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설계 방안

문서에서 경계가 만드는 공간 (페이지 96-119)

Ⅴ. 설계 원칙과 방안

2. 설계 방안

2.1. 동선: 네트워크 강화

공원 내부 동선은 순환가능한 동선을 계획하여 보행의 흐름을 원활히 하 고, 보행주동선과 부동선, 서비스 차량동선 등 동선에 위계를 부여하여 체 계를 구축한다. 동선 위계에 따라 폭과 포장재료, 주변 환경을 통해서 공간 의 쓰임새를 명확하게 하여 과도한 경계시설과 안내시설이 필요치 않도록 한다. 동상, 기념비 등의 시설물은 접근은 쉽지만 통행을 방해하지 않도록 위치를 재조정한다.

[그림 69] 보행 체계

[그림 70] 보도 폭 계획

공원 외부와 연결되는 곳은 외부 도로와 횡단보도를 고려하여 출입구 위 치와 출입 방식을 다르게 하여 공원을 매개로 한 도시의 연결성을 확보한 다. 진입공간, 광장, 운동공간, 휴게공간 등 공공의 이용이 활발한 공간은 외부에서도 관찰가능하도록 만들어 개방감과 심리적으로 들어가고 싶은 마 음을 준다.

[그림 71] 도시와의 연결

[그림 72] 도시와 연결된 공원 경계 사례 (좌: 마로니에 공원, 우:브라이언트 파크)

2.2. 효창운동장

시설이 매우 노후화되었으며 공원 안에서 가장 강력한 경계가 되고 있는 효창운동장은 공원에 필요한 서비스 시설을 포함한 복합체육시설로 재설계 하여 공원과의 연계성을 높인다. 1층에는 상업시설과 편의시설, 주민을 위 한 다목적실 등을 도입하여 건축공간의 공적 이용을 활성화하고 공원관리사 무소를 입지하여 운동장과 공원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도록 한다. 사적 점유 공간인 체육계 및 축구협회 사무실은 2층에 입지하도록 하고 동네 도서관, 라운지, 다목적실을 설계한다. 공원 내 보행을 단절하는 주차장은 지하화하 고 백범김구기념관의 주차 수요를 수용하여 주차 수요를 통합적으로 관리한 다. 형태적으로는 필로티 구조를 적용하여 시각적 투과성을 높이고 효창운 동장을 통과하여 공원 내부로 쉽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하고 필로티 하부공 간과 효창광장을 연계한다. 또 지형에 안착하는 건축형태를 통해 공원 지형 과 어우러지도록 한다. 효창운동장 상부는 잔디언덕과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잔디언덕 너머 운동장, 도시까지 이어지는 경관을 조망할 수 있는 전망점이 된다.

[그림 73] 효창운동장 부분 평면도

A A’

[그림 74] 효창운동장 설계 단면도 A-A’

B’

B

[그림 75] 효창운동장 설계 단면도 B-B’

[그림 76] 효창운동장 1층 설계안

[그림 77] 효창운동장 2층 설계안

[그림 78] 효창운동장 1층 투시도 – 일상적 이용

[그림 79] 효창운동장 1층 투시도 – 가족단위 행사

[그림 80] 상부에서 바라본 효창운동장 경관

C C’

[그림 81] 효창운동장 설계 단면도

2.3. 효창광장

주출입구를 지나 바로 마주하게 되는 공간인 효창광장은 공원 진입경험 을 고려하여 입구부를 확장하고 탁 트인 개방감이 느껴지도록 한다. 효창운 동장, 의열사, 삼의사묘역, 자연생태학습장 등 주변 공간으로도 열린 공간구 성을 통해 주변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며 넓은 빈 공간을 활용하여 다양한 활동이 혼합될 수 있는 여지를 둔다. 일상적으로는 자유로운 통행로 이자 어린이들의 놀이공간이 될 수 있으며, 때에 따라 독립운동 기념행사, 여름밤의 영화제가 벌어지는 이벤트의 공간이 될 수 있다. 대한축구협회, 독립선열후손단체, 대한노인회 등 공원 관련 단체와 연계한 프로그램을 기 획하여 각 단체의 공적 기여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림 82] 효창광장 부분 평면도

[그림 83] 효창광장 투시도 (상: 일상적 이용, 중:영화제, 하: 독립기념행사)

2.4. 백범김구기념관 앞 잔디언덕

권위적인 공간감과 위압감을 주는 넓은 계단과 경계 시설물은 제거하고 운동장 방면으로 경관 시퀀스와 시야를 확보하고 지형에 어우러지는 휴게시 설을 배치하여 잔디공간을 일상적 휴게공간으로 활용한다. 효창운동장 지하 주차장을 통해 백범김구기념관의 주차수요를 통합하고 보행친화적 환경을 조성한다.

[그림 84] 백범김구기념관 앞 잔디언덕 부분 평면도

[그림 85] 백범김구기념관 앞 잔디언덕 투시도

2.5. 공원과 도시의 경계부

공원 외곽의 담장과 옹벽을 제거하고 보행영역을 확장하여 공원 내부와 연계된 공간으로 조성한다. 또한 보행로에 위치한 생육이 불량한 가로수나 통행을 가로막는 시설물을 제거하거나 위치를 조정한다.

[그림 86] 효창원로: 공원 – 주거지 구간 설계 단면도

[그림 87] 효창원로: 공원 – 숙명여대 구간 설계 단면도

[그림 88] 임정로: 공원 – 주거지 설계 단면도

[그림 89] 임정로: 효창운동장 – 주거지 구간 설계 단면도

2.6. 급경사지

경사지로 인해 단절되는 부분은 계단과 스탠드를 두어 상부와 하부를 연 결하는 통로를 만들고 휴식과 관찰, 교류가 벌어질 수 있는 곳으로 조성한 다.

Before

After

[그림 90] 급경사지의 활용

2.7. 경계시설

공간 규정을 위해 경계가 꼭 필요한 곳에서는 시각적 개방성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밀도, 재료, 재질 등의 설계 기법을 이용해 느슨한 경계를 조성한다. 여러 겹으로 중첩된 경계시설은 운영 및 관리를 위해 필수적인 경계시설을 제외하고 하나만 남겨 경관의 시각적 연속성과 물리적 접근성, 활용가능성을 확보한다. 건물 주변 외부공간과 공원 사이의 경계를 느슨하 게 하여 모든 외부공간은 공공의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단, 높 고 두꺼운 건축물의 외벽으로 인해 고립되거나 폐쇄적으로 느껴지는 공간은 식재나 물 등의 설계요소를 이용하여 쾌적한 분위기를 조성한다.

Before

After

[그림 91] 경계시설의 제거

Before

After

[그림 92] 경계시설의 제거

2.8. 접근불가능한 녹지

식생천이로 인해 혼잡해진 식생환경을 정돈하고 교목 하부의 관목은 적 절한 밀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주기적으로 관리한다. 교목 하부식재는 낮은 지피식물이나 초화로 대체하여 시각적 개방감을 부여하고 일부 공간은 하드 페이빙 포장하거나 나지로 두어 휴게공간으로 이용 가능하도록 조성한다.

식생 경계는 포장면과 서로 침투하여 느슨한 경계를 형성하여 길과 녹지 를 연결하고 확장된 공간을 구성할 수 있다. 접근을 제한하는 명확한 경계 요소로서 생울타리는 제거하고 접근불가능한 녹지의 일부 구간에는 작은 오 솔길을 조성한다.

Before

After

[그림 93] 녹지공간의 활용 증진

구분 단절과 제약의 완화 잠재와 활용 증진

- 관리사무소, 매점 등 건축물은

2.9. 종합계획도

[그림 94]

종합계획도

문서에서 경계가 만드는 공간 (페이지 96-119)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