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Ⅲ. 감정교육 방안을 위한 아이디어

1. 사회정서학습

감정교육프로그램을 설계하기 위해 학교 현장에서 활용하고 있는 학교폭력 예 방 프로그램의 근간인 사회정서학습을 검토하였다.

사회정서학습을 요약하자면 “초·중·고등학교에서 자신의 정서와 장단점을 이해 하고 정서의 경험과 표현을 조절하며 타인의 입장과 정서를 이해하고 원만한 대 인관계를 유지하며 책임 있는 의사결정을 내리는 능력을 발달시키고 긍정적이고 안전한 학교 환경을 조성하는 과정(네이버 지식백과 검색, 검색일: 2018.10.8.)”이 다. 사회‧정서학습은 사회‧정서적 유능성12)을 함양하여 인생에서보다 성공적으로 살아가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가. 사회·정서적 능력

사회‧정서적 능력은 자기 자신에 대해 정확하게 인식하며 스스로 감정을 관리 하고 자기 주변의 환경과 사람들의 관계에서 조화롭게 생활해 나가는 데 필수적 인 능력이다(서주희, 2010, p.17).

사회‧정서적 능력은 크게 자기인식, 자기관리, 사회적 인식, 대인관계 기술, 책 임 있는 의사결정이라는 5가지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섯 가지 역량 중 감정 인식은 자신의 감정을 정확히 인지하는 능력, 그리고 타인의 감정을 정확히 인지 할 뿐만 아니라 공감하는 능력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감정인식은 사회‧정서적

12) 사회‧정서적 유능성이란 한 인간이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선하고 바르게 살아가는 데 필요한 사회 정서적 능력이 잘 발달된 상태를 말한다.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감정교육의 가장 기초적인 영역으로서 사회정서학습 프로 그램의 첫 단계에 반드시 학습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김은정 외, 2014, p.86).

사회정서학습협회(CASEL)에서 정의한 핵심적인 사회‧정서적 능력들은 다음과 같다.

<표Ⅲ-1> CASEL의 사회·정서적 능력의 핵심 개념

CASEL(2013d)에서는 사회·정서적 능력들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자기 인식 (self-awareness)은 자신의 정서, 신념, 흥미, 가치관, 강점, 약점을 정확하게 파악 하고, 자신의 정서와 생각이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며, 근거 있는 자신감과 자기효능감을 유지하는 능력을 말한다. 자기관리(self-management)는 상황에 적 합한 방식으로 정서를 표현하고, 스트레스를 관리하며 충동을 통제하고, 개인적 목표와 학업 관련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동기 수준을 유지하는 능력을 말한다. 사 회적 인식(social awareness)는 서로 다른 문화와 배경을 가진 타인의 입장을 이 해하고 공감하며, 개인 간 차이와 집단 간 차이를 존중하고, 행동 규범을 정확하 게 이해하며, 가족·학교·지역사회가 제공하는 자원과 지원을 파악하는 능력을 말 한다. 관계기술(relationship skills)는 자신의 의견을 분명하게 표현하고, 타인의 의견을 경청하며 협력하고, 대인간 갈등을 원만하게 해결하며, 부적절한 사회적 압력에 저항하며, 필요한 도움을 주고받음으로써 타인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는 능력을 말한다. 책임있는 의사결정(responsible decision -making)은 행동이 초래 하는 결과에 대한 현실적 평가, 안전, 윤리기준, 사회규범, 자신과 타인의 안녕에 근거하여 현명한 결정을 내리고 책임감 있게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말한다.

연구자는 사회·정서적 능력의 자기 인식 능력과 자기 관리 능력을 감정교육 기 초에 필요한 능력으로 간주하고 이와 관련된 사회정서학습 활동을 연구자의 감정 교육 프로그램의 아이디어로 활용하였다. 특히 사회정서학습이 감정교육에서 감 정인식을 강조하는 만큼 다양한 활동 방법을 참고할 수 있었다.

나.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 Strong Kids

사회정서학습을 토대로 만들어진 교육 프로그램들은 다양하다. 그 중 감정인식 과 관련한 프로그램들의 내용을 다음과 같다.

<표Ⅲ-2> 감정인식과 관련 있는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 내용 과 Oregon Resiliency Project Team(2007)에 의해 개발된 혁신적인 증거 기반의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 중 하나이다. Strong Kids 시리즈는 사회·정서적 역량을 함양하고 정서적 유연성을 기르는데 주요한 목적으로 하며, 불안, 우울 등과 같은 내적 증상과 관련된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을 가르친다(김진환, 2017, p.30). Strong Kids 프로그램의 단원 구성은 아래와 같다.

<표Ⅲ-3> Strong Kids 프로그램의 단원 구성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