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최종적으로 생산된 상품의 가격은 중간재로 생산활동에 투입되는 수입 원자재의 가격, 생산활동에 참가하는 근로자들의 임금, 자본을 투자한 자본가의 영업잉여 수준, 각종 간접세, 감가상각액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기업의 생산활동에서는 중간투입재의 가격 변화, 수입 원자 재의 가격이 변화함에 따라 기업의 생산활동이 이들 중간재를 효율 적으로 활용하는 방향으로의 기술혁신을 통해 생산방법이 개선될 것이기 때문에 원자재, 수입 원자재가격 변화에 따른 생산성 변화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임금 상승이 현저하게 높을 경우 기업은 노동력 을 절감하는 방향으로 생산방법을 변화시키게 되므로 노동의 생산 성 역시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이런 생산성 증가요인들은 생산자 물가를 하락시키는 요인으로서 전술한 중간재투입가격, 수입 원자재 가격, 임금가격, 영업잉여 등에 의해 초래되는 물가 상승요인을 상 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분석을 위한 기본모형은 후지가와교시(籐川淸史)(2005)의 모형과 이에 바탕을 둔 Jin-Myon Lee, Takatoshi Watanabe and Kiyoshi Fujikawa(2006)의 모형을 활용하고자 한다. 이 방법에 의 하면 두 시점 간의 가격 변화의 구성요인은 다음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  

 

 

 

  



<수입 중간재투입에 의한 가격 변화>

  





<수입 중간재투입에 의한 생산성 변화>

  

 <임금 변화>

  



 <노동생산성 변화>

  

   

 





<국내 중간재투입의 생산성 변화>

 





<피용자보수 외 다른 부가가치 요인의 변화>

생산자물가 상승을 가져온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이상의 방법론은 국내 중간재투입계수 행렬(

), 수입 중간재투입계수 행렬(

), 노 동투입계수(

)과 같이 산업연관표에서 작성될 수 있는 계수행렬을 필요로 한다. 아울러 산업연관표와 동일한 산업분류기준의 산업별 국 내 가격 벡터(), 산업별 수입가격 벡터(), 임금벡터()등을 필 요로 한다. 이런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자료는 한국은행에서 발 간하고 있는 󰡔연속불변산업연관표󰡕 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연속불변 산업연관표󰡕 는 1990년, 1995년, 2000년을 연결한 󰡔19901995 2000년 접속불변산업연관표󰡕 가 작성되었을 뿐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199019952000년 접속불변산업연관표󰡕 를 이용하되 이미 발표된 2003년의 경상가격 산업연관표와 국민계정(경제활동별 국내총 생산과 요소소득)의 산업부문별 총산출, 중간투입, 부가가치 자료를 활 용하여 2005년 불변산업연관표를 추계하였다.

국민계정상의 산업분류표는 농업 임업 및 어업, 광업과 1) 음식료 품・담배 2) 섬유 및 가죽 3) 목재, 종이, 출판 및 인쇄 4) 석유, 석탄 및 화학제품 5) 비금속광물제품 6) 금속제품 7) 기계 및 전기전자기 기 8) 운수장비 9) 가구 및 기타 제조업의 9개 제조업, 그리고 전기, 가스, 수도사업, 건설업, 도소매 및 음식숙박업, 운수, 창고 및 통신 업, 금융보험업, 부동산 및 사업서비스업,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 장,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 사업의 9개 서비스업, 총 20개 산업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생산자물가의 변화요인에서의 현저한 특징을 19902000년과 20002005년의 두 기간에 걸쳐 살펴보았다.

우선 가장 현저한 특징은 생산자물가의 상승에 중간재의 가격 변 화로 인한 영향이 가장 크게 나타나고 있다. 수입 중간재가격 변화

에 따른 투입계수의 변화, 임금 인상에 따른 노동투입계수의 변화의 총체적인 효과로서 생산자 가격의 상승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둘째는 생산자가격의 변화에 임금 인상의 역할이 매우 크다는 사 실이다. 대부분 산업에서 임금 인상이 생산자 가격의 변화에 커다란 기여를 하고 있다. 이처럼 높은 임금 인상에도 불구하고 노동생산성 증가 역시 현저하게 높은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임금 상승이 노동생산성 증가를 크게 능가하고 있다.

셋째는 수입 원자재가격 상승의 역할 역시 생산자물가의 상승에 상 당한 기여를 하고 있다. 하지만 수입 원자재가격 상승에 대해서는 수 입 원자재를 절약하려는 생산성 증가 노력 역시 크게 진전되고 있다. 넷째, 기타 부가가치 구성요인에 의한 금융비용은 점차 감소하면 서 대부분 산업부문에서 물가 상승률을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안정에 기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림 4. 주요 산업 생산자 물가 상승의 결정요인 분해 결과(1990∼2000년 기준)

수입 중 간재 가격 변 화 수입 중 간재 생 산성 변 화 임금 변 화 노동 생 산성 변화 국내 중 간재 생 산성 변 화 기타 부 가가 치부 문 변화

그림 5. 주요 산업 노동생 산성 초과 임금 상승률(1990∼2000년 기준)

임 금 상 승-노동 생산 성

그림 6. 주요 산업 생산자 물가 상승의 결정요인 분해 결과(2000∼2005년 기준)

수입 중 간재 가격 변 화

수입 중 간재 생 산성 변 화 임금 변 화 노동 생산 성 변화

국내 중 간재 생 산성 변 화 기타 부 가가 치부 문 변화

그림 7. 주요 산업 노동생 산성 초과 임금 상승률(2000∼2005년 기준)

임금 상 승-노 동생 산성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