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이 연구는 안토니오 네그리(Antonio Negri), 에르네스토 라클라우(Ernesto Laclau), 그리고 에티엔 발리바르(Etienne Balibar)의 정치적 주체론을 분석한다.

연구의 목적은 ‘촛불-대중’을 정치적 주체로 해석할 수 있는 이론적 자원을 찾는 것이다. 촛불-대중이란 한국에서 2000년대 이후 반복되고 있는 촛불집회의 주체 를 말한다. 촛불집회의 주체에 대해서는 다양한 해석이 공존할 수 있다. 연구는 이들이 통일된 정체성으로 환원되지 않는 대중(mass)의 특징을 보인다는 점, 촛 불집회라는 특정한 대중운동의 양식을 통해 등장한다는 점에서 촛불-대중이라고 부를 것이다.

한국에서 대중은 민중(people) 또는 노동자 계급(working class)과는 달리 오랫 동안 정치적 주체로 여겨지지 않았다. 그러나 위기의 순간마다 역사의 물결을 바 꿔왔던 것은 대중이었다. 4·19 혁명, 5·18 광주항쟁, 87년 6월 항쟁, 91년 5월 투 쟁, 그리고 2000년대 이후의 촛불집회는 모두 “우발적인 사건을 통해 대중들이 거리로 쏟아져 나오는 상황에서 일정하게 예측과 통제가 불가능한 운동 형태에 기초하여 사회질서의 근본적인 재조직화를 발생시키는 운동”이라는 점에서 대중 운동의 특징을 보인다(김정한, 2020: 26). 따라서 대중은 정치적 주체로 적극적으 로 해석될 필요가 있다.

대중을 정치적 주체로 해석한다는 것은 이들을 “사회를 존재의 질서로서 수용 하고 인정하길 거부하고 그것의 객관적이고 경험적인 보편성을 폭로하고 중지시 키는” 주체로 인정하는 것이다(서동진, 2008: 336). 정치적 주체의 대표적인 예는 19세기 칼 마르크스(Karl Marx)로부터 찾을 수 있다. 그는 프롤레타리아트 (proletariat)라는 정치적 주체를 제시했다. 마르크스는 오직 프롤레타리아트만이 혁명적인 계급이라고 생각했으며, 프롤레타리아트가 자본주의 사회를 변혁하는 혁명의 주체가 될 수 있다고 믿었다.

마르크스의 사상을 이어받은 초기 마르크스주의자들은 프롤레타리아트가 보편 적이고 유일한 정치적 주체라고 생각했다. 그들 중 일부는 프롤레타리아트가 통 일된 보편 계급으로 등장해 혁명을 완수할 것이라고 믿었다. 그러나 20세기 공산

주의 혁명이 실패하면서 그 믿음은 잘못된 것으로 드러났다. 더욱이 혁명 과정에

현 대통령 탄핵 반대집회, 2008년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 집회, 2016년 박근혜

광화문으로 나뉜 2019년의 촛불집회의 모습은 이들을 향한 회의적 시선을 뒷받

네그리, 라클라우, 발리바르의 정치적 주체론을 검토하고 이들의 이론이 촛불-대 중에 대한 해석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분석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5장에 서는 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중론 논쟁에서 제기된 쟁점들을 세 가지 차원에 서 재해석하면서 정치적 주체로서 촛불-대중을 어떻게 해석할 수 있는가에 대해 논할 것이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