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산업집적 및 산업입지 실태에 따른 지역유형구분

문서에서 국토정책 연구 세미나 (페이지 37-41)

개요

도시내 산업입지의 다양한 모델을 제시하기 위해 요인분석과 군집분석을 통해 대도 시 구․군 단위에서 지역유형을 구분하였다. 요인점수행렬을 이용한 군집분석은 속성 행렬을 바로 군집분석에 활용하는 경우보다 최종 결과로 도출된 군집의 해석이 용이 해 명료한 지역구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서 지역유형 구분을 위한 선행연구에서

많이 활용되었다(손승호, 2004; 송민경․장훈, 2010). 유형분류는 대도시 전체 구․군

변수 33개에 대한 Kaiser-Meyer-Oklin(KMO) 값이 0.667이고 Bartlett 구형성 검정 결과 유의확률이 0.000으로 요인분석의 사용이 적합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베리멕스

회전법을 통해 요인축을 직각회전시켰으며 고유치 1이상으로 나온 요인을 추출하였 고유치 7.917 4.898 4.401 2.696 2.281 2.249 1.708 1.670

개별 설명량(%) 23.9 14.8 13.3 8.1 6.9 6.8 5.1 5.0

누적 설명량(%) 23.9 38.8 52.1 60.3 67.2 74.0 79.2 84.3

[표 2-20] 추출된 요인 및 요인부하량

요인분석으로부터 도출된 요인점수행렬에 대하여 워드법(Ward)에 의한 계층적 군 집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12개의 군집을 채택하였다.

요인

군집 1요인 2요인 3요인 4요인 5요인 6요인 7요인 8요인

1 1.671 0.327 -0.315 -0.541 -0.183 -0.030 3.777 0.201

2 4.765 -0.396 0.081 -0.004 -0.103 -0.342 -1.973 0.497

3 0.664 2.270 0.136 5.996 -0.288 1.949 0.691 -0.789

4 0.234 1.280 -0.486 0.586 -0.344 0.070 -0.197 -0.865

5 -0.274 2.849 -0.162 -1.241 -0.338 0.208 -0.724 0.386

6 -0.299 0.009 -0.208 0.092 1.744 -0.111 -0.091 0.022

7 -0.225 0.204 3.677 -0.016 0.191 -0.021 0.041 -1.546

8 -0.569 -0.459 3.542 1.090 -0.374 -1.860 -0.303 4.028

9 -0.508 0.785 0.719 -3.338 -0.013 3.599 -0.229 0.676

10 0.179 -0.225 0.150 -0.332 -0.459 0.971 0.058 1.831

11 -0.358 -0.622 -0.239 0.185 -0.826 0.529 -0.093 -0.319 12 -0.242 -0.357 -0.272 -0.167 -0.135 -0.623 -0.098 -0.022

[표 2-21] 군집별 평균요인점수

시사점

산업집적 규모가 크면서 인큐베이팅 및 본사기능이 활발한 지역유형을 도시형 산 업입지 지역이라고 한다면 12개 유형 중 도시형 산업입지 지역은 군집1에서 군집5까 지 5가지 유형이 해당된다. 이중 군집1과 군집2는 지식서비스업 중심 도시형 산업입지, 군집4와 군집5는 제조업 중심 도시형 산업입지, 군집3은 제조업에서 지식서비스업 중 심으로 변화해가는 도시형 산업입지로 볼 수 있다. 지식서비스업 중심 도시형 산업입 지 중에서도 군집1은 계획입지 공급을 통해 지식기반서비스업을 유치하면서 지식서비 스업이 급성장한 지역이다. 이는 계획입지 공급이 대도시의 신성장산업기반 확보에 기 여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계획입지 공급을 통한 지식서비스업 활성화 방안을 찾는 데에 유용한 사례지역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지식서비스업의 성장이 현재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일부 지역에 국한된다는 점에서 지방 대도시에 계획입지 공급 을 통한 지식서비스업 유치 및 활성화 방안을 찾는 것이 절실해 보인다. 제조업 중심 도시형 산업입지 중 군집5와 같이 산업단지로 지정된 지역은 제조업이 성장하고 있다.

반면 군집4와 같이 일반적인 공업지역은 제조업 기반이 위축되었다. 도시 내 산업공간 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이들 지역의 산업 활성화 및 구조 고도화 방안 마련 이 필요하다.

한편, 우리나라 대도시에는 군집7과 군집8과 같이 대규모 공장이 입지하는 지역도 있다. 대규모 공장은 대도시 인근 지역으로 분산할 것이라는 신공간분업 및 기능적 전 문화 논의에도 불구하고 대규모 산업단지로 개발된 울산이라는 도시의 특수성 때문에 대도시 내에 대규모 공장이 입지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정책적으로도 도시 형 산업입지를 공급하는 데에 있어 도시별 산업구조 및 지역특성이 고려되어야함을 의미한다.

문서에서 국토정책 연구 세미나 (페이지 37-41)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