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산과적 응급상황

문서에서 여성건강간호학 (페이지 164-171)

33장. 분만 합병증

V. 산과적 응급상황

V. 산과적 응급상황

165

33장. 분만 합병증

2. 제대 탈출(Prolapsed umbilical cord)

1. 정의: 태아 선진부 아래에 제대가 놓이는 경우

2. 관련 요소: 파막시 (중력에 의해 제대가 아래로 밀려 나옴), 파막이 아니어도 진통 중 발생가능(긴 제대, 선진부 이상-둔위, 횡위, 선진부 진입이 안 된 상태)

3. 유형: 그림 33-17

V. 산과적 응급상황

33장. 분만 합병증 2. 제대 탈출(Prolapsed umbilical cord)

4. 임상 치료 및 간호

- 제대탈출을 즉각적으로 인지해야

-> 제대 압박시 태아 저산소증 초래-> 태아 CNS 손상 및 사망

- ** 제대압박 완화조치: 선진부를 들어 반대방향으로 압력을 가해 압박을 완화 변형된 체위(Sim's or Knee-chest p.) 통해 중력으로 인한 제대의 선진부 압박을 제거

- 빠른 분만을 유도: 보조적 분만술 시행

- 응급간호를 요하는 증상: 태아서맥, 질을 통한 제대 관찰시 - *** 응급처치 및 간호 :

도움 요청,

즉시 장갑 끼고 경관에 손을 넣고 선진부를 들어올림 체위변경

질 밖으로 제대 나온 경우 식염수를 적신 소독된 수건으로 느슨하게 감싼다.

V. 산과적 응급상황

167

33장. 분만 합병증

3. 자궁파열(uterine rupture)

1. 원인: 과거 제왕절개 수술의 상흔 분리, 자궁 손상(사고, 수술력), 선천성 자궁기형 2. 관련 요소: 강한 자연적 자궁수축시, 진통 촉진시, 자궁의 과다신전(다태임신), 선진

부 이상, 내외회전시, 겸자보조술 등, 경임부에서 더 자주 발생 3. 증상 및 징후: 완전/불완전 파열에 따라 다르다

불완전 파열시: 수술상흔이 분리되는 정도-내부출혈이 적고, 통증이 없기도 완전파열시: 자궁벽, 복강, 광인대로 연장되기도 - 내부출혈 발생

태아 심박동의 변화: 후기 감소, 다양성 감소, 심박동의 변이, OR 사망까지

모체: 구토, 어지러움, 예리한 복부압통 증가, 저긴장성 자궁수축, 진행 지연, 출혈 또는 혈액 손실 소견(저혈량성 shock 반응)

V. 산과적 응급상황

33장. 분만 합병증

3. 자궁파열(uterine rupture) 4. 임상 치료 및 간호

• 예방이 최선

• Classical c/s Hx 에서는 VBAC 권유를 안 함

• 분만촉진제 사용시 자궁과다자극반응 관찰

• v/s 중요성: 산후 과다출혈소견 사정, 자궁퇴축정도 사정

• 파열 발생시: 응급 수술로 태아출산 후, 열상 복구, 수혈, 자궁적출술이 필요하기도 대상 자와 가족에게 정보제공과 지지

V. 산과적 응급상황

169

33장. 분만 합병증

4. 양수 색전(amniotic fluid embolism)

1. 정의: 태지, 머리카락, 피부세포, 태변 섞인 양수가 모체 순환계로 들어가 폐혈관을 막 아 호흡질식과 순환계 차단을 초래하는 것

2. 관련 요소: 태반 조기박리시, 자궁열상이나 파열시 - 모성사망 10%, 태아사망의 50%

3. 위험 요소: 모체측 - 경산, 심한 자궁수축시, 유도분만시 태아측 - 거대아, 태아사망, 태변배설 등 4. 증상 및 징후:

호흡부전증 - 안절부절, 호흡곤란, 청색증, 폐부종, 호흡정지 순환기 폐색 - 저혈압, 빈맥, shock, 심장 정지

출혈 - 응고부전 sign: 반점, 점상출혈, hematoma

V. 산과적 응급상황

33장. 분만 합병증

4. 양수 색전(amniotic fluid embolism) 5. 임상 치료 및 간호

- 즉각적인 응급처치 및 간호

: 산소공급, 기도유지 및 호흡 유지(ventilator)

: CPR 필요 - 30도 정도 측위로 놓고, 관련 간호 제공 : 심박출량 유지 및 체액손실 보충

- 측위, IV fluid 주입 증가, 수혈, urine output 사정 - DIC(응고경향) 평가하여 치료

- 태아와 모체 상태 감시

- 상태 안전시 응급분만 준비

- 대상자, 배우자 및 가족에게 정서적 지지: 응급상황에 대한 정보제공, 위기관리

UNIT 7. 임신과 관련된 합병증

문서에서 여성건강간호학 (페이지 164-171)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