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제 7차 교육과정의 특징 중의 하나는 재량활동을 확대․신설하여 교육과정의 한 영역으로 편제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교육과정의 편 제를 교과, 재량활동, 특별활동으로 나누어 교육과정상에 재량활동 을 도입하고, 수업 시수와 적용되는 학교급, 활동 내용과 범위를 대 폭적으로 확대하였다.

재량활동은 제 7차 교육과정에서 추구하고 있는 ‘자율과 창의에 바 탕을 둔 학생중심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실현을 극대화 할 수 있 는 영역이다. 이를 효율적으로 운영함으로써 제 7차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인간상과 교육과정의 기본 정신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재량활동은 개성 있고 창의적인 인간 육성을 요구하는 시대적 상황 에 부응하고, 교육제도 운영, 교육 내용 변화를 추구하는 교육적 요 구를 수용하는 차원에서 신설․확대되었으며, 지역사회와 학생의 요 구, 학교의 특수성, 교사의 교육관에 따라 학교 나름대로 특색 있는 교육활동을 전개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인 것이다. 이 점에서 제7차 교육과정에서 구조적 특징으로 자리잡을 ‘재량활동’은 학교 교육과 정의 자율화, 다양화를 위한 시금석이라 할 수 있다.

재량활동의 운영 목적은 학생들의 다양한 요구, 흥미, 적성을 반영 한 새로운 영역을 설정하고 직접적인 체험 활동 및 다양한 창의적 인 활동을 통하여 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신장시키며, 교

과, 특별활동과의 상호 보안을 통하여 학습 방법의 학습, 주제 탐구

등을 들었지만 77%의 교사가 적절한 학습자료가 없어 부담을 느껴 수학 클럽 활동을 회피한다고 답하였다.3)

따라서 본 연구자는 학생들에게 어려운 문제풀이와 공식만으로 이루 어진 학습내용이 아니라, 스스로 만들어 보고 느껴 보는 활용 가능 한 수학 학습자료의 개발을 통해서 수학반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 고, 수학에 대한 흥미도를 높여, 학습에 대한 의욕을 고취시키고자 이 논문을 착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재량활동 수학반을 활성화방안을 모색하 고, 활용 가능한 체험중심 학습자료를 개발하는 것이다. 또한 체험 수학을 다루어 봄으로써 수학에 대한 흥미도가 향상되고, 수학학습 태도를 개선시켜 학생들이 아직까지 느껴보지 못한 수학의 가치를 새롭게 느낄 수 있게 하는데 있다.

2. 연구내용 및 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내용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러 문헌들을 참고로 하여 학생들의 흥미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체험중심 수학자료를 선정하여 학생들에게 제시한다.

둘째, 체험중심 학습자료를 활용한 수학수업을 해보고 학생들의 반 응을 본다.

셋째, 적절한 설문과 학업성취도를 통해 학생들의 흥미도 변화와 태 도 변화를 분석한다.

3) 이영화 (2001), 특별활동 수학반의 활동 중심 학습자료의 개발에 관한 연구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p.30

3. 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도봉구 소재의 K중학교 2학년 6, 7 반으로 한다.

둘째, 본 연구는 특별활동과 재량활동을 위한 학습자료를 개발하였 으나 특별활동을 매월 1회 실시해 실험에 제약이 따라 재량활동으 로 실험을 하였다.

셋째, 각종 문헌이나 자료들을 근거로 하는 개발 자료에 한하므로 체험중심 자료들의 현장적용에 따른 신뢰도 및 타당도는 검증되지 않았다.

넷째, 체험중심 문제 활용에 따른 학생들의 반응 조사를 해야하나, 학교수, 학생수, 지역 등의 한정되어 일반화 제약이 따른다.

4. 연구 절차

본 연구는 앞에서 말한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따라 체험 중심 문제를 활용하는 주제를 정한 후 다음 절차에 따라 교수 학습 자료 를 제작하였다.

자료 수집 → 자료 분류 → 자료 수정 → 자료 제작 → 자료 활용

교수-학습 자료의 제작(2000.11∼2001.4)은 중학교 수학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갖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고 체험 중심 자료를 제작하였다.

정의적 행동의 진단을 위하여 전체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 를 학습자료를 투입하기 전에 실시하였다.

학습자료의 투입(2001.5∼2001.7)은 서울시 도봉구 소재 K중학교 2 학년 6, 7반을 대상으로 재량활동 시간에 실시하였다. 실험전 중간 고사의 학업 성취도 결과로 비교집단과 실험집단의 동질성을 비교 하였다. 비교집단은 교과 보충 문제를 다루었고, 실험집단은 체험 중심 수학 학습을 하여 체험 중심 학습의 효과를 비교 할 수 있도 록 하였다.

학습자료 투입 후 제작된 체험문제 자료가 학생들의 수학교과에 얼마나 효과적이었는지에 대한 연구 결과를 알기 위해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2차 설문(2001.7)을 실시하였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