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변혁적 리더십의 인지수준에 따른 조직유효성 및 조직성과의 효과분석

I. 서 론

2) 변혁적 리더십의 인지수준에 따른 조직유효성 및 조직성과의 효과분석

그림 9. 거래적 리더십 고집단 경로모형

2) 변혁적 리더십의 인지수준에 따른 조직유효성 및 조직성과의

M=2.33으로 나타났고, 고집단(N=123)의 리더십 인지수준의 평균은 M=3.61로 나타났다. 또한 독립표본 t-test분석을 통한 집단 간의 차이에서 는 직무만족(M=4.05), 조직몰입(M=3.74), 조직성과(M=3.64)에서 고집단 의 평균이 높게 나타났고, 이직의도(M=3.44)에서는 저집단의 평균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p<.001수준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요 인

저 집단 (N=106,M=2.33)

고 집단

(N=123,M=3.61) t

M±SD M±SD

직무만족 3.61±.75 4.05±.46 -5.424***

조직몰입 3.17±.75 3.74±.59 -6.437***

이직의도 3.44±.91 3.01±.67 4.161***

조직성과 2.68±.85 3.64±.67 -9.554***

***

p<.001

표 27.변혁적 리더십의 인지수준에 따른 차이분석결과

(2) 연구모형의 적합도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모형은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통해 검증하였으 며, 이를 통한 변혁적 리더십 연구모형의 전반적인 적합도 수준은 <표 28>

과 같다.

모 형 RMR RMSEA NFI TLI CFI χ2(df) 변혁적

리더십 모형 .076 .100 .803 .841 .838 387.431 (118) 표 28.변혁적 리더십 연구모형의 적합도 검증

적합도 분석결과 RMR=.076, RMSEA=.100, NFI=.803, TLI=.841, CFI=.838, χ2=387.431(

df

=118)로 나타났다. 이는 김계수(2007)가 제시 한 적합도 기준인 RMR과 RMSEA가 .05∼.08이하, NFI, TLI, CFI가 0.9이 상이면 적합한 모델로 평가된다는 기준에 비추어 볼 때, RMR만이 적합지수 에 근접하고 있다. 그러나 다중집단분석을 목적으로 하는 구조모형분석에서 의 적합지수는 단일집단의 분석에 비해 큰 의미가 없으며, 오히려 집단 간의 경로계수 비교를 목적으로 하고 있어 경로계수의 지표가 중요성을 갖는다(이 학식, 임지훈, 2011). 또한 Hair, Andreson, Tatham & Black(1998), 이순 묵(1990), 김계수(2001)의 연구에서는 이보다 다소 낮은 NFI, TLI, CFI를 0.8이상으로 채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된 척도들은 제안된 연 구가설을 검증하기에 무리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3) 연구가설의 검증결과

본 연구에서는 연구가설의 경로에 따라 구조방정식 모델을 구성하였고, 변혁 적 리더십 저집단 검증결과는 <표 29>와 같이 나타났다.

가 설 경 로 저 집 단

경로계수 t값

가설3-3-1 직무만족 ⇨ 조직몰입 .359 3.190***

가설3-3-2 직무만족 ⇨ 이직의도 .082 .586 가설3-3-3 직무만족 ⇨ 조직성과 .162 1.471 가설3-3-4 조직몰입 ⇨ 이직의도 -.374 -2.528* 가설3-3-5 조직몰입 ⇨ 조직성과 .103 .888 가설3-3-6 이직의도 ⇨ 조직성과 -.176 -1.830

*p<.05,***p<.001

표 29.변혁적 리더십 저집단 검증결과

분석결과 가설 7-3-1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경로계수 .359,

t

=3.190,

p

<.001), 가설 3-3-4의 조직몰입과 이직의도(경로계수 -.374,

t

=-2.528,

p

<.05)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연구가설이 채택되었다. 그러나 가 설 3-3-2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가설 3-3-3의 직무만족과 조직성과, 가설 3-3-5의 조직몰입과 조직성과, 가설 3-3-6의 이직의도와 조직성과는 통계적 으로 유의하지 않아 연구가설이 기각되었다. 아울러 변혁적 리더십 저집단의 경 로모형을 제시하면 <그림 9>와 같다.

그림 10. 변혁적 리더십 저집단 경로모형

본 연구에서는 연구가설의 경로에 따라 구조방정식 모델을 구성하였고, 변혁 적 리더십 고집단 검증결과는 <표 30>과 같이 나타났다. 분석결과 가설 3-4-1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경로계수 .741,

t

=4.600,

p

<.001), 가설 3-4-3의 직무만족과 조직성과(경로계수 .673,

t

=-2.688,

p

<.01)는 통계적으 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연구가설이 채택되었다. 그러나 가설 3-4-2의 직무 만족과 이직의도, 가설 3-4-4의 조직몰입과 이직의도, 가설 3-4-5의 조직몰 입과 조직성과, 가설 3-4-6의 이직의도와 조직성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 아 연구가설이 기각되었다. 아울러 변혁적 리더십 고집단의 경로모형을 제시하 면 <그림 9>와 같다.

가 설 경 로

고집단

경로계수 t값

가설3-4-1 직무만족 ⇨ 조직몰입 .741 4.600***

가설3-4-2 직무만족 ⇨ 이직의도 -.192 -.774 가설3-4-3 직무만족 ⇨ 조직성과 .673 2.688**

가설3-4-4 조직몰입 ⇨ 이직의도 -.362 -1.406 가설3-4-5 조직몰입 ⇨ 조직성과 .200 .805 가설3-4-6 이직의도 ⇨ 조직성과 -.055 -.495

**p<.01,***p<.001

표 30.변혁적 리더십 고집단 검증결과

그림 11. 변혁적 리더십 고집단 경로모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