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변화지향리더십과 부하의 반응요인간 목표지향성의 조절효과 검증

.713**

3.목표지향성a .191 .195

4.목표지향성b .065 -.011 .189

5.자기효능감 .067 -.008 .046 .324**

6.적응수행 .285** .374** .111 .173 -.177

*p<.05,**p<.01,

목표지향성 a:성과회피 목표지향성,목표지향성 b:성과접근 목표지향성

< 표 Ⅳ-5> 상관관계 분석 결과

보다 구체적으로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예측변수와 결과변수 사이에는 기존 연 구와 비슷하게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그리고 예측변수와 조절 변수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감성적 리더십과와 변화지향 리더십이 정 반대의 결 과를 보여주고 있다.감성적 리더십은 목표지향성과 자기효능감과 정의 상관관계 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변화지향 리더십은 부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조절변수와 결과변수간의 관계를 살펴보면,목표지향성이 높을수록 적응수행과 조직변화몰입은 높은 것으로 나타나나,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적응 수행과 조직변화몰입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4.가설검증 결과

가설 1-4에서 리더십의 부하의 반응요인에 대한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회 귀분석을 실시하였다.그리고 가설 5-7에서는 조절변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변수 β T 독립변수 변화지향 리더십 .375 4.725**

R2 0.134

F 22.324**

*p<0.05; **p<0.01

<표 Ⅳ-6>변화지향리더십과 적응수행간 회귀분석결과

변수 β T

독립변수 변화지향 리더십 .240 2.879*

R2 0.050

F 8.286*

*p<0.05; **p<0.01

<표 Ⅳ-7> 변화지향 리더십과 조직변화몰입간 회 귀분석 결과

1) 리더십 유형과 부하의 반응요인간의 관계

가설 1은 변화지향 리더십과 부하의 적응수행능력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가설 1을 검증하기 위하여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즉,변화지향 리더십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고,부하의 적응수행능력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그 결과 는 아래의 표와 같다.

위의 분석결과를 살펴보면,회귀 방정식의 전체 설명량을 설명하는 R2는 .134 로 유의수준 99%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또한,변화지향 리더십 변수가 부하의 적응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β 계수는 .375(p<0.01)로 나 타났다. 따라서 가설 1은 지지되었다.

가설 2는 리더의 변화지향 리더십과 부하의 조직변화몰입과의 관계를 검증하 기 위한 것이다.

변수 β T 독립변수 감성적 리더십 .206 2.470**

R2 0.035

F 6.099**

*p<0.05; **p<0.01

<표 Ⅳ-9> 감성적 리더십과 조직변화몰입간 회귀 분석 결과

다음으로 리더의 변화지향 리더십은 부하의 조직변화몰입에 .240(t=2.879, p<.05)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따라서 가설 2는 채택되었다.

가설 3은 리더의 감성적 리더십과 부하의 적응수행능력과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표 Ⅳ-8>은 리더의 감성적 리더십과 부하의 적응수행능력 간의 관 계를 살펴본 것이다. 리더의 감성적 리더십은 부하의 적응수행능력에 .285(t=3.496,p<.01)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따라서 가설 3또한 채 택되었다.

변수 β T

독립변수 감성적 리더십 .285 3.496**

R2 0.075

F 12.224**

*p<0.05; **p<0.01

<표 Ⅳ-8> 감성적 리더십과 적응수행간 회귀분석 결과

가설 4는 리더의 감성적 리더십과 부하의 조직변화몰입과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조절변수 독립 단계 1 단계 2 단계 3

성과회피 목표지향성

β t β t β t

A .374** 4.725 .379** 3.936 .394** 4.194 B .042 .432 .060 .643

A×B .235* 2.537

R2 .140 .152 .206

F 15.827** 15.992** 22.544**

ΔR2 .012 .054

ΔF .165** 6.552**

*p<0.05; **p<0.01;A:변화지향 리더십,B:성과회피 목표지향성

<표 Ⅳ-10> 적응수행에 대한 ‘성과회피 목표지향성’의 조절효과 분석 결과 가설 4를 검증하기 위하여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즉,감성적 리더십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고,부하의 조직변화몰입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그 결과 는 위의 표와 같다.위의 분석결과를 살펴보면,감성적 리더십 변수가 부하의 조 직변화몰입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β 계수는 .206(p<0.01)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 4도 채택되었다.

2) 변화지향리더십과 부하의 반응 요인간 목표지향성의 조절효과 검증

가설 5에서 10까지의 검증하기 위하여 Cohen& Cohen(1983)이 제시한 위계적 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하였다.

가설 5는 리더의 변화지향 리더십과 부하의 적응수행의 관계가 부하의 목표 지향성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위의 분석결과를 살펴보면,단계 1에서 변화지향 리더십은 R2및 β 계수가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R2=.140,p<0.01;β=.374,p<0.01).또한,단계 2와 단계 3 에서 조절효과 변수인 성과회피 목표지향성이 삽입됨으로써 총설명량이 의미가 있게 변화되었는지를 살펴보는 ΔR2의 값이 .054,유의확률 99%에서 유의한 것으 로 나타났다.

<그림 Ⅳ-1> 적응수행에 대한 성과회피 목표지향성의 조절효과

구성원의 성과회피 목표지향성의 정도를 중위수를 기준으로 2분화한 후,변화 지향 리더십을 독립변수로 하고,적응수행을 종속변수로 한 회귀분석 결과를 도 식화하면 <그림 Ⅳ-1>과 같다.조절변수 수준이 저→고로 높아질수록 팀장의 변 혁적 리더십이 부하의 적응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조절효과 변수인 성과접근 목표지향성을 삽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Ⅳ-10>과 마찬가지로 단계 1에서 변화지향 리더십의 직접효과를 살펴보면, 회귀식의 총설명량을 나타내는 R2값이 .140로 유의수준 0.01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또한 값이 β값이 .374로 이 역시 유의확률 99%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 타났다.

조절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단계2와 단계3의 총설명력의 변화량이 유의한지를 살펴봐야 한다.변화량은 .035로 유의수준 .01수준에서 유의한 것으 로 나타났다.따라서 <표 Ⅳ-10>,<표 Ⅳ-11>을 기반으로 가설 5는 지지되었다.

조절변수 독립 단계 1 단계 2 단계 3

성과접근 목표지향성

β t β t β t

A .374** 4.725 .374** 3.940 .343** 3.626 B .186* 1.964 .131** 1.352

A×B .199* 2.024

R2 .140 .173 .208 F 14.901** 18.759** 22.866**

ΔR2 .033 .035

ΔF 3.858** 4.107**

*p<0.05; **p<0.01;A:변화지향 리더십,B:성과접근 목표지향성

<표 Ⅳ-11> 적응수행에 대한 ‘성과접근 목표지향성’의 조절효과 분석결과

다음은 구성원의 성과접근 목표지향성의 정도를 중위수를 기준으로 2 분화한 후,변화지향 리더십을 독립변수로 하고,적응수행을 종속변수로 한 회귀분석 결 과를 도식화하면 위의 <그림 Ⅳ-2>과 같다.조절변수 수준이 저→고로 높아질수 록 팀장의 변화지향 리더십이 부하의 적응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커지 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Ⅳ-2> 적응수행에 대한 성과접근 목표지향성의 조절효과

조절변수 독립 단계 1 단계 2 단계 3

성과회피 목표지향성

β t β t β t

A .239** 2.879 .254* 2.517 .261* 2.576

B .027 .270 .035 .351

A×B .103 1.033

R2 .057 .068 .079

F 6.414** 6.478* 8.381*

ΔR2 0.011 0.011

ΔF .064* 1.093*

*p<0.05; **p<0.01;A:변화지향 리더십,B:성과회피 목표지향성

<표Ⅳ-12>조직변화몰입에 대한 ‘성과회피목표지향성’의 조절효과 분석 결과 가설 6은 리더의 변화지향 리더십과 부하의 조직변화몰입의 관계가 부하의 목표지향성을 조절할 것이라는 것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가설 6을 입증하기 위하여 가설 5의 입증 방식과 동일하게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먼저 <표 Ⅳ-12>은 변화지향 리더십과 조직변화몰입의 관계를 살펴 보기 위해 3단계에 걸쳐 통제 변수들과 선행변수인 변화지향 리더십,그리고 조 절변수를 순차적으로 회귀식에 추가하였다.

우선 1단계 회귀식에서 선행변수만을 투입했을 때 조직변화몰입에 대한 모형 의 설명력은 5.7% 이었다.이어서 2단계 회귀식에서 변화지향 리더십과 성과회 피 목표지향성을 모형에 포함했을 때 설명력은 6.8%로 증가하였다.개별 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변화지향 리더십은 p<.0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 로 나타났다.마지막 3단계에서 조절변수를 투입하였을 때 설명력은 7.9%로 약 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조절변수는 조직변화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 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러한 분석결과는 변화지향 리더십은 조직변화몰입 과는 관련이 있으며,총설명력이 변화량이 2단계와 3단계에서 <.05수준에서 유 의한 것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변화지향 리더십과 조직변화몰입 사이에 성과 회피 목표지향성이 조절변수로서 역할은 할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다음은 구성원의 성과회피 목표지향성의 정도를 중위수를 기준으로 2 분화한 후,변화지향 리더십을 독립변수로 하고,조직변화몰입을 종속변수로 한 회귀분 석 결과를 도식화하면 <그림 Ⅳ-3>과 같다.

<그림 Ⅳ-3> 조직변화몰입에 대한 성과회피 목표지향성의 조절효과

조절변수 수준이 저→고로 높아질수록 팀장의 변화지향 리더십이 부하의 조직 변화몰입 수준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성과접근 목표지향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면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조절변수 독립 단계 1 단계 2 단계 3

성과접근 목표지향성

β t β t β t

A .239** 2.879 .247* 2.448 .228* 2.238 B .078 .774 .045 .430

A×B .119 1.123

R2 .057 .067 .079

F 5.981** 6.580* 14.417

ΔR2 .010 .012

ΔF .599* 7.837

*p<0.05; **p<0.01;A:변화지향 리더십,B:성과접근 목표지향성

<표 Ⅳ-13>조직변화몰입에 대한 ‘성과접근 목표지향성’의 조절효과 분석결과

단계 1에서 변화지향 리더십의 직접효과를 살펴보면,회귀식의 총설명량을 나 타내는 R2값이 .057로 유의수준 0.01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또한 값이 β 값이 .239로 이 역시 유의확률 99%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단계2와 단계3의 총설명력의 변화량 이 유의한지를 살펴봐야 한다.변화량은 .012로 유의하지 않을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표 Ⅳ-12>,<표 Ⅳ-13>의 결과에 따라 가설 6또한 부분적 지지되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