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사례 분석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9-79)

.

사례 개요 1.

사례 분석 2.

소 결

3.

사례분석

사례 개요

본연구의 사례 대상은 우리나라와 유치원 초, ・ ・중 고등학교의 교육과정이 비슷하 며 유치원 디자인에 있어 다양한 형태와 방법으로 실내 공간의 디자인을 풀어나가는, 일본의 사례 10곳을 중심으로 비교분석한다 일본과 한국의 교육과정의 영역 설정은. 가지 영역으로 구성 그러나 영역별 명칭에 있어 한국은 생활 이라는 표현을 사용하

5 , ‘ ’

며 일본은 영역 이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또한 건강생활 과 생활, ‘ ’ . ‘ ’ ‘ ’, 표현생활과 표현, 언어생활과 언어 등 비슷한 개념으로 설명되고 있다18). 이러한 부분에서 보았을 때, 한국은 전반적인 생활면에서 구체적인 지침을 마련하여 적용하는 반면 일본은 유사한, 개념을 영역이라는 명칭에 맞춰 생활영역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초 중・ ・고등학교에서 일어나고 있는 집단 따돌림 등교거부 등의 교육문제로 문부과, 학성을 비롯한 정부당국은 인격형성기인 유아기부터의 교육을 제대로 해야한다는 인식 을 가지고 있다19). 또한 국내의 정형화된 유치원 평면과 실내공간 디자인과 달리 다양 한 시도를 통해 유치원 디자인에 있어 유아의 사회성을 도모하기 위해 평면과 입면적 으로 다양한 형태와 방법으로 실내 공간의 디자인을 풀어나가는 일본의 사례 10곳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일본의 사례 기준에 있어 본 연구에서는 경계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등의 건축 및 디자인 건축가 사이트를 중심으 ARCHIDAILY, Dezeen, design boom ,

로 2011년부터 2016년 사이에 준공된 일본의 유치원을 분석하려고 한다 앞서 언급한. 사이트에서 Kindergarten 게시물 중 일본의 유치원과 준공연도를 기준으로 사례를 선 정하였다. 10개의 사례분석 순서는 준공연도가 최근 2016년부터 2011년 사이에 준공 되어진 사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사례 대상은 다음과 같다, .

안정주 한일 유치원 교육과정 비교분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최순자 일본 유아교육현장에서의 자연친화교육 한국일본교육학연구

38 -A. AM Kindergarten and Nursery

B. Yoshino Nursery School and Kindergarten C. Hanazono Kindergarten

D. LHM Kindergarten E. Yutaka Kindergarten F. Hakusui Nursery School G. Mokumoku Kindergarten H. Peanuts

I. K Kindergaten

J. Leimond-Shonaka Kindergarten

위의 사례를 중심으로 앞서 고찰한 유아의 대인관계 형성방법에 따른 공간적 특성과 실내공간 경계의 역할에 따른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분석하도록 한다 또한 사례대상의. 분석 공간은 유치원 실내공간의 보육실과 놀이 유희실 로비를 중심으로 한다 사례・ , . 에 대한 개요는 다음 표[ 3-1]과 같다.

표 사례개요 [ 3-1] Ⅰ

No. 유치원 명 준공연도 위 치 면 적

A

AM Kindergarten and Nursery 2016 Kagoshima 941㎡

B

Yoshino Nursery School and Kindergarten 2015 - 862㎡

C

Hanazono Kindergarten 2015 Miyakozima 1107㎡

D

LHM Kindergarten 2015 Tokyo 230㎡

E

Yutaka Kindergarten 2014 Saitama 812㎡

F

Hakusui Nursery School 2014 Chiba 530㎡

G

Mokumoku Kindergarten 2013 Tokyo 1547㎡

H

Peanuts 2012 Hiroshima 874㎡

I

K Kindergaten 2011 Fukuoka 1547㎡

J

Leimond-Shonaka Kindergarten 2011 Shiga 601㎡

사례 분석

표 사례분석 예시 [ 3-2]

보육실을 놀이실은 로 표기

No. 유치원 명

A

이미지

위 치 준공연도 규 모 분석면적

도 면 도면 이미지

출 처

특성 요소 한정 완충 연계 이미지

활동적으로 관계를 맺어가며 상호작용

공간의 매개체 열린광장 기존의

의미를 비트는 경계의 모호

모호한 경계공간

선택이 가능한 유연한 경계

연속적 공 간 유기적

공 간 사적이고

한정된 경계

개인공간 소집단

공 간 소결

40 -표

[ 3-3] A. AM Kindergarten and Nursery A-1 No. 유치원 명 AM Kindergarten and Nursery

A

위 치 Kagoshima, Kagoshima Prefecture, Japan

준공연도 2016

규 모 지상 1-2층

분석면적 941.8 ㎡

도 면

출 처 http://www.archdaily.com/783077/am-kindergarten-and-nursery-hibinosekkei-plus-youji-no-shiro

[ 3-4] A. AM Kindergarten and Nursery A-2

특성 요소 한정 완충 연계 이미지

활동적으로 관계를 맺어가며 상호작용

공간의

매개체 -

-필로티 폴딩 도어

· , 경계를 통한 실내 외 연계·

열린광장

-로비 겸 식당의

·

열린 공간은 만남의 장

-기존의

의미를 비트는 경계의 모호

모호한

경계공간

-다양한 형태의

·

다각형 문틀 유리로 된

·

슬라이딩 도어

다양한 형태의

·

다각형 문틀

선택이 가능한 유연한 경계

연속적

공 간

-폴딩도어를 통한

·

실내와 외부의 경계 개방

폴딩도어를 통한

·

실내와 외부의 경계 개방은 내 외부· 공간을 연속

유기적

공 간

-놀이실은 다양한

·

평면의 형태로 통로 및 보육실과 완충

-사적이고 한정된

경계

개인공간 - -

-소집단 공 간

도서실은 다락을

·

이용하여 유아의 스케일에 맞춘 공간을 제공

도서실은 유아가

·

사적이면서, 안전을 위해 난간을 설치하여 경계의 시야를 완충

-소결

활동적으로 관계를 맺어가며 상호작용은 공간의 매개체에서 필로티 폴딩 도어 등을 통해 실

· ,

내 외가 연계 되며 열린 광장의 요소에서 로비 겸 식당의 열린 공간이 만남의 장으로서 작용· , 하며 유아의 의사 소통 및 상호작용이 유도되는 경계가 완충되는 형성방법

기존의 의미를 비트는 경계의 모호는 모호한 경계공간이 다양한 형태의 다각형 문틀 유리로

· ,

된 슬라이딩 도어가 완충경계를 형성하는 방법을 통해 나타나며 동시에 연계시키는 경계의 형, 성방법이 나타남

선택이 가능한 유기적인 경계는 연속적 공간에서 폴딩 도어를 통한 실내 외 경계가 완충되는

· ·

형성방법이 나타나며 이를 통해 경계가 개방되며 내 외부 공간이 연속되며 공간이 연계되는 경, · 계의 형성방법이 나타남

유기적 공간요소에서는 보육실에 비해 놀이실의 경계가 다양한 평면의 형태로 나타나면서 통로 및 보육실과 경계가 완충되는 형성방법이 나타남

사적이고 한정된 경계에서는 개인공간 요소가 나타나지 않으며 소집단 공간요소에서는 도서실

· ,

을 다락공간을 통해 유아의 스케일에 맞춰진 경계가 한정된 형성방법을 통해 나타나며 동시에, 유아의 안전 및 교사의 시야 확보를 위해 공간의 경계가 난간을 통해 완충되는 형성방법이 나 타남

42 -표

[ 3-5] B. Yoshino Nursery School and Kindergarten B-1 No. 유치원 명 Yoshino Nursry School and Kindergarten

B

위 치

-준공연도 2015.09

규 모 지상 1층

분석면적 862.15㎡

도 면

출 처 www.tezuka-arch.com

[ 3-6] B. Yoshino Nursery School and Kindergarten B-2

특성 요소 한정 완충 연계 이미지

활동적으로 관계를 맺어가며 상호작용

공간의 매개체

타원형의 건물은

·

수직적 경계는 옥상 실내, , 마루 밑 공간의 경계를 한정

수평적 경계는

·

내부의 통로와 중앙 운동장의 경계를 슬라이딩 도어를 통해 완충

-열린광장

-실내 공간 중심

·

로비를 통해 자유로운 놀이 및 활동을 진행

-기존의 의미를 비트는 경계의 모호

모호한 경계공간

슬라이딩 도어는

·

통로 및 내 외부· 경계를 한정

유리 마감된

·

슬라이딩 도어를 통한 가시성 제공

-선택이 가능한 유연한 경계

연속적

공 간

-벽체를 최소화한

·

내부공간은 다른 공간과의 경계를 완충

건축적 경계가

·

최소화됨에 따라 선택에 따른 공간활용이 가능 유기적

공 간 -

-실과 실 사이에

·

로비를 배치하여 연계

사적이고 한정된

경계

개인공간 - -

-소집단 공 간

마루 밑의 공간

·

보호자 출입이 힘든 공간으로 자신들만의 공간으로 인지

-

-소결

활동적으로 관계를 맺어가며 상호작용의 요소로 공간의 매개체는 공간이 수직적으로 한정된

·

경계를 형성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수평적으로 내부 통로와 중앙 운동장의 경계가 유리 재질, 의 슬라이딩 도어를 통해 완충되는 형성방법이 나타남

기존의 의미를 비트는 경계의 모호는 슬라이딩 도어가 통로 및 외부의 경계를 한정시키는 동

·

시에 유리마감으로 인해 내 외부의 가시성이 제공되어 내부 및 외부 공간의 경계가 모호· 선택 가능한 유기적인 경계는 연속적 공간 요소에서 벽체를 최소화하며 가구를 통해 인지적

·

으로 완충된 경계를 형성 건축적 경계가 최소화됨에 따라 실내공간에서 용도에 따른 선택적, 공간 활용이 가능하며 공간이 연계되는 형성방법

유기적 공간의 요소에서는 평면상에서 실과 실 사이에 로비를 배치하여 실과 실을 연계하는 형성방법

사적이고 한정된 공간에서 개인공간 요소는 나타나지 않으며 소집단 공간으로 유아는 자신의

· ,

스케일에 맞는 공간을 통해 경계를 한정시키는 형성방법을 통해 나타남

44 -표

[ 3-7] C. Hanazono Kindergarten C-1 No. 유치원 명 Hanazono Kindergarten

C

위 치 Miyakozima

준공연도 2015

규 모 지상 층1 - 지상

분석면적 1107 ㎡

도 면

출 처 http://www.archdaily.com

[ 3-8] C. Hanazono Kindergarten C-2

특성 요소 한정 완충 연계 이미지

활동적으로 관계를 맺어가며 상호작용

공간의

매개체

-층과 층사이에

·

설치된 천장은 놀이실과 통로에

·

유아의 스케일에 맞춰 설치한 틀

수직적인 경계를

·

통해 한정지은 다락과 밑의 공간

열린광장 -

-슬라이딩도어와

·

폴딩도어를 통한 실과 실의 확장과 연계

-기존의 의미를 비트는 경계의 모호

모호한

경계공간

-유리로 된 구조적

·

벽체는 시각적 경계의 완충

시각적 투명성을

·

지닌 유리벽은 넓은 공간감 제공 슬라이딩 폴딩

· ·

도어를 통한 공간 확장

선택이 가능한 유연한 경계

연속적

공 간

-유리 재질의

·

도어를 통한 용도에 맞는 공간 활용

슬라이딩 도어를

·

통한 공간의 확장

유기적 공 간

에 보육실을

·2F

배치하여 한정된 교육공간 제공

에 스튜디오

·1F ,

로비 등 놀이 및 활동실 제공

-사적이고 한정된

경계

개인공간

다락공간과

·

아래의 공간을 통해 소규모의 공간 제공

다락공간과 아래

·

공간은 교사의 시야확보를 위해 경계가 완충

-소집단 공 간

다락공간과

·

아래의 공간을 통해 소규모의 공간 제공

-

-소결

유아의 활동적 상호작용을 위해 공간의 매개체와 열린광장이 존재 천창 유아의 스케일에

· , ,

맞춘 벽의 작은 통로 다락과 아래의 공간 등은 유아가 단독 혹은 소집단으로 활동 시에, 상호작용이 용이한 요소

기존의 의미를 비트는 경계의 모호에서는 물체의 투명성으로 인한 경계의 모호가 나타나고

·

있으며 실과 실 사이의 벽을 건축적 벽이 아닌 슬라이딩 도어를 사용하여 용도에, 따라 공간의 크기 선택이 용이하도록 설계 이러한 경계는 용도에 따라 기존 공간의. 의미를 비틀고 완전히 다른 공간이 되며 경계는 완충적 형성방법을 통해 나타남 사적이고 한정된 경계의 특성으로 다락과 다락 아래의 공간 유아 스케일에 맞춘 창과 통로

· ,

등은 유아에게 단독 소집단 활동 시 사적이고 비밀스러운 공간으로 활용,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9-79)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