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산촌조사항목에 대한 전문가 설문조사

3.1. 조사방법

산촌의 지속가능성 지표와 항목(안)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전문가 설 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전문가 조사는 산촌에 대한 연구를 하였거나 산촌진흥과 관련된 각 분야의 전문가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전문가 조사에 응답하 여 회신된 전문가는 11명(55%)이다.

연구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산촌의 지속가능성 지표를 제시하고 구조화된 폐쇄형 질문을 통해 의견수렴을 하였다. 의견이 있을 경우에는 이유와 추가사 항에 대해 제시하도록 하였다. 폐쇄형 질문에 대해서는 산촌의 지속가능성 지 표로서 ‘매우 적합하지 않음(1점)’부터 ‘매우 적합함(5점)’까지의 5점 리커트 척도를 통해 빈도결과와 동의정도를 평가하는 과정을 거쳤다.

분야 전문가 구성 총 인원 응답자

(비율)

생태건축 4

20 11명

(55%)

경제학 3

관광학 4

문화 3

생태학 3

커뮤니티 3

표 4-10. 산촌 지속가능성 지표와 항목 조사내용

3.2. 조사결과

본 연구에서는 산촌의 지속가능성 지표에 대한 전문가 평가를 통해 산출한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지표의 적정성을 검증하였다. 평가항목 중 전문가

분야 개발된 지표 조사결과

환경 2영역 9세부영역 36항목 2영역 8세부영역 25항목 사회 3영역 12세부영역 44항목 3영역 12세부영역 43항목

경제 4영역 20항목 4영역 18항목

종합 3개부문 9영역 21세부영역 100항목 3개부문 9영역 20세부영역 86항목 표 4-11. 산촌 마을단위 지속가능성 지표수의 변화

4인 이상이 부정적으로 답하였거나 각 분야에서 평균이하로 평가된 항목은 삭 제하거나 전문가 의견에 따라 수정하였다.

전문가 조사 결과, 지표의 적정성에 부정적인 의견이 가장 많은 영역은 환경 부문 중 물리적 환경영역으로 전체 18개 지표 중 9개 지표가 산촌 마을단위 지속가능성 평가에 부적합하거나 불필요한 지표로 평가되었다. 반면, 사회부문 은 전체 44개 지표 중 1개 지표만이 부적합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는 산촌의 지속가능성에는 물리적 환경보다 사회부문 지표가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전 문가의 의견으로 평가된다.

전문가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산촌 마을단위 지속가능성 평가에서 중요한 지 표들을 살펴보면 환경부문에서는 주택과 자연환경과의 조화, 수질오염도, 산림 자원의 발전가능성 그리고 마을조성으로 인한 경관생태적 구성요소의 변화율 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사회부문에서는 의료시설까지의 거리, 마을리더 존재여부, 마을리더의 역량 교육 여부가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특히 인적자원영역 대부분의 지표들은 사 회부문 평균 이상의 높은 평가를 받아 인적자원이 지속가능한 산촌에 중요한 요소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경제부문에서는 마을특산품의 시장경쟁력과 마을자원을 활용한 마을경제 활용여부가 중요한 지표로 평가되었다.

전문가 조사결과에 따라 산촌 사회경제 조사의 항목은 3개 부문, 9 영역, 20 세부 영역, 86항목으로 수정되었다.

영역 세부영역 평균 표준편차

영역 세부영역 평균 표준편차

보전과자연 복원경관

자연자원 보전계획 수립여부 3.64 1.2863 자연자원의 다양성 정도 3.82 0.8739 자연환경에 대한 만족도 3.82 1.1677 자연보전에 대한 주민 참여와 인식 3.82 1.1677

마을조성으로 인한 경관 생태적

구성요소의 변화율 4.27 0.7862 원생태경관의 보전정도 3.91 0.9439

인공구조물과의 조화성 3.7 0.9487 마을계획 시 자연경관 훼손방지계획

수립여부 3.73 1.1909

영역 세부영역 평균 표준편차

영역 세부영역 평균 표준편차

영역 세부영역 평균 표준편차

차수 일 정 조사지역

1차 2013년 6월 28일(금) 충청남도 보령 청라면 장현1리 은행마을 2차 2013년 7월 2일(화)

~ 5일(금)

경상북도 영양군 수비면 수하1리 산촌생태마을 전라북도 장수군 천천면 비룡리 중상마을

3차 2013년 7월 16일(화)

~ 18일(목)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청량리 진평마을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 거전리 백제인동마을 강원도 화천군 간동면 유촌리 파로호 느릅마을 울산시 울주군 상북면 소호리 소호마을

표 4-15. 예비조사 일정과 조사지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