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설문지 구성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1-64)

비스의 효과 등 9개 문항으로 구성했다. 서비스 제공자와 주민과의 관계는 공무원의 친절도, 능력, 의사소통 등을 포함한 6개 문항을 설정하였다. 서비스 환경은 건물 설 비, 지리적 접근성 등 3개의 문항을, 주민 권리 차원에서는 참여권한 명시, 더 나은 선택권 유무, 정당한 시정요구 절차 등 4개 문항을 구성하여 측정하였다. 인구감소와 저성장에 대한 인식은 저출산, 고령화, 사회적 비용 부담, 인구유출과 귀농인구, 지역 소멸에 대한 위기감 등을 5점 척도를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인구 감소 지역의 주민이 공공서비스를 이용하면서, 지역에 계속 거주하기 위해서는 공공서비스 시설이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알아야 한다. 이를 위해 보가더스(Bogardus)의 사회적 거리 척도 를 활용하여 중요도를 측정했다. 공공서비스 시설은 교육시설, 보육시설, 사회복지시 설, 보건의료시설, 안전 및 긴급구조시설, 생활체육기능시설, 커뮤니티 센터, 공공행정 기능 시설, 문화 및 여가시설, 쇼핑 및 상업시설·편의시설, 금융시설 총 11개로 구분했 다. 이러한 각각의 공공서비스 시설은 각 시설들이 ‘도보 10분이내’, ‘읍내’, ‘같은 군’,

‘인접한 타 군지역’, ‘전남 도 내’로 서열화 하여 응답하게 하였다. 11개 공공서비스 시설 중 인구감소로 마을이 소멸된다면 마지막까지 존재해야 할 기능이 무엇인지를 알 아보는 다중응답 질문을 추가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재 거주지역의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배후지가 소멸되고, 농촌 중심지의 기능과 구조가 재정비 되어야 한다고 하 면 농촌중심지, 즉 거점의 형태와 배치는 어떤 방식으로 변화되어져 하는지를 알아보 기 위해 内藤信広(2017)와 瀬戸ロ剛 등(2014)의 연구에서 활용된 정비방향의 다섯 가 지를 예시(거점형성 이주촉진형, 거점형성 지역연계형, 지구 내 자립형, 도시 내 교통 망 구축형, 광역연계형)하여 그 선호도를 조사했다.

구분 측정지표 Cronbach’s Alpha

인구통계학적 특성 성별, 연령, 교육수준, 직업, 월 소득,

거주년 수, 가족 수 및 자녀 수 -농촌중심지 기능

이용관련

본인과 자녀의 지속거주의사12),

농촌중심지 공공서비스 이용실태

-주민 삶의 질과 관련된 중심지 기능 영역별

중요도(46문항)

보건의료(6문항), 교육환경(3문항), 보육환경(5문항), 생활편의(4문항), 커뮤니티(6문항), 여가·문화(4문항), 공공편의(8문항), 경제·고용(6문항), 지역 정체성(4문항)

.940

주민 생활 만족도 정주환경과 생활환경에 대한 만족정도

-공공서비스 만족도 (22문항)

공공서비스 특성(9문항),

서비스 제공자와 주민과의 관계(6문항), 서비스 환경(3문항),

주민권리(4문항)

.944

거리 척도를 활용한 공공서비스 중요도

(11문항)

교육시설, 보육시설, 사회복지시설, 보건의료시설, 안전 및 긴급구조시설, 생활체육기능시설, 커뮤니티 센터, 공공행정기능 시설, 문화 및 여가시설, 쇼핑 및 상업/편의시설, 금융시설

-인구감소와 저성장에 대한 인식(8문항)

저출산, 고령화, 사회적 부담증가, 인구유출, 귀농인구, 농촌지역 인구감소에 대한 심각성, 인구감소에 대응한 계획의 부재,

지역소멸에 대한 위기감

-농촌중심지 정비방향

선호(1문항) 농촌중심지 정비 방법에 대한 주민 선호

-<표 3-2> 설문지 구성항목

12) 에이징 인 플레이스(aging in place: 자신이 살던 장소에서 계속해서 늙어가기를 원하는 것 (www.aginginplace.com)을 의미한다. 이러한 개념은 오랫동안 편안하게 익숙한 지역사회와 정주환 경에서 살 수 있는 능력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환경은 물리적인 환경뿐 아니라 의사소통, 고용, 보 건, 건강, 안전, 보안, 학습, 복지 부분까지 포괄하는 개념이다(강희선, 2017). 농촌지역의 지속가능 성과 인구감소 전망을 예측해보기 위해 현재 살고 있는 지역에 대한 본인의 지속거주 의사를 조사 하였고, 향후 응답자 본인의 자녀가 계속 거주하기를 원하는지 여부도 파악했다.

제2절 적합도 검증 및 자료분석 방법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1-6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