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산업계 요구와 대학교육의 일치 강화방향

CHAPTER

2012년 산업계 관점 대학평가 토목(설계) 분야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제 5

제 5

산업계 요구교과목

교과목 중요도와 일치도 간 차이 산업계 요구

교과목 중요도 (A)

요구내용 일치도 (B)

차이 (C=A-B)

철도공학/설계 3.20 0.36 2.84

플랜트 설계 3.00 0.24 2.76

환경공학 3.60 1.84 1.76

건설관리/건설경영 3.00 1.64 1.36

구조역학 5.00 3.75 1.25

토목 분야의 요구와 대학교육의 일치 (Skill Matching) 강화방향

1. 산업계 요구에 대한 대학의 전공교육 일치 강화방향

산업계 요구분석 결과를 통해 도출된 역량의 중요도와 실제 대학에서의 해당 역량을 키워주기 위해 운영 중인 교과목의 내용 및 교수 방법에 대한 평가 결과를 비교하 여, 산업계의 요구와 대학의 전공 교과목 운영 간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향후 교육과 정 개선 및 운영에 있어 산업계의 관점을 반영한 대학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방 향을 제안할 수 있음

◦ 아래에서 차이(C)가 +1이상인 과목은 철도공학/설계, 플랜트 설계, 환경공학, 건 설관리/건설경영, 구조역학, 수리학, 교량공학/설계, 도로공학/설계, 콘크리트 개 론으로 산업계 요구 중요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대학 전공과정에서 산업계 의 요구분석 내용이 많이 반영되지 않은 과목이라고 할 수 있음. 반면에 차이(C)가 -1 이하인 과목은 공간(지형)정보관측으로 산업계 요구 중요도보다 실제 대학 전 공과정에서 산업계 요구분석 내용이 더 반영된 과목임

<표 Ⅴ-1> 산업계 요구 교과목 중요도와 대학 교과목 요구내용 일치도 차이

산업계 요구교과목

교과목 중요도와 일치도 간 차이 산업계 요구

교과목 중요도 (A)

요구내용 일치도 (B)

차이 (C=A-B)

수리학 4.40 3.16 1.24

교량공학/설계 3.80 2.57 1.23

도로공학/설계 4.20 3.12 1.08

콘크리트개론 4.40 3.33 1.07

(실험수업)토질조사 3.80 2.81 0.99

토질역학 4.60 3.79 0.81

수문학 3.80 3.04 0.76

강구조공학 4.00 3.29 0.71

기초공학 4.40 3.77 0.63

해안및항만공학/설계 3.00 2.39 0.61

유체역학 4.60 4.03 0.57

상하수도/수처리공학 3.80 3.29 0.51

정역학(재료/고체역학) 4.40 3.96 0.44

공업수학 3.80 3.75 0.05

CAD 3.40 3.35 0.05

공간(지형)정보관측 3.80 3.97 (0.17)

평균 3.90 2.93 0.98

일부 과목의 경우 현재 평가대학의 개설률이 낮거나, 유사 교과목에 포함되어 개설 되는 등 대학에서 큰 비중을 가지지 못하고 있음

◦토목 분야의 기초가 되는 과목인 공업수학, CAD, 공간(지형)정보관측 등의 과목은 대학에서 적정한 수준의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음

◦또한 중요도가 높은 대부분의 교과가 개설율이 80%이상인 것으로 나타나 다른 산 업분야에 비해 토목의 전공교육과정은 산업계의 요구를 충실히 반영하는 것으로 평 가됨

대학 특성에 따라 적합한 교과목 분야를 구성하여, 학생 진로지도를 통해 취업을 원 하는 기업 분야에 필요한 교과목 정보를 제시해 주고, 학생들이 이를 수강할 수 있

산업계 요구역량

역량 중요도와 보유도 간 차이 역량중요도

(A)

역량보유도

(B) 차이 (C=A-B)

구조 이해 4.28 3.61 0.67

토질(기반) 이해 4.1 3.45 0.65

건설산업에 대한 이해 4.43 3.83 0.6

설계도면 작성(CAD) 능력 4.23 3.63 0.6

현장조사능력 4.29 3.75 0.54

토목공학 기초능력 4.31 3.79 0.52

도록 권장해야 함

◦ 일부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주요과목의 추가 개설 검토가 필요하며, 필요시 타 전공 과목 수강을 전공 졸업 이수 학점으로 인정하는 제도의 도입이 필요함

◦ 전반적으로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학과목의 개설 및 일반, 전문역량 함양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토목 업계의 실무에 적합한 인재를 양성하기에는 다소 부족한 면이 있음. 산업계와 산학협동을 통한 시장요구의 반영과 각 대학마다의 특성화 전략이 필요함

2. 산업계 요구역량 대비 대학졸업자 역량보유정도 일치 강화방향

부서장의 평가를 통해 도출된 대졸자에게 기대되는 전문직무역량의 중요도와 실제 대학졸업자의 보유 역량과 비교하여, 산업계의 요구 배출된 졸업자 역량의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현재 대학교육의 방향과 성과를 진단할 수 있음

◦ 전문직무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보유도 간 차이가 큰 과목은 구조 이해(0.67), 토질 (기반) 이해(0.65) 등이나 전반적으로 토목 분야는 다른 산업 분야에 비해 중요도 와 보유 역량 간 차이가 작은 편으로 나타남. 그러나 차이가 크게 나타난 과목에 대해서는 전공 교육과정에서 보다 강화할 필요가 있음

<표 Ⅴ-2> 산업계 요구 대비 전문직무역량 보유도

산업계 요구역량

역량 중요도와 보유도 간 차이 역량중요도

(A)

역량보유도

(B) 차이 (C=A-B)

환경 설계의 이해 3.64 3.31 0.33

도로 및 공항 설계의 이해 3.72 3.5 0.22

수공 설계의 이해 3.37 3.4 (0.03)

해양/항만의 이해 2.88 3.06 (0.18)

플랜트 토목의 이해 3.05 3.28 (0.23)

철도 설계의 이해 2.62 3.12 (0.5)

평균 3.74 3.48 0.26

(산업계 중요도 판정과 대학 운영 중요도 판정 간 차이가 큰 과목 순대로 제시함)

산업계요구와 교과목 운영의 차이가 상대적으로 큰 교과목들은 현재 평가대학에서 개설률이 낮거나, 산업계 요구가 상승하고 있음에도 대학의 교과과정이 이를 반영하 지 못한 경우임

◦ 전반적으로 산업계가 요구하는 역량을 충분히 배양할 수 있는 내용의 강의가 개설 되고 있지 않으며, 결과적으로 대학졸업자들이 충분한 역량을 가지고 배출되지 않 아 산업-대학간 역량 격차가 발생함

◦ 건설관리 및 경영관련 과목 등 산업에서 요구하는 신설과목을 확충하고, 구조역학 및 수리학과 같이 전공의 기초가 되는 과목에 대해서 보다 충실한 교과과정을 구 성해야 함

- 현장에서 가장 큰 격차를 보이는 직무역량인 산업 관리 등의 분야의 역량 확충 을 위해 신설 과목을 개설하여야 함

- CAD 등 실무에서 바로 쓰일 수 있는 역량을 지원할 수 있도록 관련 과목의 충 실화가 필요함

- 토목산업에서 가장 기초가 되는 구조와 토질부분의 경우 산업분야의 전반에 모 두 쓰임이 있는 중요한 역량이므로, 학생들에게 그 중요성을 강조하여 역량 배 양에 힘쓰도록 해야 함

정부는 요구 분야에 대한 현장형 실습환경 조성 노력을 해야 하며, 대학은 자체적 상 황에 맞는 산업계 요구분석을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이를 반영하기 위해 노력해야 함

◦ 대학에서는 산학 협력을 강화하고, 실무 및 현장 중심 교육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 해야 함. 전문분야 지식 뿐 아니라 인성교육과 기초교육에도 힘써 산업계 요구에 부합하는 인재를 양성해야 함

3. 산업계 요구와 대학교육의 일치 강화방향

정부는 요구 분야에 대한 현장형 실습환경 조성 노력을 해야 하며, 대학은 자체적 상 황에 맞는 산업계 요구분석을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이를 반영하기 위해 노력해야 함

◦ 대학에서는 산학 협력을 강화하고, 실무 및 현장 중심 교육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 해야 함. 전문분야 지식 뿐 아니라 인성교육과 기초교육에도 힘써 산업계 요구에 부합하는 인재를 양성해야 함

전반적으로 산업계 전문가, 기업의 부서장, 최근 입사한 대학 졸업생이 대학 교육과 정을 통하여 배출하고자 하는 인재상과 역량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소 상이한 입장 차이를 보이고 있음

◦ 구체적으로, 대기업 혹은 중소기업 등 그 유형에 따라, 졸업생에게 요구하는 역량 의 구체적 내용이 상이할 수 있으며, 대학 역시 연구중점 혹은 교육중점 대학이냐 에 따라 키우고자 하는 인재상이 달라질 수 있음

◦ 따라서 산업계가 졸업생에게 요구하는 다양한 역량을 산업계 특성별로 유형화하고 또 대학들은 대학 자체의 특성을 살려 가장 적합한 역량군을 중심으로 자체적으로 대학교육과정을 개선하는 노력이 경주될 필요가 있음

◦ 또한 정부는 이러한 대학의 자체적인 개선 노력을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필요함

결 론

1. 요약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