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감성적 리더십과 부하의 반응요인간 목표지향성의 조절효과 검증

가설 7은 리더의 감성적 리더십과 부하의 적응수행의 관계가 부하의 목표지 향성을 조절할 것이라는 것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조절변수 독립 단계 1 단계 2 단계 3

성과회피 목표지향성

β t β t β t

A .285** 3.496 .284** 2.867 .268** 2.717

B .056 .569 .070 .705

A×B .160 1.643

R2 .081 .090 .115

F 8.476** 8.767* 11.583**

ΔR2 .009 .025

ΔF .291* 2.816**

*p<0.05; **p<0.01;A:감성적 리더십,B:성과회피 목표지향성

<표 Ⅳ-14> 적응수행에 대한 ‘성과회피 목표지향성’의 조절효과 분석 결과

<표 Ⅳ-14>도 마찬가지로 단계 1에서 감성적 리더십의 직접효과를 살펴보면, 회귀식의 총설명량을 나타내는 R2값이 .081로 유의수준 0.01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또한 값이 β값이 .285로 이 역시 유의확률 99%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 타났다.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단계2와 단계3의 총설명력의 변화량 이 유의한지를 살펴봐야 한다.변화량은 .025로 유의수준 .01수준에서 유의한 것 으로 나타났다.

다음은 구성원의 성과회피 목표지향성의 정도를 중위수를 기준으로 2 분화한 후,감성적 리더십을 독립변수로 하고,적응수행을 종속변수로 한 회귀분석 결과 를 도식화하면 그림 <Ⅳ-4>과 같다.조절변수 수준이 저→고로 높아질수록 팀장 의 감성적 리더십이 부하의 적응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조절변수 독립 단계 1 단계 2 단계 3

성과접근 목표지향성

β t β t β t

A .285** 3.496 .270** 2.738 .273** 2.811 B .156 1.581 .116 1.166

A×B .189* 1.904

R2 .081 .102 .136

F 7.975** 10.474** 14.084**

ΔR2 .021 .034

ΔF 2.499** 3.610**

*p<0.05; **p<0.01;A:감성적 리더십,B:성과접근 목표지향성

<표 Ⅳ-15> 적응수행에 대한 ‘성과접근 목표지향성’의 조절효과 분석 결과

<그림 Ⅳ-4> 적응수행에 대한 성과회피 목표지향성의 조절효과

다음으로 <표 Ⅳ-15>는 성과접근 목표지향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것인데,

<표 Ⅳ-14>와 마찬가지로 단계2와 단계3의 총설명력의 변화량이 .034로 유의수 준 .01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따라서 가설 7또한 채택되었다.

다음은 구성원의 성과접근 목표지향성의 정도를 중위수를 기준으로 2 분화한 후,감성적 리더십을 독립변수로 하고,적응수행을 종속변수로 한 회귀분석 결과 를 도식화하면 그림 <Ⅳ-5>과 같다.조절변수 수준이 저→고로 높아질수록 팀장 의 감성적 리더십이 부하의 적응수행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Ⅳ-5> 적응수행에 대한 성과접근 목표지향성의 조절효과

가설 8은 리더의 감성적 리더십과 부하의 조직변화몰입의 관계가 부하의 목 표지향성향이 조절할 것이라는 것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표 Ⅳ-16>은 감성적 리더십과 조직변화몰입의 관계에서 성과회피 목표지향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이다.감성적 리더십만을 투입한 1단계 회 귀식의 설명력은 4.2%였으며,2단계에 성과회피 목표지향성을 추가했을 때 회귀 식의 설명력은 7.4%로 증가하였다.감성적 리더십의 경우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마지막 3단계에서 조절변수를 투입하였을 때 설명력은 7.5%

로 증가하였으며 총설명력의 변화량은 .001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할 때 리더의 감성적 리더십과 부하조직변화몰입 간에 존재 하는 성과회피 목표지향의 조절 역할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 다.

조절변수 독립 단계 1 단계 2 단계 3

성과회피 목표지향성

β t β t β t

A .206** 2.470 .265** 2.648 .261** 2.586

B .028 .275 .031 .304

A×B .039 .388

R2 .042 .074 .075

F 8.476** 8.767* 11.583

ΔR2 .032 .001

ΔF .291* 2.816

*p<0.05; **p<0.01;A:감성적 리더십,B:성과회피 목표지향성

<표 Ⅳ-16> 조직변화몰입에 대한 ‘성과회피 목표지향성’의 조절효과 분석 결과

다음으로 <표 Ⅳ-17>는 감성적 리더십과 조직변화몰입의 관계에서 성과접근 목표지향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이다.이 모형 또한 마지막 3단계에서 조절 변수를 투입하였을 때 설명력은 7.5%로 증가하였다.하지만 총설명력의 변화량 은 .006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이러한 결과를 종합할 때 리더의 감성적 리더십과 부하조직변화몰입 간에 존재하는 목표지향성의 조절 역할은 통 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따라서 가설 8은 기각되었다.

조절변수 독립 단계 1 단계 2 단계 3

성과접근 목표지향성

β t β t β t

A .206* 2.470 .252** 2.515 .254** 2.523

B .060 .600 .043 .421

A×B .080 .781

R2 .042 .069 .075

F 7.975* 10.474* 14.091

ΔR2 .027 .006

ΔF 2.499* 3.617

*p<0.05; **p<0.01;A:감성적 리더십,B:성과접근 목표지향성

<표 Ⅳ-17> 조직변화몰입에 대한 ‘성과접근 목표지향성’의 조절효과 분석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