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다. 사회적 지지와 개인 ․ 사회적 위험

청소년이 본인이 현재 받고 있는 사회적 지지가 어느 정도인가에 따라 서 스트레스, 우울증상, 불안장애, 자살생각 경험여부, 일탈충동 경험여 부 등을 분석하기 위해 사회적 지지정도를 3개군(0~3점, 4~6점, 7~10 점)으로 분류하고, 3개의 그룹별로 스트레스를 느끼는 정도, 우울정도, 불안장애, 자살생각 경험여부, 일탈충동 경험여부에 대한 응답의 분포를 분석해 보았다.

사회적 지지 정도가 가장 높은 집단에서 스트레스를 거의 느끼지 않거 나 조금 느낀다고 응답한 비율이 71.5%로 나타났고, 우울정도는 7.48점, 불안장애 정도는 36.0점으로 낮게 조사되었다. 반면 사회적 지지 정도가 가장 낮은 집단에서 자살생각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58.6%, 사회 적 일탈 충동 경험이 있었다라고 응답한 비율이 44.5%로 다른 집단에 비 해 높게 조사되었다. 즉, 일반적으로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고 있다고 생 각하는 집단일수록 스트레스 정도, 우울정도와 불안장애가 낮았으며, 사 회적 지지를 적게 받고 있다고 생각하는 집단일수록 자살 생각 경험과 사 회적 일탈 충동 경험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이들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 한 결과를 나타냈다.

〈표 2-59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식과 개인․사회적 위험과의 관계 (단: 명, % 사회 지지

스트레정도CES-D안장애 거의 느끼지조금많이 매우 많이 통계값M±SD통계M±SD통계값 인원비율인원비율인원비율인원비율 0∼3점625264.219831.726943.013221.1 X2= 452.546***

15.71±7.06 F= 503.231***

45.20±9.66 F= 357.14∼6점2,1901004.61,16453.279636.3130 5.910.92±6.1640.39±8.26 7∼10점2,18524711.31,31560.255125.2 72 3.37.48±5.4536.00±7.64 사회 지지

자살 (죽싶다생각) 경험사회일탈 충동 아니 통계값있음없음 통계값 인원비율인원비율인원비율인원비율 0∼3점62536758.625941.4 X2= 253.838***

27844.534755.5 X 105.24∼6점2,19076835.11,42264.964929.61,54170.4 7∼10점2,18554224.81,64375.251423.51,67176.5 : *: p<0.05, **: p<0.01, ***: p<0.001

사회적 지지와 더불어 대상자의 사회적 연결정도에 따른 개인적 ․ 사회 적 위험의 정도의 차이를 보기위해서 평소 가족끼리 소통(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전화를 이용한 소통을 포함)을 얼마나 하고 있는지에 대한 가족 과의 소통정도를 독립변수, 청소년의 스트레스, 우울증상, 불안장애, 자 살생각 경험여부, 일탈충동 경험여부 등을 각각 종속변수로 하여 분석하 기 위해 가족과의 소통정도를 3개군(0~3점, 4~6점, 7~10점)으로 분류 하고, 각 그룹에 따라 스트레스, 우울증상, 불안장애, 자살생각 경험여부, 일탈충동 경험여부에 대한 응답의 분포를 살펴보았다.

가족과의 소통정도를 ‘7~10점’이라고 답한 집단에서 스트레스를 거의 느끼지 않거나 조금 느낀다고 응답한 비율이 69.1%로 나타났고, 우울정 도는 7.97점, 불안장애 정도는 36.70점으로 다른 집단에 비해 낮게 조사 되었다. 자살생각 경험여부와 사회적 일탈충동경험에 대한 조사결과에서 는 가족과의 소통정도에서 ‘0~3점’ 집단에서 자살생각 경험이 있다고 응 답한 비율이 51.9%, 사회적 일탈 충동 경험이 있었다라고 응답한 비율이 42.4%로 다른 집단에 비해 높게 조사되었다. 가족들과 소통을 많이 하고 있다고 응답한 집단일수록 스트레스 정도가 낮았으며, 우울정도와 불안 장애도 낮게 나타났고, 자살 생각 경험과 사회적 일탈 충동 경험의 비율 도 가족들과 소통을 적게 하고 있다고 응답한 집단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2-60청소년의 가족과의 소통정도와 개인․사회적 위험과의 관계 (단: 명, % 가족과 소통정도

스트레스 CES-D안장애 거의 느끼않음조금많이매우 많이 통계값M±SD통계값M±SD통계값 인원비율인원비율인원비율인원비율 0∼3점894374.136640.936941.312213.6 X2= 229.830***

13.56.88 F= 285.499***

42.70±9.20 F= 191.574∼6점1,818925.197453.663735.01156.310.86.3140.27±8.42 7∼10점2,28924410.71,33758.461126.7974.27.97±5.8736.70±8.14 가족과 소통정도

자살 생각(죽고 다는 ) 사회일탈 충동 아니오 통계값있음없음 통계값 인원비율인원비율인원비율인원비율 0∼3점89446451.943048.1 X2= 212.672***

37942.451557.6 X2 109.824∼6점1,81764035.21,17764.452028.61,29771.4 7∼10점2,28957225.01,71775.054223.71,74776.3 : *: p<0.05, **: p<0.01, ***: p<0.001

사회적 연결망의 정도를 가족들과의 소통정도와 더불어 청소년들에게 중요한 친구들과의 소통정도를 조사하고, 친구들과의 소통정도에 따른 개인 ․ 사회적 위험의 정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분석하였다. 친구와의 소통정도를 3개의 그룹(0~3점, 4~6점, 7~10점)으로 분류하고, 그룹별 로 스트레스를 느끼는 정도, 우울증상, 불안장애, 자살생각 경험여부, 일 탈충동 경험여부에 대한 응답의 분포를 분석해 보았다.

친구와의 소통정도가 ‘7~10점’으로 가장 높았던 집단에서는 스트레스 를 거의 느끼지 않거나 조금 느낀다고 응답한 비율이 64.5%로 나타났고, 우울도도 8.83점, 불안장애 정도 37.78점으로 친구들과의 소통정도가 낮다고 응답한 집단에 비해 낮게 조사되었다. 친구와의 소통정도가 ‘0~3 점’으로 가장 낮았던 집단에서는 자살생각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56.1%, 사회적 일탈 충동 경험이 있었다라고 응답한 비율이 43.3%로 다 른 집단에 비해 높게 조사되었다. 결과적으로, 친구들과 소통을 많이 하 고 있다고 응답한 집단일수록 스트레스 정도, 우울정도와 불안장애가 낮 았으며, 친구들과 소통을 적게 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집단일수록 자살 생각 경험과 사회적 일탈 충동 경험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이들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표 2-61청소년의 친구들과의 소통정도와 개인․사회적 위험과의 관계 (단: 명, % 구들과 통정도

스트레정도CES-D불안장애 거의 느끼않음조금많이 매우 많이 통계M±SD통계M±SD통계값 인원비율인원비율인원비율인원비율 0∼3점445204.518641.816236.47717.3 X2= 133.616***

14.44±7.28 F=205.913 ***

43.39.86 123.54∼6점1,256675.364751.545836.5846.711.56±6.4340.97±8.63 7∼10점3,2982858.61,84355.999730.21735.28.83±6.1237.78±8.32 구들과 통정도

자살 (죽싶다생각) 경험사회적 일탈 아니오 통계있음없음 통계 인원비율인원비율인원비율인원비율 0∼3점44625056.119643.9 X2= 121.086***

19343.325356.7 X 50.924∼6점1,25643834.981865.135828.589771.5 7∼10점3,29898930.02,30970.089027.02,40973.0 : *: p<0.05, **: p<0.01, ***: p<0.001

그 다음으로 주변에서 얻을 수 있는 사회적 지지의 정도를 간접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평소 어려움에 처한 경우 주변으로부터 어느 정도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해 질문하였고, 대상자가 응답한 주변에 서 받을 수 있는 도움의 정도를 독립변수로, 스트레스, 우울증상, 불안장 애, 자살생각 경험여부, 일탈충동 경험여부 등을 각각 종속변수로 하여 분석하였다. 주변 도움 정도를 3개의 그룹으로 나누고, 그룹에 따라 스트 레스, 우울증상, 불안장애, 자살생각 경험여부, 일탈충동 경험여부에 대 한 응답의 분포를 분석해 보았다.

주변 도움정도가 가장 높은 집단에서 스트레스를 거의 느끼지 않거나 조금 느낀다고 응답한 비율이 70.7%로 나타났고, 우울정도는 7.55점, 불 안장애 정도는 26.13점으로 낮게 조사되었다. 자살생각 경험여부와 사회 적 일탈충동경험에 대한 조사결과에서는 주변 도움 정도가 가장 낮은 집 단에서 자살생각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63.7%, 사회적 일탈 충동 경험이 있었다고 응답한 비율이 47.1%로 다른 집단에 비해 높게 조사되 었다. 따라서 평소 어려움이 처한 경우 주변으로부터 어느 정도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집단일수록 스트레스 정도, 우울정도와 불안장 애의 위험도 낮다고 할 수 있으며, 어려움에 처했을 때 주변의 도움을 적 게 받는다고 생각하는 집단일수록 자살 생각 경험과 사회적 일탈 충동 경험 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이들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표 2-62청소년의 주변으로부터의 도움정도에 대한 인식과 개인․사회적 위험과의 관계 (단: 명, % 변으로부터 도움정

스트레스 CES-D안장애 거의 느끼지조금 많이매우 많이 통계M±SD통계값M±SD통계값 인원비율인원비율인원비율인원비율 0∼3점520203.815529.823545.211021.2 X2= 421.191***

16.36.74 F= 591.463***

45.79.09 F= 414.54∼6점1,903844.496950.971937.81316.911.64±6.1441.23±8.37 7∼10점2,57726910.41,55360.366225.7933.67.55±5.5326.13±7.69 변으로부터 도움정

자살 생각(죽고 다는 ) 사회일탈 충동 아니 통계있음없음 통계 인원비율인원비율인원비율인원비율 0∼3점52033163.718936.3 X2= 335.838***

24547.127552.9 X2 130.734∼6점1,90372738.21,17661.859831.41,30568.6 7∼10점2,57761824.01,95976.059823.21,97976.8 : *: p<0.05, **: p<0.01, ***: p<0.001

그 다음으로 평소 마음을 털어놓고 상의할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있다 고 생각하는지에 따라 청소년의 스트레스 정도, 우울증상, 불안장애, 자 살생각 경험여부, 일탈충동 경험여부 등이 달라지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주변에 상의 할 수 있는 사람의 정도를 3개군(0~3점, 4~6점, 7~10점)으 로 구분하고, 각각의 군에 따라 스트레스, 우울증상, 불안장애, 자살생각 경험여부, 일탈충동 경험여부에 대한 응답의 분포를 분석해 보았다.

주변에 상의할 수 있는 사람의 수에 대한 인식 점수가 ‘7~10점’ 집단에 서 스트레스를 거의 느끼지 않거나 조금 느낀다고 응답한 비율이 73.0%

로 나타났고, 우울도도 7.14점, 불안장애 정도 35.85점으로 낮게 조사되 었다. 반면에 주변에 상의할 수 있는 사람에 대한 인식 점수가 ‘0~3점’ 집 단에서는 자살생각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56.5%, 사회적 일탈 충 동 경험이 있었다고 응답한 비율이 44.1%로 다른 집단에 비해 높게 조사 되었다. 앞선 주변사람의 도움정도에 대한 결과와 마찬가지로 평소 마음 을 털어놓고 상의할 수 있는 사람이 많다고 응답한 집단일수록 스트레스 정도가 낮았으며, 우울정도와 불안장애도 낮게 나타났고, 자살 생각 경험 과 사회적 일탈 충동 경험의 비율도 평소 상의할 수 있는 사람이 적다고 응답한 집단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표 2-63청소년의 상의할 있는 사람의 수에 대한 인식과 개인․사회적 위험과의 관계 (단: 명, % 상의 있는 람의

스트레정도CES-D불안장애 거의 끼지 조금많이매우 많이 통계값M±SD통계M±SD통계 인원비율인원비율인원비율인원비율 0∼3점1,219403.346338.054144.417514.4 X2= 418.937***

스트레정도CES-D불안장애 거의 끼지 조금많이매우 많이 통계값M±SD통계M±SD통계 인원비율인원비율인원비율인원비율 0∼3점1,219403.346338.054144.417514.4 X2= 418.9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