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부피재구성해서 부피 3 차원영상을 만듦

1. 구역화영상을 임시구역화영상(PSD 파일)으로 바꿈.

구역화영상(TIFF 파일)의 테두리를 본래의 임시구역화영상(PSD 파일)으로 바꾸었다. Photoshop 에서 구역화영상을 열고 마술막대기도구를 써서 구역화영상의 테두리를 본래대로 만들었다. 보기를 들어서 소뇌의 구역화영상(081.tif, 082.tif…140.tif)을 Photoshop 에서 열고 마술막대기도구를 고른 다음에 포인터를 피부의 구역화영상의 구석에 놓고 딸각해서 구역화영상에 있던 피부의 테두리를 임시구역화영상의 테두리로 바꾸었다. 이 일을 액션에 기록해서 일괄처리하였다.

2. 각 구조물의 부피 3 차원영상을 만듦.

MRIcro 에서 부피재구성하기 위해 연속절단면영상의 화소크기, 빛깔개수를 조절하였다. 연속절단면영상을 1 mm 간격으로 추렸기 때문에 화소크기가 0.1 mm 이면 직사각형인 화적소가 만들어진다. 따라서, 정사각형의 화적소를 만들기 위해 화소크기를 0.1 mm 에서 1 mm 로 늘였다. 빛깔개수를 48 bit color 에서 16 bit gray 로 줄였다(Fig. 38).

Fig. 38. A serially-sectioned image (left), which is changed grayly for volume reconstruction (right).

임시구역화영상(PSD 파일)을 써서 연속절단면영상의 구조물 바깥을 모두 검은 색으로 만들었다. 부피 3 차원영상을 만들기 위해서는 구조물 바깥을 모두 검은색으로 만들어야 한다. 따라서 임시구역화영상에서 구조물의 테두리를 선택하고 반전시킨 다음에 ‘paint bucket’ 도구를 써서 검은색으로 칠하였다(Fig. 38).

머리 전체의 부피 3 차원영상을 만들었다. 부피재구성하기 위해

공개소프트웨어인 MRIcro 버전 1.4 (MRIcro)를 사용하였다. 연속절단면영상에서 보이는 피부 바깥의 포매제를 구역화영상을 써서 자동으로 지운 다음에 쌓았다. 이 결과로 화적소 크기가 1 mm, 빛깔개수가 16 bit gray 인 머리구조물의 부피 3 차원영상을 만들었다. 부피재구성했기 때문에 어느 방향에서도 잘라서 볼 수 있었다(Fig. 39).

Fig. 39. Volume model of head, which were sectioned to display the sectional planes.

머리에 있는 여러 구조물의 부피 3 차원영상을 만들었다. 보기를 들어서 소뇌의 부피 3 차원영상을 만들기 위해 소뇌 바깥의 구조물을 자동으로 지운 다음에 쌓았다.

이 결과로 소뇌의 부피 3 차원영상을 만들었다(Fig. 40). 여러 구조물의 부피 3 차원영상을 한꺼번에 만들기도 하였다. 보기를 들어서 대뇌, 소뇌, 뇌줄기, 시신경, 안구의 부피 3 차원영상을 만들기 위해 이 구조물들 바깥의 구조물을 자동으로 지운 다음에 쌓았다. 이 결과로 대뇌, 소뇌, 뇌줄기, 시신경, 안구의 부피 3 차원영상을 한꺼번에 만들 수 있었다(Fig. 40). 부피 3 차원영상을 돌려서 볼 수 있었다. 부피 3 차원영상이 해부학 지식에 들어맞는지 확인하였다(Fig. 40)(Moore 등, 2006).

Fig. 40. Volume model of brain, eyeballs, and optic nerves (top row); those of lentiform nuclei, caudate nuclei, thalami, and brainstem (bottom 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