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삼각함수

문서에서 1. 지수 (페이지 37-44)

X P

O 30ù

⑷ -520ù=360ù_(-2)+200ù

X P

200ù

O

1-2

⑴ 30ù=30_ p 180 =;6Ò;

⑵ 330ù=330_;18Ò0;=;;Á6Á;;p

p 4 =p

4 _180ù p = 45ù

⑷ ;3@;p=;3@;p_ 180ù p =120ù`

2-1

⑴ 60ù=60_;18Ò0;=;3Ò;

⑵ 300ù=300_;18Ò0;=;3%;p

;5$;p=;5$;p_ 180ù`

p =144ù

⑷ -;4#;p=-;4#;p_ 180ù`

p =-135ù

2-2

본문 | 103, 105 개념 익히기

5. 삼각함수

;3"Ò;는 제1사분면의 각이므로

sin`;3"Ò;>0, cos`;3"Ò;>0, tan`;3"Ò;  > 0

3-1

일반각

평면 위의 한 점 O로부터 시작되는 두 개의 반직선 OX, OP 로 만들어지는 도형을 각이라 하고, 기호 ∠XOP로 나타낸다.

시초선 OX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XOP의 크기가 주어지면 동경 OP의 위치는 하나로 정해진다.

그러나 동경 OP의 위치가 정해지더라도 동경 OP가 나타내는 각의 크기는 하나로 정해지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다음 그림은 같은 위치의 동경 OP에 대한 여러 각 의 크기를 나타낸 것이다.

LEC TURE

O X

P

50ù O 50ù

O X

P

O 50ù

O X

P

O 50ù

O X

P

360ù_1+50ù 360ù_2+50ù 360ù_(-1)+50ù 360ù_(-2)+50ù

⑴ 420ù=360ù+ 60ù

60ù

O X

P

⑵ -660ù=360ù_( -2 )+60ù

1-1

60ù

O X

P

-720ù +60ù

O X

P

⑴ tan`h= sin`h

cos`h =-;5$;

-;5#;=;3$;

⑵ tan`h=sin`h cos`h 에서

cos`h=sin`h tan`h =

'3 2 '3 =;2!\;

4-1

⑴ tan`h=sin`h

cos`h = ;3@; =- '5 2

⑵ tan`h=sin`h cos`h 에서 sin`h=tan`h_cos`h = '7

3 _{-;4#;}=-'7 4 - '5

4-2

3

;5$;p는 제2사분면의 각이므로 sin`h>0, cos`h<0, tan`h<0

⑵ ;3%;p는 제4사분면의 각이므로 sin`h<0, cos`h>0, tan`h<0

3-2

본문 | 107~117 확인 문제

각 2h가 제4사분면의 각이므로

360ù_n+270ù<2h<360ù_n+360ù (단, n은 정수)

∴ 180ù_n+135ù<h<180ù_n+180ù Ú n=2k (k는 정수)일 때

180ù_2k+135ù<h<180ù_2k+180ù 즉, 360ù_k+135ù<h<360ù_k+180ù 따라서 각 h는 제2사분면의 각이다.

Û n=2k+1 (k는 정수)일 때

180ù_(2k+1)+135ù<h<180ù_(2k+1)+180ù 즉, 360ù_k+315ù<h<360ù_k+360ù

따라서 각 h는 제4사분면의 각이다.

Ú, Û에서 각 h를 나타내는 동경이 존재하는 사분면은 제2사분면, 제4사분면

| 참고 |

n에 2k, 2k+1 대신 0, 1을 대입해서 구해도 같은 결과가 나온다.

01-1

셀파 2h의 값의 범위를 일반각으로 나타낸다.

각 h가 제3사분면의 각이므로

360ù_n+180ù<h<360ù_n+270ù (단, n은 정수)

∴ 120ù_n+60ù<;3½;<120ù_n+90ù Ú n=3k (k는 정수)일 때

120ù_3k+60ù<;3½;<120ù_3k+90ù ∴ 360ù_k+60ù<;3½;<360ù_k+90ù 따라서 각 ;3½;는 제1사분면의 각이다.

Û n=3k+1 (k는 정수)일 때

120ù_(3k+1)+60ù<;3½;<120ù_(3k+1)+90ù 즉, 360ù_k+180ù<;3½;<360ù_k+210ù

따라서 각 ;3½;는 제3사분면의 각이다.

Ü n=3k+2 (k는 정수)일 때

120ù_(3k+2)+60ù<;3½;<120ù_(3k+2)+90ù 즉, 360ù_k+300ù<;3½;<360ù_k+330ù

따라서 각 ;3½;는 제4사분면의 각이다.

Ú, Û, Ü에서 각 ;3½;를 나타내는 동경이 존재하는 사분면은1사분면, 제3사분면, 제4사분면

01-2

셀파 h의 값의 범위를 일반각으로 나타낸다.

⑴ 70ù=360ù_0+70ù이므로 h=360ù_n+70ù (, n은 정수)

⑵ -480ù=360ù_(-2)+240ù이므로 h=360ù_n+240ù (, n은 정수)

확인 체크 01

셀파 특강

;6&;p는 제3사분면의 각이므로 sin`h<0, cos`h  < 0, tan`h>0

⑴ 두 각 h와 5h를 나타내는 두 동경이 일직선 위에 있고 방향이 반대이므로

5h-h=360ù_n+180ù (단, n은 정수) 4h=360ù_n+180ù

∴ h=90ù_n+45ù yy㉠

90ù<h<180ù이므로 90ù<90ù_n+45ù<180ù 45ù<90ù_n<135ù    ∴ ;2!;<n<;2#;

이때 n은 정수이므로 n=1 yy㉡

㉡을 ㉠에 대입하면 h=135ù

⑵ 두 각 h와 4h를 나타내는 두 동경이 x축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4h+h=360ù_n`(단, n은 정수)

5h=360ù_n ∴ h=72ù_n ……㉠

180ù<h<360¿`이므로

180ù<72ù_n<360ù ∴ ;2%;<n<5

이때 n은 정수이므로 n=3 또는 n=4 yy㉡

㉡을 ㉠에 대입하면 h=216ù 또는 h=288ù

02-1

셀파 주어진 두 각의 합 또는 차의 꼴을 구한다.

부채꼴의 반지름의 길이를 r, 중심각의 크기를 h, 호의 길이를 l, 넓이를 S라 하면

r=8, h=;2!;이므로 l=rh에서 l=8_;2!;=4 S=;2!;rl에서 S=;2!;_8_4=16 따라서 호의 길이는 4, 넓이는 16

03-1

셀파 반지름의 길이가 r, 중심각의 크기가 h인 부채꼴의 호 의 길이 l과 넓이 S는 l=rh, S=;2!;rl이다.

반지름의 길이가 r인 원의 넓이와 반지름의 길이가 3r이고 호의 길이가 4p인 부채꼴의 넓이가 서로 같으므로

prÛ`=;2!;_3r_4p, rÛ`=6r, rÛ`-6r=0 r(r-6)=0    ∴ r=6 (∵ r>0)

| 참고 |

반지름의 길이가 3r인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를 h라 하면 prÛ`=;2!;_(3r)Û`_h=;2(;rÛ`h    ∴ h=;9@;p

03-2

셀파 원의 넓이와 부채꼴의 넓이가 서로 같음을 이용한다. Ú sin`h`cos`h<0에서

sin`h>0, cos`h<0 또는 sin h<0, cos`h>0 sin`h>0, cos`h<0일 때, 각 h는 제2사분면의 각 sin`h<0, cos`h>0일 때 각 h는 제4사분면의 각 Û cos`h`tan`h>0에서

cos`h>0, tan`h>0 또는 cos`h<0, tan`h<0 cos`h>0, tan`h>0일 때, 각 h는 제1사분면의 각 cos`h<0, tan`h<0일 때, 각 h는 제2사분면의 각 Ú, Û를 모두 만족시키는 각 h는 제2사분면의 각

05-1

셀파 삼각함수의 곱의 부호를 통해 동경의 위치를 구한다.

Ú cos`30ù= ABÓééæí8 에서

ABÓ=8_cos`30ù=8_ '3éæí 2 =4'3

Û sin`30ù= BCÓééæí8 에서

BCÓ=8_sin`30ù=8_;2!;=4 확인 체크 02

셀파 특강

OPÓ="Ã5Û`+Ã(-12)½Û`

='¶16Œ9=13

x=5, y=-12, r=13이므로 삼각함수의 정의에 의해 sin`h=;r};=-;1!3@;

cos`h=;r{;=;1°3;

tan`h=;[};=-;;Á5ª;;

04-1

셀파 OPÓ=r일 때, sin`h=;r};, cos`h=;r{;, tan`h=;[};이다.

O y

13x -13

-12 5

-13 13

P h

각 h가 제2사분면의 각이므로 P(-4, 3)

OPÓ="Ã(-4Ã)Û`+Å3½Û`

='§¶25=5

x=-4, y=3, r=5이므로 삼각함수의 정의에 의해 sin`h=;r};=;5#;

cos`h=;r{;=-;5$;

04-2

셀파 OPÓ=r일 때, sin`h=;r};, cos`h=;r{;이다.

O y

5 x -5 -4

3

-5 5 P

h

sin`h`cos`h>0에서

sin`h>0, cos`h>0 또는 sin`h<0, cos`h<0 그런데 sin`h=-;5#;<0이므로

sin`h<0, cos`h<0

따라서 각 h는 제3사분면의 각이므로 cos`h=-;5$;

05-2

셀파 삼각함수의 곱의 부호를 통해 동경의 위치를 구한다.

1-sin`h

1+sin`h =3에서 1-sin`h=3+3`sin`h 4`sin`h=-2 ∴ sin`h=-;2!;

sinÛ``h+cosÛ` h=1에서

cosÛ` h=1-sinÛ` h=1-{-;2!;}Û`=;4#;

각 h가 제4사분면의 각이므로 cos`h= '3éæí2

06-1

셀파 sinÛ` h+cosÛ` h=1을 이용한다.

⑴ tanÛ``h(1-sinÛ``h)=sinÛ``h

cosÛ``h _cosÛ``h

=sinÛ``h

07-1

셀파 sinÛ``h+cosÛ``h=1, tan`h= sin`h

cos`h` 를 이용한다.

cos`h

1+sin`h +1+sin`h

cos`h =cosÛ``h+(1+sin`h)Û`

(1+sin`h)cos`h

=cosÛ``h+sinÛ``h+2`sin`h+1 (1+sin`h)cos`h

= 2(1+sin`h)

(1+sin`h)cos`h

= 2

cos`h 2

cos`h =4에서 4`cos`h=2 ∴ cos h=;2!;

sinÛ` h+cosÛ` h=1에서

sinÛ` h=1-cosÛ` h=1-{;2!;}Û`=;4#;

0<h<;2Ò;에서 sin h>0이므로 sin`h= '3 2

06-2

셀파 분모를 통분하여 식을 간단히 한다.

⑴ sin h+cos h= '2

2 의 양변을 제곱하면 sinÛ``h+cosÛ h+2`sin`h`cos`h=;2!;

1+2`sin`h`cos`h=;2!;, 2`sin`h`cos`h=-;2!;

∴ sin`h`cos`h=-;4!;

⑵ (sin`h-cos`h)Û`=sinÛ h+cosÛ h-2`sin`h`cos`h =1-2_{-;4!;}=;2#;

∴ |sin`h-cos`h|=¾;2#;= '6 2

08-1

셀파 주어진 식의 양변을 제곱한다.

3 4

5 (-4, -3)

O y

x h

⑵ { 1

cos`h +1}{ 1

sin`h +1}{ 1

cos`h -1}{ 1 sin`h -1}

={ 1

cos`h +1}{ 1

cos`h -1}{ 1

sin`h +1}{ 1 sin`h -1}

={ 1

cosÛ``h -1}{ 1 sinÛ``h -1}

=1-cosÛ``h

cosÛ``h _1-sinÛ``h sinÛ``h =sinÛ``h

cosÛ``h _cosÛ``h sinÛ``h =1

tan`h+ 1tan`h =4에서 sin`h

cos`h +cos`h sin`h =4 sinÛ``h+cosÛ``h

sin`h`cos`h =4, 1

sin`h`cos`h =4 따라서 sin`h`cos`h=;4!;이므로

(sin`h+cos`h)Û`=sinÛ h+cosÛ h+2`sin`h`cos`h =1+2_;4!;=;2#;

이때 각 h가 제3사분면의 각이므로 sin h<0, cos h<0에서 sin h+cos h<0

∴ sin h+cos h=-¾;2#;=- '6 2

| 참고 |

sin`hÑcos`h의 값을 구할 때는 먼저 (sin`hÑcos`h)Û`의 값을 구한 다음 각 h의 위치에 따른 삼각함수의 부호를 이용하여 sin`hÑcos`h의 값을 구 한다.

08-2

셀파 tan`h+tan`h` =4를 1 sin`h, cos`h에 대한 식으로 바꾼다.

삼차방정식 2xÜ`-3xÛ`+(k+1)x-k=0의 한 근이 x=1이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하면 다음과 같다.

∴ 2xÜ`-3xÛ`+(k+1)x-k=(x-1)(2xÛ`-x+k)=0 따라서 이차방정식 2xÛ`-x+k=0의 두 근이 sin h, cos h이므 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sin h+cos h=;2!; yy㉠

㉠의 양변을 제곱하면

sinÛ` h+cosÛ` h+2`sin h`cos h=;4!;

1+2`sin h`cos h=;4!;, 2`sin h`cos h=-;4#;

∴ sin h`cos h=-;8#;

∴ sinÜ` h+cosÜ` h

=(sin h+cos h)Ü`-3`sin h`cos h(sin h+cos h) ={;2!;}Ü`-3_{-;8#;}_;2!;=;8!;+;1»6;=;1!6!;

1 2 -3 k+1 -k -2 k-1 -k 2 -1 1-k -0

09-2

셀파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한다.

이차방정식 3xÛ`-x+k=0의 두 근이 sin h, cos h이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sin h+cos h=;3!; yy㉠, sin h`cos h=;3K; yy

㉠의 양변을 제곱하면

sinÛ` h+cosÛ` h+2`sin h`cos h=;9!;, 1+2`sin h`cos h=;9!;

이 식에 ㉡을 대입하면

1+2_;3K;=;9!;, ;3@;k=-;9*; ∴ k=-;3$;

sin h`cos h=-;9$;이므로

(sin h-cos h)Û`=sinÛ` h+cosÛ` h-2`sin h`cos h =1-2_{-;9$;}=:Á9¦:

이때 sin h>cos h에서 sin h-cos h>0이므로 sin h-cos h= '1Œ7

3

∴ sinÛ` h-cosÛ` h=(sin h+cos h)(sin h-cos h) =;3!;_ '1Œ7

3 ='1Œ7 9

09-1

셀파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한다.

와이퍼의 고무판이 ;5#;p만큼 회전하면서 닦는 부분은 오른쪽 그림과 같다.

큰 부채꼴의 호의 길이를 lÁ, 넓이를 SÁ이라 하면

lÁ=40_;5#;p=24p`(cm) SÁ=;2!;_40_24p=480p`(cmÛ`)

30`cm 40`cm

;5#;p

03

셀파 큰 부채꼴의 넓이에서 작은 부채꼴의 넓이를 뺀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각 h와 3h를 나타내는 두 동경이 y축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h+3h=(2n+1)p (단, n은 정수)

∴ h=2n+1

4 p yy㉠

0Éh<2p이므로 0É2n+1

4 p<2p, 0É2n+1<8 -1É2n<7 ∴ -;2!;Én<;2&;

이때 n은 정수이므로 n=0, 1, 2, 3 yy

㉡을 ㉠에 대입하면 h=;4Ò;, ;4#;p, ;4%;p, ;4&;p 이므로 모든 각 h의 값의 합은

;4Ò;+;4#;p+;4%;p+;4&;p=4p 따라서 구하는 답은 ③

O y

x h3h

02

셀파 h+3h=2np+p=(2n+1)p (단, n은 정수)

① :Á6»:p=2p+;6&;p ⇨ 제3사분면

:Á3¢:p=4p+;3@;p ⇨ 제2사분면

③ -;4%;p=-2p+;4#;p ⇨ 제2사분면

④ 1230ù=360ù_3+150ù ⇨ 제2사분면

⑤ -585ù=360ù_(-2)+135ù ⇨ 제2사분면 따라서 구하는 답은 ①

01

셀파 각 h가 제2사분면의 각

⇨ 2np+;2Ò;<h<2np+p (단, n은 정수)

본문 | 118~119 연습 문제

두 점 P와 Q의 y좌표가 '3

∴ "ÃsinÛ``½Åh=|sin h|=-sin h sin h-cos h<0이므로

"Ã(sin Ãh-cÃos hÅ)Û½`=|sin h-cos h|=-(sin h-cos h) 또 0<cos h<1이므로 2-cos h>0에서

|2-cos h|=2-cos h

∴ (주어진 식) =-sin h-(sin h-cos`h)+2-cos h

1+2`sin`h`cos`h =sinÛ``h+cosÛ``h+2`sin`h`cos`h

=(sin`h+cos`h)Û

1-2`sin`h`cos`h =sinÛ``h+cosÛ``h-2`sin`h`cos`h

=(sin`h-cos`h)Û

∴ (주어진 식) ="Ã(sin`Ãh+cÃos`hÅ)Û½`+"Ã(sin`Ãh-cÃos`hÅ)½Û

=sin`h+cos`h-(sin`h-cos`h)

(∵ sin h-cos h<0)

cos h=-;3!;이므로 sinÛ h+cosÛ h=1에서 sinÛ h=1-cosÛ h=1-{-;3!;}Û`=;9*;

0<h<p, cos h=-;3!;이므로 오른쪽 그림에서

sin h=2'2

3 , tan h=2'2 -1 =-2'2

∴ sin`h+tan`h=2'2

3 -2'2=-4'2

sin`h+cos`h= '53 의 양변을 제곱하면 sinÛ h+cosÛ h+2`sin`h`cos`h=;9%;

1+2`sin`h`cos`h=;9%;

2`sin`h`cos`h=-;9$;

∴ sin`h`cos`h=-;9@;

(sin`h-cos`h)Û`=sinÛ h+cosÛ h-2`sin`h`cos`h =1-2_{-;9@;}

=:Á9£:

이때 0<h<p에서 sin`h>æ0

sin`h`cos`h=-;9@;<0에서 cos`h<0이므로 sin`h-cos`h>0

∴ sin`h-cos`h= '¶13 3 따라서 구하는 답은 ⑤

11

셀파 sin h+cos h='5

3` 의 양변을 제곱한다.

{sin`h+ 1

sin`h }Û` =sinÛ``h+2+ 1 sinÛ``h {cos`h+ 1

cos`h }Û` =cosÛ``h+2+ 1 cosÛ``h {tan`h- 1

tan`h }Û` =tanÛ``h-2+ 1tanÛ``h = sinÛ``hcosÛ``h-2+ cosÛ``hsinÛ``h

∴ (주어진 식)

=sinÛ``h+cosÛ``h+ 1

sinÛ``h + 1

cosÛ``h-sinÛ``h

cosÛ``h -cosÛ``h sinÛ``h +6 =1+ 1

sinÛ``h-cosÛ``h sinÛ``h + 1

cosÛ``h-sinÛ``h cosÛ``h +6 =1-cosÛ``h

sinÛ``h +1-sinÛ``h cosÛ``h +7 =sinÛ``h

sinÛ``h +cosÛ``h cosÛ``h +7 =1+1+7=9

10

셀파 tan`h=cos`h` , sin`h sinÛ h+cosÛ h=1을 이용한다.

sin h+cos h=;3!;의 양변을 제곱하면 sinÛ h+cosÛ h+2`sin`h`cos`h=;9!;

1+2`sin`h`cos`h=;9!;, 2`sin`h`cos`h=-;9*;

∴ sin`h`cos`h=-;9$;

∴ (주어진 식)= 16

cos`h {sin`h

cos`h +cosÛ``h sinÛ``h } = 16

cos`h _sinÜ``h+cosÜ``h sinÛ``h`cos`h

=16(sin`h+cos`h)(sinÛ``h-sin`h`cos`h+cosÛ``h) sinÛ``h`cosÛ``h

=16(sin`h+cos`h)(1-sin`h`cos`h) (sin`h`cos`h)Û

=16_;3!;_{1+;9$;}

{-;9$;}Û =39 따라서 구하는 답은 ②

12

셀파 tan`h=cos`h` , sin`h sinÛ h+cosÛ h=1을 이용한다.

 sin`h+cos`h='2 ……㉠

의 양변을 제곱하면

sinÛ h+cosÛ h+2`sin`h`cos`h=2 1+2`sin`h`cos`h=2, 2`sin`h`cos`h=1

∴ sin`h`cos`h=;2!; ……㉡

㉠, ㉡에서 sin h, cos h를 두 근으로 하고 이차항의 계수가 1 인 이차방정식은

xÛ`-'2x+;2!;=0, 2xÛ`-2'2x+1=0 ('2x-1)Û =0 ∴ x= 1

'2= '2 2 (중근)

∴ sin`h= '2

2 , cos`h= '2 2

채점 기준 배점

sin`h`cos`h의 값을 구한다. 40%

sin`h, cos`h를 두 근으로 하는 이차방정식을 만들어 그 근을 구한다. 50%

sin`h, cos`h의 값을 구한다. 10%

13

셀파 a, b를 두 근으로 가지고 이차항의 계수가 1인 이차방정 식은 xÛ`-(a+b)x+ab=0이다.

⑵ cos`120ù=cos (90ù+30ù)=-sin` 30ù =-;2!;

3-1

⑴ cos`420ù=cos (360ù_1+60ù)=cos`60ù=;2!;

⑵ sin {-;6Ò;}=-sin`;6Ò;=-;2!;

3-2

문서에서 1. 지수 (페이지 37-4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