

권역 분류

수도권 13.6 17.7 5.2 19.1 5.5 35.3 2.0 0.8 0.8 100.0 강원권 14.6 14.6 4.2 16.7 14.6 33.2 - - 2.1 100.0 충청권 18.7 18.0 10.7 16.0 6.7 26.0 0.6 0.6 2.7 100.0 호남권 20.8 25.0 6.6 10.1 7.1 26.2 2.4 0.6 1.2 100.0 대구,경북권 20.7 27.5 3.7 13.4 8.5 22.6 1.2 1.2 1.2 100.0 부산,경남권 22.4 19.2 4.1 15.9 9.0 27.4 - 0.8 1.2 100.0

제주권 35.3 5.9 11.8 11.8 5.9 23.6 - - 5.9 100.0

22

3 주거지로 선호하는 지역

질 문 만일, ○○님께서 이사를 하시거나 주거지를 선택하게 된다면 다음 중 어느 지역을 가장 선호하십니까?

주거지로 가장 선호하는 지역은 서울 이외의 수도권이 29.8%로 가장 높으며 다음으로 서울(21.7%), 광역시(19.8%), 지방중소도시(11.5%), 지방중심도시(9.6%), 농어산촌

(6.4%)의 순서로 나타나고 있다.

<그림 2-8> 주거지로 선호하는 지역 (N=1,500)

21.7

29.8

19.8

9.6

11.5

6.4

1.2

서울 수도권 광역시 지방중심도시지방중소도시 농어산촌 기타

응답자 특성별로 살펴보면, 학력별로는 대재 이상(27.6%)이 서울을, 직업별로는 농림어 업(28.0%)종사자는 농어산촌을, 지역계측별로는 대도시(32.1%)에서는 서울을, 군지역 (21.3%)에서는 지방 중소도시를 선호하며, 권역별(수도권/비수도권)로는 비수도권(36.4%) 에서 광역시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서울에 대한 선호도가 전반적으로 높은 가운데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보 다 교육여건이나 생활편의시설, 구직여건이 더 나은 도시지역을 선호하는 결과로 해석된 다. 한편, 학력과 소득이 높아질수록 서울에 대한 선호도가 높으며 20대(28.8%)와 학생층 (31.1%), 수도권(34.9%)응답자가 상대적으로 서울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제2장 조사결과 분석 23

<표 2-5> 주거지로 선호하는 지역

구 분 서울 서울외

수도권 광역시

지방 중심도

지방 중소도

농ㆍ어ㆍ산

기타

전 체 빈도 (명) 326 447 297 144 173 96 17 1500 비중 (%) 21.7 29.8 19.8 9.6 11.5 6.4 1.2 100.0

연령대

20대 28.8 29.7 18.2 10.6 8.5 3.5 0.7 100.0 30대 23.0 25.1 26.1 9.9 10.7 4.0 1.2 100.0 40대 17.0 26.4 21.8 9.1 16.7 7.9 1.1 100.0 50대 이상 15.2 39.9 11.3 8.4 11.3 12.3 1.6 100.0

학력

중졸이하 3.7 45.5 10.5 9.0 13.4 14.9 3.0 100.0 고졸 17.8 29.7 19.9 9.8 13.1 8.1 1.6 100.0 대재 이상 27.6 27.2 21.3 9.6 10.1 3.8 0.4 100.0

직업

농림어업 20.0 8.0 4.0 12.0 16.0 28.0 12.0 100.0 자영업 15.6 26.1 23.6 7.5 14.6 11.6 1.0 100.0 블루칼라 15.5 24.3 22.6 10.7 18.0 7.6 1.3 100.0 화이트칼라 22.7 30.8 21.1 11.0 9.5 4.1 0.8 100.0 가정주부 24.7 36.0 18.6 8.5 7.3 4.1 0.8 100.0 학생, 무직,

기타 31.1 34.2 12.3 7.8 8.2 5.5 0.9 100.0

지역 특성

대도시 32.1 25.2 26.4 5.2 5.2 4.8 1.1 100.0 중소도시 12.5 36.9 13.6 12.5 16.5 7.2 0.8 100.0 군지역 11.8 18.9 15.0 18.9 21.3 11.0 3.1 100.0

권역 분류

수도권 34.9 52.3 1.3 2.3 5.2 3.5 0.6 100.0 강원권 22.9 18.7 2.1 20.8 29.2 4.2 2.1 100.0 충청권 4.0 11.4 22.7 23.3 22.0 13.3 3.3 100.0 호남권 12.5 10.1 17.9 18.4 27.4 11.9 1.8 100.0 대구,경북권 11.0 10.4 54.3 9.7 10.4 4.2 - 100.0 부산,경남권 9.4 6.9 54.3 10.2 8.6 9.0 1.6 100.0

제주권 - - 5.9 64.7 29.4 - - 100.0

24

4 노후 주거공간으로 선호하는 주택유형

질 문 ○○님께서는 노후에 거주할 공간으로 어떤 형태의 주택을 가장 선호하십니까?

노후에 거주할 공간으로 가장 선호하는 주택유형에 대한 질문에서는 전원주택이 59.1%

로 가장 선호도가 높으며, 다음으로 단독주택이 20.3%, 아파트는 12.2%(고층 7.4%, 저층 4.8%), 실버타운 6.1%의 순서이며, 연립다세대주택은 1.5%의 낮은 선호도를 보이고 있 다. 전체적으로 공동주택 선호도 13.7%(아파트 12.2%, 연립 등 1.5%)에 비해 단독거주 형태의 주택유형에 대한 선호도(79.1%)가 압도적으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림 2-9> 노후 주거공간으로 선호하는 주택유형 (N=1,500)

0.8

20.3

59.1 6.1

7.4 4.8 1.5

단독주택 전원주택 실버타운 고층아파트 저층아파트 연립, 다세대주택 기타

응답자 특성별로는, 전원주택에 대해서는 연령이나 소득수준, 그리고 지역특성에 관계없 이 가장 선호도가 높으며, 학력이 높을수록, 비수도권보다는 수도권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향후 수도권을 비롯하여 특히 도시지역에서 전원주택에 대한 수요를 고려한 주택공급이 적절히 이루어져야 할 것임을 시사한다. 단독주택에 대해서는 학력별 로는 중졸이하(38.1%), 직업별로는 농림어업(40.0%), 권역별로는 제주(41.2%)에서 선호도 가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어, 현재 단독주택에서 거주하고 있거나 농어촌 지역의 거주자 가 단독주택을 선호하는 것으로 보인다.

제2장 조사결과 분석 25

<표 2-6> 노후 주거공간으로 선호하는 주택유형

구 분 단독주

전원주

실버타

고층 아파

저층 아파트

연립, 다세대 주택

기타

전 체 빈도 (명) 305 887 91 111 72 23 11 1500 비중 (%) 20.3 59.1 6.1 7.4 4.8 1.5 0.8 100.0

연령대

20대 18.7 62.4 6.2 8.8 1.8 1.9 0.2 100.0 30대 18.3 62.0 5.2 6.7 5.2 1.9 0.7 100.0 40대 19.1 63.9 5.8 5.2 3.3 1.8 0.9 100.0 50대 이상 26.8 45.5 7.4 8.7 10.0 0.3 1.3 100.0

학력

중졸이하 38.1 31.3 5.2 11.2 10.5 0.7 3.0 100.0 고졸 22.4 57.5 6.6 6.0 4.7 2.3 0.5 100.0 대재 이상 15.9 65.0 5.8 7.8 3.9 1.1 0.5 100.0

직업

농림어업 40.0 36.0 12.0 - 4.0 - 8.0 100.0 자영업 24.6 63.3 6.6 3.5 1.0 - 1.0 100.0 블루칼라 24.0 59.0 5.4 5.7 3.2 2.5 0.2 100.0 화이트칼라 17.8 63.9 3.7 7.7 4.9 1.6 0.4 100.0 가정주부 14.2 53.1 10.1 10.1 10.5 1.2 0.8 100.0 학생, 무직,

기타 21.5 54.3 6.9 10.5 4.1 1.8 0.9 100.0

지역 특성

대도시 18.0 61.5 5.8 6.9 5.3 1.5 1.0 100.0 중소도시 20.2 56.8 6.8 9.1 5.0 1.7 0.4 100.0 군지역 33.8 58.3 3.9 1.6 0.8 0.8 0.8 100.0

권역 분류

수도권 16.8 60.9 5.5 8.2 6.9 1.1 0.6 100.0

강원권 22.9 47.9 18.8 2.1 8.3 - - 100.0

충청권 34.6 47.3 4.7 6.0 2.7 2.0 2.7 100.0 호남권 25.0 61.3 4.7 3.6 1.8 3.6 - 100.0 대구,경북권 20.1 61.6 3.1 11.6 1.8 1.2 0.6 100.0 부산,경남권 16.7 62.5 9.0 6.1 3.7 1.2 0.8 100.0

제주권 41.2 29.4 5.9 17.6 - 5.9 - 100.0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