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선행연구의 고찰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1-34)

B. 직무만족도

3. 선행연구의 고찰

교사의 직무 만족도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초등 교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졌으

나,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현재까지의 유치 원 교사를 대상으로 한 직무 만족도에 관한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 다.

나정숙(1982)은 유치원교사를 대상으로 근무부담, 재교육, 인간관계, 복지, 임용, 승진, 등의 6개 요인을 설정하여 만족도를 연구한 결과 교사 자신들의 직무에 대체로 불만족이었다. 최은희(1997)는 공립유치원 교사가 사립유치원교 사보다는 모든 하위요인에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과 경력이 높을수 록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채규정(1988)의 직무만족도는 공, 사립 비교 연구에서 직위, 연령, 결혼여부, 학력, 경력, 근무지역, 유치원규모, 운영시간, 담당 원아 수, 근무부담, 등을 설 정하여 조사한 결과 직위, 기혼, 미혼, 학력, 경력, 운영시간, 근무부담에는 상 이한 차이가 나타났다. 신지음(1989)의 유치원 교사의 직무 만족에 관한 연구 에서는 미혼인 교사보다 기혼인 교사가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력이 많을수록 인간관계 및 사회적 인정 요인에서 높은 만족을 보이며, 연령 이 높을수록 사회적 인정, 후생요인에 있어서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었다.

송유진(1993)은 유아교육기관의 조직풍토와 교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에 서 요인별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통이상으로 직무에 만 족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오명자(1994)는 교직관과 직무만족도가 사립유 치원에 근무한 교사가 낮고 공립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의 직무만족도의 하위 요인 중 보수, 업무량, 인간관계 요인에서 공립유치원교사들이 더 만족하고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윤영란(1998)은 경기도 초등학교 병설유치원교사의 직무만족도에서 직무, 인 간관계, 보상체제, 인정관리, 전문성신장, 행정체제, 근무환경, 순으로 만족도가 나타났으며, 근무환경이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김정자(2000)는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보통이상의 수준을 나타내었고 직무 자체가 가장 높은 수 준의 만족을 보였으며 사회적 인정, 인간관계, 의사소통 등의 순으로 높았으나 후생복지, 승진, 임용, 신분보장에서는 만족도가 낮았다.

임영순(2001)은 유아교사의 자아개념과 직무만족의 관계 연구에서 직업, 신 분적 자아와 직무만족도는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고 하였다. 장미향(2002)

은 병설유치원 교사의 직무 만족 연구에서 전체적으로 보통 이상의 만족을 나 타내었으며 근무환경에서 낮은 만족을 보였다고 하였다.

박련옥(2003)은 인간관계, 고유직무, 보상, 근무환경, 행정체제, 교사의 효능 감 등을 직무하위 요인으로 설정하였는데 변인에 있어서 교사들의 학력, 경력, 자격증 종류, 결혼여부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가 있으며 연령, 근무지역, 유치 원 학급 수 학습 당 원아 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교직에 대한 보통 이상의 직무만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근화(2004)는 설립 유형별로 알아본 결과 사회적 인식, 연구자와 행정업무 및 관리자, 교육과정 설계자와 일과 계획 및 수행자에서 공립 유치원교사의 만족도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공, 사립 유치원 교사 모두 직무만족도 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순애(2006)는 학급수가 적을수록 인간관계, 행정 체계 면에서 직무만족도에서는 높게 나타났으며, 원아수가 많으면 교사의 업무 량과 수업 부담이 많아지고 교육과정 외 활동도 많아지기 때문일 것이라고 하 였다.

황경희(2002)는 경상북도를, 김점숙(2005)은 강원도를, 염지은(2007)은 전라 북도를, 이순애(2006)는 경상북도를 중심으로 공립유치원교사의 직무 만족도 를 연구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유아를 대상으로 교육함에 있어 교사 나름대로 의 보람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요인을 어떻게 선정하는 가에 따 라 직무만족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표집대상과 표집교사의 배 경 변인의 선정, 조사년도, 지역별 등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김선희(2005)는 단설유치원 직무만족도 연구, 박민복(2006)의 단설유치 원 교사와 병설유치원 교사에 대한 업무 부담 비교 연구에서는 단설유치원 교 사보다 병설유치원 교사들이 개선의 필요성을 더욱 절실히 요구하고 있으며, 유치원의 수업과 무관한 업무부담 때문에 교수활동에 많은 지장을 초래한다고 하였다. 지금까지 알아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단설유치원과 병설유치원에 근무 한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업무지원 및 자세, 동료관계, 학부모 관계, 근무환경, 보수 및 승진, 전문성 신장과 사회인정, 교육과정 활동과 지원체계와 관련하여 연구해 볼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게 되었다

일반적인 특성 빈도(n) 백분율(%)

근무지역 63 27.0

170 73.0

설립형태 병설 199 82.9

단설 41 17.1

학급 수

1 165 69.9

2 17 7.2

3 10 4.2

4 7 3.0

5 16 6.8

6 18 7.6

7 3 1.3

원아 수

10명 미만 89 37.2

11~15명 85 35.6

16~20명 26 10.9

20명 이상 39 16.3

학급형태 동일연령 57 23.8

혼합연령 183 76.3

운영형태

반일제 3 1.3

시간연장제 98 42.6

종일제 129 56.1

학력 전문대졸 12 5.1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1-3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