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자본

제2절 청소년의 사회 ․ 심리적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자본

사회적 관계망을 바탕으로 하여 확보할 수 있는 사회적 지지(social support)는 개인의 정신적 ․ 심리적 안녕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되며, 사회 ․ 심리적 불안과는 부(-)의 상관관계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사회적 관계망이나 사회적 지지의 정도를 절대적 기준에 의해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응답자 본인 이 스스로 생각하는 사회적 지지의 정도를 파악하였다. 즉, 주관적으로 인지하고 있는 사회적 지지 수준을 0점(전혀 받고 있지 않음)∼10점(매우 많이 받고 있음)까지의 점수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주관적 사회적 지지 의 정도는 평균 6.0점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이 가족이나 사 회로부터 지지를 받고 있다는 인식이 높지 않은 수준임을 보여 주고 있다.

이를 청소년의 특성별로 보면, 성별, 거주지역, 가구구성 형태, 종교활 동 여부 등에 따라서는 별다른 차이가 없으며 통계적인 유의성도 낮다.

그러나 중학교 중퇴 ․ 졸업자(5.4점), 고등학교 중퇴 ․ 졸업자(5.1점)는 중 학교 재학생(6.2점), 고등학교 재학생(5.8점), 대학교 재학생(6.1점) 등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의 낮은 점수를 보였다.

특히 학교 재학생 중인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로 구분해 보면 재학 중인 경우는 6.0점, 그렇지 않은 경우는 5.3점으로, 학교에 다니지 않은 청소년들일수록 자신이 사회적 지지를 받고 있다는 인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교에 다니지 않음으로 인해 교우 등 주변으로부터 지지를 받을 수 있는 관계망이 약해져서 그럴 수도 있겠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사회적 지지를 적게 받고 있다고 느끼는 청소년들일수록 학교를 중퇴하는 등의 현상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일 수도 있다. 그러나 어느 쪽이든 학교밖 청

소년일수록 사회적 지지를 받고 있다는 인식이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함께, 사회적 지지에 대한 주관적 인식과는 질문을 조금 달리하여 어려움에 처했을 때 주변으로부터 어느 정도 도움을 받을 수 있는지도 파 악해 보았다. 즉, 평소에 사회적 지지를 어느 정도 받고 있는지에 대한 일 반적 인식에서 한걸음 나아가 상황을 조금 더 구체화하여 어느 정도 도움 을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해 파악해 보았다. 0점(도움을 전혀 받을 수 없음)

∼10점(도움을 받을 가능성이 매우 높음)까지의 점수로 파악해 본 결과 주 관적 사회적 지지 인식 점수에 비해 다소 높은 평균 6.4점으로 나타났다.

이 경우에도 성별, 거주지역, 가구구성 형태, 종교활동 여부 등에 따라 서는 별다른 차이가 없으나 학교 재학여부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 였다. 중학교 재학생 6.7점, 고등학교 재학생 6.3점, 대학교 재학생 6.4 점 등에 비해 중학교 중퇴 ․ 졸업자는 5.9점, 고등학교 중퇴 ․ 졸업자는 5.2 점이었다. 학교에 재학 중인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로 구분해 보면, 학 교에 재학 중인 경우는 6.4점, 그렇지 않은 경우는 5.6점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연령이 낮을수록 점수가 높게 나타났는데, 만 14세 6.8점, 만 18세 6.2점 등이었다.

또한 사회적 자본의 개념 하에서 평소에 마음을 털어 놓고 상의할 수 있는 신뢰할만한 사람이 얼마나 있다고 생각하는 지에 대해서도 질문해 보았는데, 이 질문에 대한 결과는 위의 두 질문과 다소 다른 응답 양상을 보이고 있다. 0점(전혀 없음)∼10점(매우 많음)까지의 점수로 측정해 본 결과 평균 5.5점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사회적 지지에 대한 주관적 인식 점수나 어려움에 처했을 경우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가능성 점수보다 상 대적으로 낮은 점수이다. 이는 주변으로부터 도움이나 지지를 받을 수 있 는 가능성, 또는 도움을 받는 정도라는 측면과 개인이 가진 사회적 자본 이 어느 정도인지 간의 차이인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사회적 지지에 대한 주관적 인식이나 어려움에 처했을 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가능성의 경우에 비해 성별 점수 차이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표 2-23〉 도움을 받을 가능성 및 상의할 수 있는 사람수에 대한 청소년의 인식 점수1)

과는 또 다른 의미를 가진다. 즉, 사회적 관계망이나 지지망이 폭넓고 긴

주: 1) 0점(소통 전혀 없음) ∼ 10점(소통 매우 많음)으로 측정한 점수

사회적 지지에 대한 주관적 인식 점수와 관련하여서는, 0∼4점인 집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