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사전/사후 자기평가표 (학생)

문서에서 부산장안고등학교 (페이지 66-69)

차시별 학생 평가기준 및 방법

수행 과정 평가표

평가 결과에 대한 피드백

(1) 개인 학습 활동지에 대한 정량 평가(학생 활동지 2번 참고) (2) 협동 학습에 대한 부담 변화 확인

기준

사전 응답 결과

사후 응답 결과

분석

지난 달 1학년 학생들 대상으로 조사한 ‘과제에 대한 부담도 설문’ 결과에서 부산장안고 학생 들은 과제의 양이 많더라도 조별 과제보다 개별 과제에 대한 선호도가 높다는 사실을 확인하 였다. 협동 학습일수록 일괄 성적 부여에 있어 예민한 부분과 의견 조율에 대한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이번 활동에서는 미리 충분히 계획하고, 각자 흩어져서 개별 활동을 하며, 조력자(시상 화석, 이음이)활동을 추가하여 개인이 단체에 속했을 때의 책임감을 줄여주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활동이 학생들에게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사전, 사후 로 나누어 협동 학습에 대한 생각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설문 결과 실제로 사전, 사후 협동 학 습에 대한 부담감이 줄어든 것을 그래프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고, 협동학습을 부담스럽다(5 점 이하) 응답한 학생이 (26%→5%)로 감소하였고, 이런 협동 학습이라면 자신있다고 생각하는 학생(9점 이상)이 (20%→45%)로 증가하였다.

(3) 지질 시대 개념 확인에 대한 정성 평가

기준

사전 응답 결과

사후 응답 결과

분석

지질 시대 이해도에 대한 정량 평가를 하기 전 두 번의 스스로 정성평가를 하게하였다. 이 활 동을 통해 본인 스스로 단원 개념에 대한 자신감을 갖고, 이후 정성평가를 하여 부족한 부분을 빠르게 채울 수 있을 바라며 자기 평가를 시행하였다.

사전 평가에서 지질 시대 이해도 7점 이하 86.9%, 사후 평가에서 7점 이상이 85%로 협동 학 습에 대한 부담감 해소 보다 더 큰 폭으로 개념 이해가 이루어졌다고 판단된다. 2차시에 걸쳐 강의식 수업을 하더라도 비슷한 결과를 가질 수 있지만, 스스로 찾아보고 얘기하고 표현하였기 때문에 장기 기억에는 이번 활동이 더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4) 평가 방법에 대한 환류

2018학년도 기개발했던 수업 활동에서 가장 어려웠던 부분은 창의적 산출물에 대한 평가였다. 예술적 (미술적) 표현에 대한 차등과 산출물 자체로 개념 이해도를 평가하는데 객관성이 부족하여, 이번 활동 은 급간 차이와 반영 비율을 축소하였다. 스스로 평가한 사전→사후에서 점수 상승은 곧 과정 평가에 대한 근거가 되며, 이를 검증하기 위해 정량 평가를 배제할 수 없었던 점이 아쉽게 남는다. 과정 평가 에 객관성을 얼마만큼 확보할 수 있는가는 계속되는 숙제지만 이러한 연구회를 계기로 여러 선생님들 의 좋은 의견을 들을 수 있었기에 앞으로 학생들을 위한 더 나은 평가 방법 개선을 연구하고자한다.

학교생활기록부 기재 예시

바. 제6차시 학습지도안

항목 학생부 기재 예시

교과학습발달상황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지질 시대 자기평가 8 점 이상)

(과학) 지질 연대표에서 지질 시대를 구분하는 기준을 설명하고, 각 지질 시대 의 명칭을 말할 수 있으며, 표준 화석과 시상 화석, 지질 시대별 화석의 특징을 발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고생물의 특징과 진화를 설명할 수 있다.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

(협력 학습 자기평가 8 점 이상)

친구들의 의견을 경청한 후 본인의 주장을 잘 표현하여 협력을 요하는 과제를 수행하는데 자신감이 있음.

중심과목

과학

학교급/학년(군)

고등학교/1 학년

중심과목

문서에서 부산장안고등학교 (페이지 66-69)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