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사고도구어의 개념과 교육적 의의

1.사고도구어의 개념과 특성

가.사고도구어의 개념

사고도구어는 학습을 하는 데에 있어 주요 내용을 파악하고 이해하는 데에 필요한 어휘들이다.또한 학습한 내용을 표현하거나 자신의 논리를 펼치기 위해 사용되는 어휘라고 볼 수 있다.사고도구어에 대한 선행 연구에서의 관련 논의 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신명선(2004)에 의하면 “사고도구어(academicvocabulary)는 근본적으로 학술 텍스트에 등장하는 여러 단어들 중 기초어휘와 전문어가 아닌 단어들을 가리키 기 위해 등장한 용어이므로,현실적인 정의는 ‘학술텍스트에 등장하는 단어들 중 기초어휘 및 전문어가 아닌 단어들’이다”(p.20)라고 밝히고 있다.

이 연구 이외에도 사고도구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교육용 어휘 선정과 관련하여 비슷한 개념을 밝힌 연구들도 있다.

이충우(2006)는 교육용 어휘 선정 기준을 밝히면서 어휘를 기초어휘․기본어 휘․학습용 기본 어휘․교육용 기본 어휘로 분류하였다.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기본 어휘 :일상 생활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며 사용 빈도가 높은 어휘 가운데는 모든 사람에게 공통되는 것이 상당수 있다.이 공 통 어휘 중,그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정상적인 기본 생활을 하는 데 필 요하다고 간주되는 것을 말한다.이들 중 일부분은 핵심어4)라 할 수 있 다.이 기본 어휘는 약 2,000~3000어가 해당(이용주 외,1986,p.106;

이충우,2006,p.34에서 재인용)된다.이들 기본 어휘에 속하는 단어들은 모어 화자일 경우 초등 학교에 입학하기 전에 모두 알고 있는 단어이 기 때문에 따로 가르칠 필요는 없다는 것이 일반적인 의견이나,잘못 알고 있는 경우와 보다 언어 사회에서 용인 가능한 사용을 위해서도

4) 핵심어는 발화 상황, 문화, 화용, 담화 양상에서 중립적이다. 그리고 비핵심어보다 우선적으로 사용 되고, 일반적이며, 비핵심어를 정의할 수 있으며, 다른 단어들과 쉽게 결합하며, 새로운 의미로 확 대되는 것이 수월하며, 복합어를 이루는 등의 특성을 가진다(M. Stubbs, 1986, pp. 110-111; 이 충우, 2006, p. 34에서 재인용).

어휘 교육에 필요하다.특히 전혀 목표 언어에 대하여 알지 못하는 외 국어 교육의 경우에는 아주 중요한 어휘라 하겠다.따라서 외국인을 위 한 국어 교육에서는 이 기본 어휘의 교육이 필요하며 이들 어휘 중 일 부는 국어 어휘 교육에서 별 효과가 없어 보이는 시각 어휘 지도법,카 드법도 어느 정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또한 이들 기본 어휘의 함축적 의미는 모어 화자를 위한 고학년 어휘 교육에서도 지도할 필요 가 있기 때문에 기본 어휘는 교육 대상 어휘로 항상 그 필요성을 인정 해야 한다.

2)학습용 기본 어휘 :기본 어휘를 일상 생활 기본 어휘라 볼 때,학습 에 필요한 어휘를 학습용 기본 어휘라 할 수 있으며,이는 기본 어휘보 다 폭이 넓다는 것이 특징이다.따라서 일상 생활 기본 어휘를 가르쳐 일상 생활에 필요한 어휘력을 기르는 것이 목적인 학습에서는 학습용 기본 어휘가 일상 생활 기본 어휘가 될 것이다.따라서 외국인에게 일 상 기본 생활에서의 의사 소통을 위한 국어 교육에서의 학습용 기본 어휘의 대부분은 기본 어휘(일상 생활 기본 어휘)로 대체될 수 있다.

3)교육용 어휘 :학습용 기본 어휘보다 더 폭넓게 어휘를 선정하고 이 를 교육용 어휘라 한다.외국인을 위한 기본 생활 어휘 습득이 목표인 국어 교육이 아니라 자국인을 위한 폭 넓은 언어 사용 기능의 신장이 목표인 모어 교육으로서의 국어 교육에서는 학습용 기본 어휘보다 훨 씬 그 대상이 많고 수준이 높은 교육용 어휘의 교육이 필요할 것이 다.(pp.34-35)

이 연구는 교육용 어휘를 자국인을 위한 폭 넓은 언어 사용 기능의 신장을 목표로 한 어휘라고 바라본 점에서 교육용 어휘가 사고도구어와 맥을 같이 한 다고 볼 수 있다.

한편,김광해(2008)는 그의 저서에서 등급별 국어교육용 어휘를 분류한 적이 있다.그의 저서에 따르면 총 어휘는 7단계로 분류될 수 있으며 이 중에서 1~5 등급의 어휘는 교육용 어휘의 성격을 지닌다.

국어교육용 어휘는 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들이 알아야 하는 어휘라는 개념을 전제로 하여 구축된 개념이므로 등급별 성격은 다음 과 같이 규정될 수 있다.1등급에 해당하는 어휘는 기초어휘이다.2등 급의 어휘는 정규 교육이 개시되기 이전에 대개 형성이 된다고 생각되 는 어휘이다.3등급의 어휘는 사춘기 이전까지 성장하는 양이라고 본 다.이른바 지적 사고 처리어(academicwords)가 일부 포함되기 시작 하는 것으로 본다.4등급의 어휘는 사춘기 이후 급격한 지적 성장과 더

불어 도달하게 되는 양이라고 보며,여기에는 지적 사고 처리어가 다량 포함되는데,본격적인 지적 성장과 더불어 도달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볼 수 있다.5등급의 어휘에는 다량의 전문어가 포함되는데,대개 대학 에서 학문을 연마하는 등의 과정을 통해서 지적 성장이 전문화되어 가 면서 획득되는 어휘라고 볼 수 있다.(pp.266-267)

이상의 논의를 살펴보면 어휘 교육과 관련하여 학습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는 교육적 어휘에 대한 개념은 조금씩 상이하지만 합의되는 부분이 있음을 알 수 있다.즉,여러 학술텍스트에 등장하는 어휘인 동시에,일상 생활에서의 학습이 어려우며,교육을 통해 학습되어야 하고 지적인 사고 과정이 일어날 때 필요한 어휘가 있음을 알 수 있다.이러한 어휘를 사고도구어의 개념을 빌어 설명하고 자 한다.

나.사고도구어의 특성

사고도구어의 개념이 학술텍스트에 등장하는 단어들 중에서 기초어휘와 전문 어가 아닌 단어를 가리키는 것이라는 데에서 알 수 있듯이 사고도구어는 기초 어휘와 전문어에 비해 많이 드러나지 않지만 주요 내용을 전달하는 특징을 지 니고 있다.

사고도구어는 학술텍스트에서 주제나 화제에 가려 두드러지게 드러나지는 않 지만,주제의 흐름을 유지,발전,진행시키고 화제를 지지하는(supportive)역할 을 담당한다.그리고 학습자들이 자신의 학문에 집중하도록 안내(guideline)하여 (Coxhead,2000:214),이것을 사용하는 것은 지식을 펼치는 데(on display)도움 을 준다(Corson,1995,p.149;신명선,2004,p.23에서 재인용).

그러나 이 단어들은 일상 생활에서 접하기에 익숙하지 않은 단어들이 많아 의도적인 학교 교육 없이는 완벽하게 이해되고 습득되었다고 볼 수 없다.일상 생활에서 사용되는 어휘들은 김광해(1989)의 연구를 바탕으로 살펴보면 기초어 휘인 1차 어휘이며 단어수로 1~2천 개가 의도적인 어휘 학습 없이도 자연스럽 게 습득될 수 있는 데 비해,2차 어휘들은 언어 발달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습득 되기 힘들다.

특히 사고도구어는 일상 구어 의사소통 과정이나 시나 소설 등의 문학 텍스 트보다 학술텍스트에 더 자주 등장한다는 점에서 학습자들에 대한 접근도가 더

낮다.더욱이 초등학교 단계의 학습자는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글로 표현하 거나 토론이나 토의에 참여하여 주장과 근거를 제시할 기회가 적어 이 단어들 을 이용하여 표현하거나 사용할 수 있는 기회는 더 부족해질 수밖에 없다.

단어의 이해는 단어 그 자체에 대한 이해보다도 다른 단어와 관계지어 이해 하고 표현할 수 있을 때 완벽한 이해에 이르렀다고 볼 수 있다.더구나 대부분 의 사고도구어가 추상적인 어휘라는 점에서 추상적인 어휘를 이해하고 다른 단 어와 관계지어 개념화하며,바르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은 의도적인 교 수․학습이 필요함을 지지하는 근거로 볼 수 있다.이에 대한 논의를 더 살펴보 면 다음과 같다.

사고도구어는 의도적인 교수 학습을 통해서만 제대로 이해될 수 있 다는 실험 연구 결과도 있다.Worthington and Nation(1996)은 학생들 이 사고도구어를 텍스트에서 자연스럽게 만나게 하는 것만으로도 이 단어들이 효과적으로 학습될 수 있는지 여부를 실험하였다.

Worthington and Nation(1996)에 의하면 목록 전체를 그냥 제시하는 것이나 단순히 사고도구어가 있는 단어들을 접하는 것만으로는 이 단 어들의 학습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었다고 한다.이와 같은 방법이 갖는 가장 큰 문제점은 양(quantity)과 제시 순서(sequence)에 있다.당 연히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Worthington andNation.1996;신명 선,2004,p.24재인용)

의도적인 교수․학습을 통해 사고도구어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면 학습 내 용을 이해하는 능력을 확대시킬 수 있다.스스로 학습에 관련된 자료를 찾아 읽 고 이에 대한 이해를 통해 학습 내용을 심화시키고 지식을 넓혀 나갈 수 있는 것이다.

텍스트의 80%를 이해했다는 것은 텍스트의 화제에 대한 아이디어(a some ideafortopic)정도를 이해한 수준으로 해당 텍스트가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지 를 정확하게 이해하지는 못한 상태이다.텍스트의 주제가 무엇인지를 정확하게 알기 위해서는 적어도 텍스트에 나온 단어의 95% 정도를 알아야만 한다 (Nation,1990,p.242;신명선,2004,p.24에서 재인용)고 한다.

그런데 80%의 이해를 넘어 15%를 채우기 위해 학생들이 이해해야 할 대상 이 되는 어휘의 수가 평생 학습해도 다 알지 못할 만큼 방대할 수도 있다.그러

나 그 단어들의 상당수는 학생들이 평생에 걸쳐 단 한 번도 접하지 않을 수도 있다.또 어떤 단어들은 텍스트의 내용을 이해하는 데 핵심적으로 기능하면서 교과서 등의 여러 자료를 통해 접하게 될 수도 있다.

만일 학생들에게 꼭 필요한 어휘를 의도적으로 선정하여 효과적으로 교육시

만일 학생들에게 꼭 필요한 어휘를 의도적으로 선정하여 효과적으로 교육시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