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생활협동조합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본 연구가 지향하는 노인생활협동 조합의 설립과 관련한 선행연구는 없었다. 그러나 협동조합과 관련한 선행연구를 고찰해 보면 먼저, 지역생활협동조합의 성장단계를 구분하고 그 특징 및 과제 도 출을 통해 지역생활협동조합의 성장단계별 발전전략을 수립하는 연구로 우리나 라 지역생활협동조합은 성장기에 있어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시기이며 지역생 활협동조합은 분화 및 전문화를 위한 발전전략 수립을 통해 지역 내 관계 형성 및 자원 조직화에 대한 종합적인 현황 및 평가를 통해 지역생활협동조합 활동의 반경을 넓히고 지역복지의 관계에 대한 교육은 조합 활동의 참다운 동력이 될 것이며 지역사회복지 실현의 주체로서 의미를 갖는다고 평가하였다(이미연, 2008).

다음으로 생활협동조합에 가입한 구성원 집단과 생활협동조합에 가입하지 않은 구성원 집단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사회적 연결감, 구매의도, 생활협동조합의 이 미지 조절효과로 알아보고 향후 생활협동조합의 효율적이고 바람직한 사회적 책 임활동을 경영방안을 제안하고, 이에 따른 사회적 연결감과 유기농 식품의 구매 의도 및 생활협동조합 이미지에 관한 영향력을 소비자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 기 위한 마케팅 관점에서 연구하였다(장현정, 2012).

그리고 생활협동조합의 지역사회 주민공동체의 활성화 방안을 연구에서는 요보 호대상자 및 지역주민들의 범주민적 운동은 이들이 인간답고 바람직한 생존 및 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활동이라는 측면에서 복지공동체의 형성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보고하고 있다(김은임, 2000).

다음 선행연구에서는 협동조합과 사회적 기업에 관한 연구로 사회적 기업 중 일부가 협동조합 형태로 전환하고 있고, 앞으로 이러한 전환이 더욱 가속화된다 고 볼 때 두 법제 간에 서로 조직형태, 권리에서 상충할 수 있는 점은 없는지 등

을 살펴봄으로써 취약계층에 대한 고용을 촉진하고,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

과 사업내용, 그리고 조합원들의 원주노인생활협동조합에 관한 생각을 연구했다.

현대 사회 노인들의 근로 욕구의 대안으로 노인생활협동조합은 더운 나은 노후 생활과 지역의 노인복지에 기여한다는 결론이다(변정원, 2009).

선행연구의 고찰에 의하면 UN은 2012년을 "협동조합의 해"로 선포하였고 우리 나라에서는 1999년 소비자협동조합법 시행되면서 우리나라의 협동조합 역사는 30여 년이 되었다.

2013년 6월 말 현재 우리나라에는 4,879개의 협동조합이 설립되었지만 지역사회 복지의 관점에서 본 생활협동조합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다. 특히 지역사회 노인 복지를 사회적 경제의 대안으로 창립된 노인생활협동조합은 유일하게 하나 뿐인 원주 노인생활협동조합이다.

불특정 다수가 모여 같은 뜻을 이루는 일이 쉬운 일은 아니다. 그러나 노인복지 정책은 아직 저소득층 빈곤과 병고에만 머물러 있는 상태이므로 자녀나 국가에 만 의존하지 않고 노인 스스로 고령화에 따른 노인복지문제를 해결하고, 노동을 통해서 새로운 노인문화를 만들기 위한 노력이 요구 되며 제주지역 실정에 맞는 자조, 자립적인 노인 일자리 창출이 필요하다.

협동조합은 공동의 소유와 민주적 운영의 사업체로 자발적으로 결성하는 자율 적 조직이며 협동조합의 핵심 가치인 자조, 자립, 협동을 바탕으로 노인들의 힘 과 지혜로 노인 문제를 스스로 해결해 나가는 것이 노인사회를 건강하게 만들고 안정된 삶을 만들어가는 차원에서 노인 스스로 풀어나가자는 차원의 자조적인 공동체 활동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