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요약과 논의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7-50)

본 연구에서는 최근 단설유치원의 증가로 인하여 병설유치원 교사와 단설유 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업무지원 및 자세에 대한 만족도(원장/교장, 원감/교 감), 동료교사와의 인간관계 만족도, 학부모 참여지원에 대한 만족도, 근무환경 에 대한 만족도, 보수 및 승진에 대한 만족도, 전문성 신장과 사회적 인정의 만 족도, 교육과정활동과 지원체계의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목적에 따라 전라남도에 소재하고 있는 병설유치원 교사와 단설유치원 교사 2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한 후 총 240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기된 연구문제에 따라 얻어지는 결과를 토대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문제 1에서는 유치원의 설립형태에 따라 업무지원 및 자세에 대한 만족도(원장/교장, 원감/교감)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원장/교 장의 업무지원 및 자세에 대한 만족도와 원감/교감의 업무지원 및 자세에 대한 만족도는 유치원의 설립형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먼저 원장/교장의 업무지원 및 자세를 살펴보면 단설(M=3.85)의 평균이 병설 (M=3.61)보다 상대적으로 높음을 알 수 있었으며(t =-2.624, p<0.05), 원감/

교감의 업무지원 및 자세(t=-1.991, p<0.05) 도 마찬가지로 단설(M=3.91)의 평균이 병설(M=3.67)보다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김선희(2005)와 황경희(2002)연구에서도 원장과의 관계 만족도는 보통보다 높은 만족도를 보이는 것과 같이 유아교육을 전공한 원장과 원감으로 현장에서 교육과정을 이해하고 교사의 직무수행에 도움을 주고 적극적으로 지원해주기 때문으로 보인다.

둘째, 연구문제 2에서는 유치원의 설립형태에 따라 동료교사와의 인간관계에 대한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동료교사와의 인간관계 에 대한 만족도는 유치원의 설립형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전반적으로 적합하게 나타났다. 송유진(1993)의 연구에서도 동 료교사와의 관계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것과 일치한다. 유치원은 규모가 작고 교 육과정이 통합되어 있어 동료교사와 정보나 자료를 서로 공유하고 관계가화목 하고 협동성이 반영 되었으리라 생각한다.

셋째, 연구문제 3에서는 유치원의 설립형태에 따라 학부모의 참여지원에 대 한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 본 결과 학부모의 참여지원에 대한 만족도 는 유치원의 설립형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학부모의 참여지원(t=-4.135, p<0.001) 에 대한 만족도를 살펴보면 단설 (M=3.69)의 평균이 병설(M=3.21)보다 상대적으로 높음을 알 수 있다 (t=-4.817, p<0.001)

염지은(2007)은 설립형태에 따른 학부모의 참여지원에 대해서는 두 집단간 의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고 했는데, 본 연구에서는 단설유치원이 상대적으 로 높음을 알 수 있는 것은 전체적인 운영 시스템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나가고 있기에 학부모의 참여 지원이 높게 나왔을 것이라고 해석된다.

넷째, 연구문제 4에서는 유치원의 설립형태에 따라 근무환경 만족도에 차이 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결과는 근무환경 만족도는 유치원의 설립형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단설(M=2.73)의 평균이 병설 (M=2.31)보다 상대적으로 높음을 알 수 있다.

장미향(2002), 윤영란(1998)는 근무환경을 낮은 만족도로 보는 반면, 김선희 (2005)는 물리적 환경에서 매우 높은 만족도를 보이는 것은 단설 유치원은 병 설유치원과 달리 유치원 교육과정에 적절한 환경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시설이 학습활동을 하는데 적합하게 설계 및 유지 관리하기 때문일 것이라고 해석해야 된다.

다섯째, 연구문제 5에서는 유치원의 설립형태에 따라 보수 및 승진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보수 및 승진에 대한 만족도는 유치원 의 설립형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김정자(1999), 송유진(1993)는 보수 및 승진에서는 낮은 만족도를 나타냈고, 김선희(2005)는 보통이하의 만족도를 보였는데 단설유치원 교사와 병설유치원 교사 전부 상대평가로 근무를 평정하지만 병설유치원 교사의 경우는 교사의 수 가 적으므로 대부분 높은 점수를 받기 때문이라고 생각했기에 단설유치원 교사 는 승진 면에서 낮은 만족도를 나타났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단설유치원 교사나 병설유치원 교사 모두 차이가 없음 은 신분체제가 같기 때문이며, 단설유치원도 승진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가산점 을 받을 수 있는 지원이 많다고 해석 된다.

여섯째, 연구문제 6에서는 유치원의 설립형태에 따라 전문성 신장과 사회인 정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전문성 신장과 사회인정에 대한 만족도는 유치원의 설립형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전문성 신장과 사회인정의 만족도를 살펴보면 단설(M=3.25)의 평균 이 병설(M=3.07)보다 상대적으로 높음을 알 수 있다(t=-2.127, p<0.05)

강근화(2004)는 설립별 유형별로 알아 본 결과 본 연구와 일치하므로 단설 유치원은 유아교육의 중심적 역할을 하기 때문에 연수활동을 위한 지원체제가 잘 되어 있어 전문성신장과 사회적 인정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임영순(2001)의 연구에서와 같이 물리적인 요인에 대한 변화보다 교사 스스로 의 교육철학과 유치원 교사로써의 자긍심과 유아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신념이 투철하면 사회적인 인정이 높다 라고 한 것과 일치한다. 김점숙(2005)은 병설 유치원 교사인데 사회인정은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병설유치원 교사가 사회인정에 있어서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그 원인은 초등교사와 같이 생활하기 때문에 비교할 수 있는 조건이 형성되어 낮은 만족도를 보인 것으로 해석된다.

일곱째, 연구문제 7에서는 유치원의 설립형태에 따라 교육과정활동과 지원체

계에 대한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교육과정활동과 지 원체계에 대한 만족도는 유치원의 설립형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이순애(2006), 박련옥(2003)은 학급수가 적을수록 교육과정활동은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다고 했다. 그러므로 병설유치원 교사는 유치원 관련 업무를 추진 하고 교육활동을 하는데 재량권과 자율권이 크게 침해 받지 않기 때문일 것이 라고 판단된다고 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 듯이 학급수와 교사의 업무량, 수업의 부담, 교육과정 외적인 활동과는 무관하 다고 판단된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7-50)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