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방정식과 부등식

문서에서 굿비 고등 수학(상)_해설 (페이지 21-57)

04. 복소수

36~37쪽

● ● ● 개념확인● ● ●

01 실수 : -2, 2+'3 허수 : 3-2i, 5i 02 ⑴ 2-3i ⑵ 3+'2i ⑶ 3 ⑷ i 03 ⑴ x=2, y=2 ⑵ x=2, y=-1

04 ⑴ 5-4i ⑵ -1-2i ⑶ 3-11i ⑷ ;1ª0;-;1¶0; i 05 ⑴ -i ⑵ i ⑶ -i ⑷ 0

06 ⑴ 3'2i ⑵ (3-2'3)i 07 ⑴ 4i ⑵ -4 ⑶ -2i ⑷ 2

01 a+bi (`a, b는 실수)의 꼴에서 b=0이면 실수, b+0이면 허수이 므로 -2, 2+'3은 실수이고 3-2i, 5i는 허수이다.

02 ⑴ 2+”3i”=2-3i

⑵ √3-'≈2Ωi =3+'2i

⑶ 3Æ=3

⑷ -ÚiÆ=i

03 ⑴ x+(y-1)i=2+i에서 x, y-1이 실수이므로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x=2, y-1=1 ∴ x=2, y=2

⑵ (2x+3y)+(x+y)i=1+i에서 2x+3y, x+y가 실수이 므로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2x+3y=1, x+y=1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x=2, y=-1

04 ⑴ (2-3i)+(3-i)=2+3-(3+1)i=5-4i

⑵ (2-3i)-(3-i)=(2-3)+(-3+1)i=-1-2i

⑶ (2-3i)(3-i)=6-2i-9i-3=3-11i

⑷ = = =;1ª0;-;1¶0; i

05 ⑴ i⁄ ⁄ =i4_2+3=-i

⑵ (-i)‡ =-i‡ =-i4_1+3=i

⑶ -ifi =-i4_1+1=-i

⑷ 1+i+i¤ +i‹ =1+i+(-1)+(-i)=0

06 ⑴ '∂-2+'∂-8='2i+'8i

⑴ '∂-2+'∂-8='2i+2'2i=3'2i

⑵ '∂-3+'∂-9-'ß-27

='3i+'9i-'2å7i

='3i+3i-3'3i=(3-2'3)i 9-7i

9+1 (2-3i)(3+i)

(3-i)(3+i) 2-3i

3-i

핵심유형

1

z가 실수가 되려면 허수부분이 0이어야 하므로 x¤ -1=0, (x+1)(x-1)=0

∴ x=-1 또는 x=1

즉, a=-1, b=1 또는 a=1, b=-1 z가 순허수가 되려면 실수부분이 0이어야 하므로

x¤ +2x-3=0, (x+3)(x-1)=0

∴ x=-3 또는 x=1

그런데 x=1이면 허수부분도 0이 되어 z=0으로 실수가 되므로 순허수가 되려면 x=-3이어야 한다.

∴ c=-3

∴ a+b+c=1+(-1)+(-3)=-3

1-1 z=(x+1)(x-2)+(x+1)(x-1)i가 순허수가 되려면 실수부분이 0이어야 하므로

(x+1)(x-2)=0

∴ x=-1 또는 x=2

그런데 x=-1이면 허수부분도 0이 되어 z=0으로 실수가 되므로 순허수가 되려면 x=2이어야 한다.

1-2 (1+2i)x+(1-i)y=5-2i에서 (x+y)+(2x-y)i=5-2i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x+y=5, 2x-y=-2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x=1, y=4

1-3 z=åz이므로 z는 실수이다.

38~39쪽

● ● ●핵심유형으로개념정복하기● ● ●

07 ⑴ '2_'∂-8='2_'8i='1å6i=4i

⑵ '∂-2_'∂-8='2i'8i='1å6i¤ =-4

= = ¥ ='4¥(-i)=-2i

= ='8='4=2 '2

'8i '2i '∂-8 '∂-2

1 '8 i '2 '8 '2i '8 '∂-2

핵심유형 1 -3

1-12 1-21-3-3, 0

핵심유형 2

2-1⑴ 4+4i ⑵ 0 ⑶ -i ⑷ -1 2-2x=6, y=8 2-35

핵심유형 3 ⑴ 9+2i ⑵ 1

3-13-21 3-33

핵심유형 4

4-1⑴ -6i ⑵ -1 ⑶ -'3i ⑷ '3-'3i

4-21 4-3y+2z

즉, z=(x-1)+(x¤ +x-2)i에서 허수부분이 0이어야

a+b=3, b-a=1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1, b=2

⑵ 2x=1-'3i에서 2x-1=-'3i

⑵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4a¤ -4a+1=-1, 4a¤ -4a+2=0

∴ 2a¤ -2a+1=0

∴ f(a)=2a‹ -4a¤ +3a+2

∴ f(a)=a(2a¤ -2a+1)-2a¤ +2a+2

∴ f(a)=a(2a¤ -2a+1)-(2a¤ -2a+1)+3

∴ f(a)=3 (∵ 2a¤ -2a+1=0)

핵심유형

4

a<0에서 -a>0이므로

= =i

= = ¥ = =-i

4-1 ⑴ '∂-2'∂-3'∂-6='2i'3i'6i='2'3'6i‹

='ƒ2¥3¥6¥(-i)=-6i

⑵ '∂-2Æ-˚;2!;='2iÆ;2!; i='2Æ;2!; i¤ =-1

⑶ 2'∂-3-'ƒ-27=2'3i-'∂27i

=(2'3-3'3)i=-'3i

23

04.복소수

x-3<0, x-2æ0

∴ "√(x-3)¤ +"√(x-2)¤ =-(x-3)+(x-2)

=1

4-3 'x'y=-'∂xy이므로 x<0, y<0 y<0이고 =æ≠ 이므로 z<0

∴ x<0, y<0, z<0

이때 x+y<0, y+z<0, x+y+z<0이므로

|x+y|-|y+z|-"√(x+y+z)¤

=-(x+y)+(y+z)+(x+y+z)

=-x-y+y+z+x+y+z

=y+2z z 'z y 'y

01 z=a+bi(`a, b는 실수)라 하면

① zÆÆ=≈ßa+bi=a-bi”=a+bi=z (참)

② -z”=ç-(a+bi)=-a”-b”iÆ

② -z=-a+bi=-(a-bi)=-zÆ (참)

③ z가 실수이면 b=0이므로 z=a이다.

zÆ=aÆ=a=z (참)

④ z가 순허수이면 a=0이고 b+0이므로 z=bi이다.

zÆ=bi Ú=-bi=-z (참)

⑤ zzÆ=(a+bi)(a-bi)=a¤ +b¤

a¤ +b¤ æ0이므로 음의 실수인 경우는 존재하지 않는다. (거짓)

02 zÆ=z이므로 z는 실수이다.

즉, z=(2a+3)+(3a-2)i에서 허수부분이 0이어야 하므로 3a-2=0 ∴ a=;3@;

03 주어진 식을 정리하면

(2x-y+5)+(3x-2y)i=(x+2y)+(-3x+y)i 이므로 2x-y+5=x+2y, 3x-2y=-3x+y 즉, x-3y+5=0, 6x-3y=0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x=1, y=2

∴ x+y=3

04 z+zÆ=0을 만족시키는 복소수 z(+0)는 순허수이므로 z=(i-2)x¤ -3xi-4i+32

z=-2x¤ +32+(x¤ -3x-4)i 에서

40~41쪽

● ● ● 기출문제로내신대비하기● ● ●

01 ⑤ 02 ④ 03 ⑤ 04 ①

05 2-4i 06 ⑤ 07 ① 08 ①

09 1-3i 10 ③ 11 5i 12 ①

13 ③ 14 6 15 1

-2x¤ +32=0이고 x¤ -3x-4+0 이어야 한다.

-2x¤ +32=0에서 x¤ =16 x=4 또는 x=-4 yy ㉠ x¤ -3x-4+0에서 (x+1)(x-4)+0

x+-1, x+4 yy ㉡ 따라서 ㉠, ㉡을 모두 만족하는 실수 x의 값은

x=-4

05 (준식)=3-6i-i+2i¤ +

(준식)=1-7i+

(준식)=1-7i+1+3i=2-4i

06 åz=1-2i이므로

2z+åz=2(1+2i)+(1-2i)

=2+4i+1-2i

=3+2i

07 z=a+bi(`a, b는 실수, b+0)라 하면 z(z-2)=(a+bi)(a-2+bi)

=a(a-2)-b¤ +(2ab-2b)i 이 값이 실수이어야 하므로

2ab-2b=0, 2b(a-1)=0

∴ a=1(∵ b+0)

한편 zåz=6이므로 (a+bi)(a-bi)=6 a¤ +b¤ =6

a=1을 대입하면 1+b¤ =6 ∴ b¤ =5

∴ z(z-2)=a(a-2)-b¤

=1¥(1-2)-5=-6

08 åa-åb=3-2i에서 ƒa-b=3-2i이므로 a-b=3+2i

åa åb=2+5i에서 ƒab=2+5i이므로 ab=2-5i

∴ (a-2)(b+2)=ab+2a-2b-4

=ab+2(a-b)-4

=2-5i+2(3+2i)-4

=4-i

09 z¡åz¡=3에서 z¡= 이므로 =

z™åz™=3에서 z™= 이므로 =

+ = + = =

+ = =3-9i=1-3i ƒ3+9i 3

3

ƒz¡+z™

åz¡+åz™ 3 åz™ 3

åz¡ 3 3 1 z™

1

åz™3 1 z™

3 åz™

åz¡3 1

3 åz¡

2+6i 2

(4+2i)(1+i) (1-i)(1+i)

10 i(1-i)« 이 음의 정수가 되기 위해서는

(1-i)« =ai(`단, a>0인 실수)의 꼴이어야 한다.

(1-i)⁄ =1-i (1-i)¤ =-2i (1-i)‹ =-2-2i (1-i)› =-4 (1-i)fi =-4+4i (1-i)fl =8i (1-i)‡ =8+8i (1-i)° =16 (1-i)· =16(1-i) y

이므로 n=6, 14, 22, y일 때 (1-i)« 은 ai의 꼴이 된다.

따라서 i(1-i)« 이 음의 정수가 되도록 하는 자연수 n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③ 22이다.

11 (준식)=

-(준식)= i- ¥ (준식)=2i-3(-i)=5i

12 a<0, b<0이므로 a=-x, b=-y라 하면 x>0, y>0이다.

① (좌변)="(√-x)√¤ (-çy)Ω¤ ="xç¤ y¤ =xy

(우변)=(-x)(-y)=xy

∴ "aç¤ b¤ =ab

② (좌변)="(ç-x)(-yΩ)='xåy='x'y

(우변)='∂-x'∂-yi='xi'yi¥i

③ (우변)='x'yi‹ =-'x'yi

∴ 'aåb+'a'bi

③ (좌변)="ç-(-x)(Ω-y)='∂-xåy='x'yi

(우변)='∂-x '∂-yi='xi'yi¥i

③ (우변)='x'yi‹ =-'x'yi

∴ 'å-ab+'a'bi

④ (좌변)=-x'∂-y=-x'yi

(우변)="(√-x)√¤ (-≈yΩ)="x≈¤ yi

③ (우변)="xΩ¤ 'yi=x'yi

∴ a'b+"a≈¤ b

⑤ (좌변)=

=-③(우변)=Ƭ =Ƭ =Ƭ i= i

③ ∴ +Ƭ

13 =-Ƭ 이므로 a<0, b>0 a=-a'(a'>0)이라 하면

"a+"ç-b="ç-a '+"ç-b="ça 'i+"bi

=("ça'+"b )i 이므로 "a+"ç-b의 켤레복소수는

-("ça'+"b )i=-"ça'i-"bi

=-"ç-a'-"ç-b

=-"a-"ç-b b

a 'b

'a

b 'b

a

'yx y

-y

-y (-x)¤

'yix 'å-y-x

i i '2å7 '3i '2'6

'3

'2å7 '3i '2i_'6i

'3i

14 z=(x¤ -3x+2)+(x¤ -4x+3)i z=(x-1)(x-2)+(x-1)(x-3)i

z¤ æ0인 것은 z가 실수라는 뜻이다.

따라서 x=1 또는 x=3일 때이다. yy ❶

¤z¤ <0인 것은 z가 순허수라는 뜻이다.

따라서 x=2일 때이다. yy ❷

⁄, ¤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모든 실수 x의 값의 합은

1+2+3=6 yy ❸

15 =a라 하면

a¤ ={ }¤= =-i,

a› =(a¤ )¤ =(-i)¤ =-1 yy ❶

∴ a+a¤ +a‹ +a› +afi +afl +a‡ +a°

=(a+a¤ +a‹ +a› )+a› (a+a¤ +a‹ +a› )

=(a+a¤ +a‹ +a› )-(a+a¤ +a‹ +a› )=0 yy ❷

∴ f(a)=a¤ ‚ ‚ fi +a¤ ‚ ‚ fl +a¤ ‚ ‚ ‡ +y+a¤ ‚ ⁄ ° +a¤ ‚ ⁄ ·

=a¤ ‚ ‚ › (a+a¤ +y+a° )

+a¤ ‚ ⁄ ¤ (a+a¤ +y+a° )-a¤ ‚ ¤ ‚

∴ f(a)=-a¤ ‚ ¤ ‚ =-(a› )fi ‚ fi =-(-1)fi ‚ fi =1 yy ❸ -2i

2 1-i

'2 1-i

'2

채점 기준 배점

❶ z¤ æ0을 만족시키는 실수 x의 값 구하기

❷ z¤ <0을 만족시키는 실수 x의 값 구하기

❸ 조건을 만족시키는 모든 실수 x의 값의 합 구하기

40 % 40 % 20 %

채점 기준 배점

1-i=a라 할 때, a¤ , a› 의 값 구하기 '2

❷ a+a¤ +a‹ +y+a° 의 값 구하기

❸ f {1-i}의 값 구하기 '2

30 % 30 % 40 %

05. 이차방정식

42~43쪽

● ● ●개념확인● ● ●

01 ⑴ 풀이 참조 ⑵ x=-1 02 ⑴ x=—2i

⑵ x= ⑶ x=1—i ⑷ x=

⑸ x= ⑹ x=

03 ⑴ 서로 다른 두 실근 ⑵ 중근 ⑶ 서로 다른 두 허근 04 ⑴ k<1 ⑵ k=1 ⑶ k>1

05 ⑴ 합:;3$;, 곱:-;3%; ⑵ 합:2, 곱:0 ⑶ 합:0, 곱:4

⑷ 합:6, 곱:;5$;

06 ⑴ x¤ -x-6=0 ⑵ x¤ -2x+2=0

07 ⑴ (x-'3)(x+'3) ⑵ (x-1-2i)(x-1+2i) -2—'2i

1—'∂59i 6 6

2—'22 -1—'∂17

2

25

05.이차방정식

01 ⑴ (a¤ -1)x=a+1에서 (a+1)(a-1)x=a+1

⑴⁄a+-1, a+1이면 x= =

⑴¤a=-1이면 0¥x=0이므로 해가 무수히 많다.

⑴‹a=1이면 0¥x=2이므로 해가 없다.

⑵ |x-1|=2x+4에서

⑴⁄x<1이면 x-1<0이므로 주어진 방정식은 -(x-1)=2x+4

-3x=3 ∴ x=-1

⑴¤xæ1이면 x-1æ0이므로 주어진 방정식은 x-1=2x+4

-x=5 ∴ x=-5

⑴ ¤그런데 xæ1이므로 성립하지 않는다.

⑴⁄, ¤에 의하여 x=-1

02 ⑴ x¤ +4=0에서 x¤ =-4

∴ x=—'∂-4=—2i

⑵ x¤ +x-4=0에서

x= =

⑶ x¤ -2x+2=0에서

x=1—'∂1-2=1—'∂-1=1—i

⑷ 2x¤ -4x+1=0에서

x= =

⑸ 3x¤ -x+5=0에서

x= = =

⑹ 6x¤ +4x+1=0에서

x= = =

03 ⑴ x¤ +2x-1=0에서

D=4-4_(-1)=8>0

⑴따라서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진다.

⑵ x¤ +2x+1=0에서

D=4-4=0

⑴따라서 중근(서로 같은 두 실근)을 가진다.

⑶ x¤ +x+1=0에서

D=1-4=-3<0

⑴따라서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가진다.

04 이차방정식 x¤ -2x+k=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1-k

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므로 D>0이어야 한다 .

=1-k>0 ∴ k<1

⑵ 중근을 가지므로 D=0이어야 한다.

D=1-k=0 ∴ k=1 4

D 4 D

4

-2—'2i 6 -2—'∂-2

6 -2—'∂4-6

6

1—'∂59i 6 1—'∂-59

6 1—'∂1-60

6

2—'2 2 2—'∂4-2

2

-1—'∂17 2 -1—'∂1+16

2

1 a-1 a+1

(a+1)(a-1)

⑶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가지므로 D<0이어야 한다 .

=1-k<0 ∴ k>1

05 이차방정식의 두 근을 a, b라 하면

⑴ 3x¤ -4x-5=0에서

⑴ a+b=;3$;, ab=-;3%;

⑵ x¤ -2x=0에서

⑴ a+b=2, ab=0

⑶ x¤ +4=0에서

⑴ a+b=0, ab=4

⑷ ;2!;x¤ -3x+;5@;=0에서 양변에 10을 곱하면

5x¤ -30x+4=0

⑴ ∴ a+b=6, ab=;5$;

06 ⑴ 두 근이 3, -2이고, x¤ 의 계수가 1인 이차방정식은 x¤ -(3-2)x+3_(-2)=0

∴ x¤ -x-6=0

⑵ 두 근이 1-i, 1+i이고, x¤ 의 계수가 1인 이차방정식은 x¤ -(1-i+1+i)x+(1-i)(1+i)=0

∴ x¤ -2x+2=0

07 ⑴ x¤ -3=0에서 x¤ =3이므로 x=—'3

∴ x¤ -3=(x-'3)(x+'3)

⑵ x¤ -2x+5=0에서 x=1—'∂-4=1—2i

∴ x¤ -2x+5={x-(1+2i)}{x-(1-2i)}

=(x-1-2i)(x-1+2i) D

4

44~45쪽

● ● ●핵심유형으로개념정복하기● ● ●

핵심유형 1 ⑴ x=-2a 또는 x=b ⑵ x=-1 또는 x=3

⑶ x=-3 또는 x=3

1-14 1-2⑴ x=2 ⑵ x=0 또는 x=3

1-3⑴ x=-2a 또는 x=4a ⑵ x=-a 또는 x=-a+b

⑶ x=0 또는 x=2 ⑷ x=-6 또는 x=6

핵심유형 2 ⑴ 서로 다른 두 실근 ⑵ a>1이면 서로 다른 두 실근, a=1이면 중근, a<1이면 서로 다른 두 허근

2-1⑴ 실근 ⑵ 중근 또는 서로 다른 두 허근 2-2-12 2-3a=-;2!;, b=;4!;

핵심유형 3 7

3-1⑴ -2 ⑵ -10 ⑶ 2 ⑷ ;3@; ⑸ -;3@; ⑹ -:¡3º:

3-2⑴ x¤ -x-6=0 ⑵ x¤ +2=0

⑶ x¤ +2x+9=0 ⑷ x¤ +8=0 3-3x¤ -12x+36=0

핵심유형

1

⑴ 방정식을 인수분해하면 (x+2a)(x-b)=0 x+2a=0 또는 x-b=0

∴ x=-2a 또는 x=b

⑵ |x+1|+|x-1|=x+3에서

¤⁄x<-1일 때, x+1<0, x-1<0이므로 -(x+1)-(x-1)=x+3

-2x=x+3, -3x=3 ∴ x=-1 그런데 x<-1이므로 성립하지 않는다.

¤¤-1…x<1일 때, x+1æ0, x-1<0이므로 (x+1)-(x-1)=x+3

2=x+3 ∴ x=-1

¤‹xæ1일 때, x+1>0, x-1æ0이므로 (x+1)+(x-1)=x+3 2x=x+3 ∴ x=3

¤⁄, ¤, ‹에 의하여 x=-1 또는 x=3

⑶ x¤ -|x|-6=0에서

¤⁄x<0일 때,

¤ ¤ x¤ +x-6=0, (x+3)(x-2)=0

¤ ¤ ∴ x=-3 또는 x=2

¤ ¤그런데 x<0이므로 x=-3

¤¤xæ0일 때,

x¤ -x-6=0, (x-3)(x+2)=0

∴ x=3 또는 x=-2

¤ ¤그런데 xæ0이므로 x=3

¤⁄, ¤에 의하여 x=-3 또는 x=3 [다른 해설]

x¤ =|x|¤ 이므로 x¤ -|x|-6=0에서

|x|¤ -|x|-6=0 (|x|-3)(|x|+2)=0

∴ |x|=3 또는 |x|=-2 그런데 |x|=-2는 성립하지 않으므로

|x|=3 (∵ |x|æ0)

∴ x=—3

1-1 a¤ x+2=a+4x에서 a¤ x-4x=a-2 (a¤ -4)x=a-2, (a+2)(a-2)x=a-2

⁄ 해가 무수히 많으려면 0¥x=0의 꼴이어야 하므로 a=2

¤ 해가 없으려면 0¥x=(상수)의 꼴이어야 하므로 a=-2

⁄, ¤에서 구하는 a의 값의 차는 2-(-2)=4이다.

1-2 ⑴ 2x-|x-3|=x+1에서

핵심유형 4 0, 12

4-1;2!;, 8 4-2-13, 5 4-3a=-2, b=-1

⑴⁄x<3일 때, x-3<0이므로 2x+(x-3)=x+1 2x=4 ∴ x=2

⑴¤xæ3일 때, x-3æ0이므로 2x-(x-3)=x+1, 0¥x=-2

∴ 해가 없다.

⑴⁄, ¤에 의하여 x=2

⑵ |x-1|+|x-2|=3에서

⑴⁄x<1일 때, x-1<0, x-2<0이므로 -(x-1)-(x-2)=3

-2x=0 ∴ x=0

⑴¤1…x<2일 때, x-1æ0, x-2<0이므로 (x-1)-(x-2)=3, 0¥x=2

∴ 해가 없다.

⑴‹xæ2일 때, x-1>0, x-2æ0이므로 (x-1)+(x-2)=3

2x=6 ∴ x=3

⑴⁄, ¤, ‹에 의하여 x=0 또는 x=3

1-3 ⑴ x¤ -2ax-8a¤ =0에서

(x+2a)(x-4a)=0

∴ x=-2a 또는 x=4a

⑵ x¤ +(2a-b)x+a(a-b)=0에서

(x+a)(x+a-b)=0

∴ x=-a 또는 x=-a+b

⑶ (x-1)¤ +|x-1|-2=0에서

¤⁄x<1일 때,

¤ ¤ (x-1)¤ -(x-1)-2=0

¤ ¤ x¤ -3x=0, x(x-3)=0

¤ ¤ ∴ x=0 또는 x=3

¤ ¤그런데 x<1이므로 x=0

¤¤xæ1일 때,

(x-1)¤ +(x-1)-2=0

¤ ¤ x¤ -x-2=0, (x+1)(x-2)=0

¤ ¤ ∴ x=-1 또는 x=2

¤ ¤그런데 xæ1이므로 x=2

¤⁄, ¤에 의하여 x=0 또는 x=2 [다른 해설]

(x-1)¤ +|x-1|-2=0에서

|x-1|¤ +|x-1|-2=0

|x-1|=t(tæ0)라 하면

t¤ +t-2=0, (t+2)(t-1)=0 (|x-1|+2)(|x-1|-1)=0

∴ |x-1|=1 (∵ |x-1|æ0) x-1=—1이므로 x=0 또는 x=2

⑷ x¤ -4|x|-12=0에서

¤⁄x<0일 때,

¤ ¤ x¤ +4x-12=0, (x+6)(x-2)=0

27

05.이차방정식

¤ ¤ ∴ x=-6 또는 x=2

¤ ¤그런데 x<0이므로 x=-6

¤¤xæ0일 때,

x¤ -4x-12=0, (x+2)(x-6)=0

∴ x=-2 또는 x=6

¤ ¤그런데 xæ0이므로 x=6

¤⁄, ¤에 의하여 x=-6 또는 x=6 [다른 해설]

x¤ -4|x|-12=0에서

|x|¤ -4|x|-12=0 (|x|-6)(|x|+2)=0

∴ |x|=6 (∵ |x|æ0)

∴ x=—6

핵심유형

2

⑴ x¤ +ax+a-2=0에서 판별식을 D라 하면

D=a¤ -4(a-2)=a¤ -4a+8=(a-2)¤ +4>0

⑴따라서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진다.

⑵ x¤ +2x-a+2=0에서 판별식을 D라 하면

=1-(-a+2)=a-1

⑴⁄a>1이면 >0이므로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진다.

⑴¤a=1이면 =0이므로 중근(서로 같은 두 실근)을

⑴ ¤가진다.

⑴‹a<1이면 <0이므로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가진다.

2-1 ⑴ x¤ -mx-m¤ =0에서 판별식을 D라 하면

D=m¤ -4(-m¤ )=5m¤ æ0

⑴이므로 실근을 가진다.

⑵ x¤ +'3mx+m¤ =0에서 판별식을 D라 하면

D=3m¤ -4m¤ =-m¤ …0

⑴이므로 중근 또는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가진다.

2-2 kx¤ -3kx+2k-3=0에서 판별식을 D라 하면 D=9k¤ -4k(2k-3)=0

k¤ +12k=0, k(k+12)=0

∴ k=-12 (∵ k+0)

2-3 x¤ -2(k+a)x+(k¤ -k+b)=0에서 판별식을 D라 하면 D=0이 k에 대한 항등식이다.

=(k+a)¤ -(k¤ -k+b)

=(2a+1)k+a¤ -b=0 이 식이 k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2a+1=0, a¤ -b=0

이를 연립하여 풀면 a=-;2!;, b=;4!;

D 4

D 4 D

4 D 4 D

4

핵심유형

3

x¤ -3x+5=0에서 a+b=3, ab=5이므로

a+b, ab를 두 근으로 하는 x¤ 의 계수가 1인 이차방정식은 x¤ -(a+b+ab)x+(a+b)ab=0

x¤ -(3+5)x+3¥5=0 x¤ -8x+15=0

따라서 이 식이 x¤ +mx+n=0이므로 m=-8, n=15 ∴ m+n=7

3-1 x¤ -2x+3=0에서 a+b=2, ab=3

⑴ a¤ +b¤ =(a+b)¤ -2ab=2¤ -2¥3=-2

⑵ a‹ +b‹ =(a+b)‹ -3ab(a+b)

⑵ a‹ +b‹=2‹ -3¥3¥2=-10

⑶ afi +bfi =(a¤ +b¤ )(a‹ +b‹ )-a¤ b¤ (a+b)

⑶ afi +bfi=(-2)¥(-10)-3¤ ¥2=2

⑷ + = =

⑸ + = =

=-⑹ + = =

=-3-2 x¤ +2x+3=0에서 a+b=-2, ab=3

⑴ (a+b)+(ab)=-2+3=1

⑴(a+b)(ab)=(-2)¥3=-6

⑴a+b, ab를 두 근으로 하는 x¤ 의 계수가 1인 이차방정식은

x¤ -{(a+b)+(ab)}x+(a+b)(ab)=0

∴ x¤ -x-6=0

⑵ (a+1)+(b+1)=a+b+2=-2+2=0

⑴(a+1)(b+1)=ab+a+b+1=3-2+1=2

⑴a+1, b+1을 두 근으로 하는 x¤ 의 계수가 1인 이차방 정식은

x¤ -{(a+1)+(b+1)}x+(a+1)(b+1)=0

∴ x¤ +2=0

⑶ a¤ +b¤ =(a+b)¤ -2ab=(-2)¤ -2¥3=-2

⑴a¤ b¤ =(ab)¤ =9

⑴a¤ , b¤ 을 두 근으로 하는 x¤ 의 계수가 1인 이차방정식은

x¤ -(a¤ +b¤ )x+a¤ b¤ =0

∴ x¤ +2x+9=0

⑷ (a¤ +1)+(b¤ +1)=(a¤ +b¤ )+2=(-2)+2=0

⑴(a¤ +1)(b¤ +1)=a¤ b¤ +a¤ +b¤ +1

=9+(-2)+1=8

⑴a¤ +1, b¤ +1을 두 근으로 하는 x¤ 의 계수가 1인 이차방 정식은

x¤ -{(a¤ +1)+(b¤ +1)}x+(a¤ +1)(b¤ +1)=0

∴ x¤ +8=0

3-3 x¤ -6x+1=0에서 a+b=6, ab=1 10 3 -10

3 a‹ +b‹

ab a¤

b b¤

a

2 3 -2

3 a¤ +b¤

ab a b b a

2 3 a+b

ab 1 b 1 a

a+ , b+ 을 두 근으로 하는 x¤ 의 계수가 1인 이차방정식은

x¤ -{a+ +b+ } x+{a+ } {b+ }=0 x¤ -{a+b+ } x+ab+ + =0

x¤ -{6+ }x+1+ + =0

x¤ -12x+2+36-2=0

∴ x¤ -12x+36=0

핵심유형

4

x¤ -(k-2)x+2k=0의 두 근을 a, a+2로 놓으면 a+(a+2)=k-2 yy ㉠

a(a+2)=2k yy ㉡

㉠에서 a= 를 ㉡에 대입하면

{ +2}=2k k¤ -12k=0, k(k-12)=0

∴ k=0 또는 k=12

4-1 x¤ -(k+2)x+3k=0의 두 근을 2a, 3a로 놓으면 2a+3a=k+2 yy ㉠

2a¥3a=3k yy ㉡

㉠에서 a= 를 ㉡에 대입하면 6_{ }¤ =3k

2k¤ -17k+8=0, (2k-1)(k-8)=0

∴ k=;2!; 또는 k=8

4-2 x¤ -(k+4)x+18=0의 두 근을 a, 2a로 놓으면 a+2a=k+4 yy ㉠

a¥2a=18 yy ㉡

㉡에서 2a¤ =18, a¤ =9

∴ a=-3 또는 a=3

⁄ a=-3일 때, ㉠에서 k=-13

¤ a=3일 때, ㉠에서 k=5

따라서 ⁄, ¤에 의하여 k=-13 또는 k=5

4-3 x=1+'2를 x¤ +ax+b=0에 대입하면 (1+'2)¤ +a(1+'2)+b=0 (3+2'2)+(a+a'2)+b=0 (3+a+b)+(2+a)'2=0 3+a+b, 2+a가 유리수이므로

3+a+b=0, 2+a=0

∴ a=-2, b=-1 [다른 해설]

주어진 이차방정식의 계수가 유리수이고 1+'2가 근이므로 k+2

5 k+2

5 k-4

2 k-4

2 k-4

2

(a+b)¤ -2ab 1 1

1 6

1

a¤ +b¤

ab 1

ab a+b

ab

1 b 1 a 1

b 1

a 1 b 1 a

46~47쪽

● ● ●기출문제로내신대비하기● ● ●

01 (a-1)(a+5)x=a-8x+3에서 (a¤ +4a-5)x+8x=a+3 (a¤ +4a+3)x=a+3

∴ (a+1)(a+3)x=a+3

a=-1일 때, 0¥x=2 ∴ 해가 없다

¤a=-3일 때, 0¥x=0 ∴ 해는 모든 수

a+-1, a+-3일 때, x=

따라서 해가 모든 수인 경우는 a=-3일 때이다.

02 ||x-2|-3|=4에서

x<2일 때, x-2<0이므로

|-(x-2)-3|=4, |-x-1|=4

|x+1|=4

㉠ x<-1이면 x+1<0이므로 -(x+1)=4 ∴ x=-5

㉡ -1…x<2이면 x+1æ0이므로 x+1=4 ∴ x=3

그런데 -1…x<2이므로 성립하지 않는다.

¤xæ2일 때, x-2æ0이므로

|x-2-3|=4, |x-5|=4

㉢ 2…x<5이면 x-5<0이므로 -(x-5)=4 ∴ x=1

그런데 2…x<5이므로 성립하지 않는다.

㉣ xæ5이면 x-5æ0이므로 x-5=4 ∴ x=9

⁄, ¤에 의하여 x=-5 또는 x=9 따라서 모든 근의 합은 -5+9=4이다.

[다른 해설]

||x-2|-3|=4에서

|x-2|-3=4 또는 |x-2|-3=-4

|x-2|=7 또는 |x-2|=-1 그런데 |x-2|æ0이므로

|x-2|=7

1 a+1 1-'2도 근이다.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1+'2)+(1-'2)=-a ∴ a=-2 (1+'2)(1-'2)=b ∴ b=-1

01 ④ 02 ③ 03 x=-2 또는 x=-3

04 ③ 05 12 06 ① 07 ⑤

08 서로 다른 두 실근 09 ④ 10 -2

11 ② 12 m=-3, 나머지 한 근:4 13 13 14 25 15 45

29

05.이차방정식

x-2=7 또는 x-2=-7

∴ x=9 또는 x=-5

따라서 모든 근의 합은 9+(-5)=4이다.

03 a≠b=a+b+ab이므로 (x≠x)+(2≠x)+4=0에서

x+x+x¤ +2+x+2x+4=0 x¤ +5x+6=0

(x+2)(x+3)=0

∴ x=-2 또는 x=-3

04 이차방정식 x¤ +2ax-3a=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중근을 가질 조건은

=a¤ -(-3a)=0

a¤ +3a=0에서 a=0 또는 a=-3

따라서 모든 실수 a의 값의 합은 0+(-3)=-3이다.

05 x¤ -(k-4)x+k-1이 완전제곱식이 되려면 판별식을 D라 할 때 D=(k-4)¤ -4(k-1)=0이어야 한다.

k¤ -12k+20=0에서 (k-2)(k-10)=0

∴ k=2 또는 k=10

따라서 모든 실수 k의 값의 합은 2+10=12이다.

06 주어진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중근을 가지므로 D=0이어야 한다. 즉,

=(k-a)¤ -(k¤ -2k+a-b+1)=0 k¤ -2ak+a¤ -k¤ +2k-a+b-1=0 (2-2a)k+a¤ -a+b-1=0 이때 k의 값에 관계없이 등식이 성립하므로

2-2a=0, a¤ -a+b-1=0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1, b=1

∴ a+b=2

07 (k-6)x¤ -8x+k=0에서

k=6일 때, -8x+6=0에서 x=;4#;으로 하나의 실근을 갖

⁄는다.

¤k+6일 때, 이차방정식 (k-6)x¤ -8x+k=0이 하나의 실 근을 가지려면 중근을 가져야 하므로 판별식을 D라 하면 D=0이어야 한다. 즉,

¤ =(-4)¤ -(k-6)k=0, k¤ -6k-16=0

¤ (k+2)(k-8)=0 ∴ k=-2 또는 k=8

⁄, ¤에 의하여 하나의 실근을 갖도록 하는 k의 값은 -2, 6, 8 이므로 그 합은 -2+6+8=12이다 .

08 (a+c)x¤ -2bx+a-c=0 yy ㉠ 이차방정식 ㉠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 4 D

4 D

4

=b¤ -(a+c)(a-c)=b¤ +c¤ -a¤

a, b, c를 세 변의 길이로 하는 삼각형이 예각삼각형이므로 b¤ +c¤ >a¤ ∴ b¤ +c¤ -a¤ >0

따라서 =b¤ +c¤ -a¤ >0이므로 이차방정식 ㉠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09 x¤ -5x+1=0에서 a+b=5, ab=1

a¤ +b¤ +5(a+b)=(a+b)¤ -2ab+5(a+b)

=25-2+25=48

10 2x¤ +xy-y¤ +3y+k=0을 x에 대한 이차방정식이라 하면 근의 공식으로부터

x=

x=

이때 D¡=9y¤ -24y-8k라 하면 주어진 식은

{x- } {x- }

로 인수분해된다. 이 식이 두 일차식으로 곱이기 위해서는

"≈D¡이 일차식이 되어야 하므로 D¡이 완전제곱식이 되어야 한 다.

즉, y에 대한 이차방정식 D¡=9y¤ -24y-8k=0이 중근을 가 져야 한다.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12¤ +9¥8k=0 ∴ k=-2

11 조건 ㈎, ㈏에 의하여 c, d는 서로 다른 100 이하의 자연수이면 서, 소수의 제곱수이어야 하므로 4, 9, 25, 49 중 하나이다.

이차방정식 x¤ -ax+b=0의 두 근이 c, d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c+d, b=cd

이고 a, b도 서로 다른 100 이하의 자연수이므로

c=4, d=9 또는 c=9, d=4일 때, (a, b)=(13, 36)

¤c=4, d=25 또는 c=25, d=4일 때, (a, b)=(29, 100)

따라서 조건을 만족하는 순서쌍 (a, b)의 개수는 2개이다.

12 x¤ +mx+3m+5=0의 한 근이 -1이므로 1-m+3m+5=0 ∴ m=-3 m=-3을 방정식에 대입하면

x¤ -3x-4=0, (x-4)(x+1)=0

∴ x=4 또는 x=-1 따라서 나머지 한 근은 4이다.

13 이차방정식 x¤ +(1-3m)x+2m¤ -4m-7=0의 두 근을 a, b라 하면 두 근의 차가 4이므로

D™

4

-y-"≈D¡

4 -y+"≈D¡

4

-y—"√9y¤ -24y-8k 4

-y—"√y¤ -8(-y¤ +3y+k) 4

D 4 D

4

|a-b|=4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b=3m-1, ab=2m¤ -4m-7 yy ㉠ 이때, (a-b)¤ =(a+b)¤ -4ab=16이므로

(3m-1)¤ -4(2m¤ -4m-7)=16 (∵ ㉠) 9m¤ -6m+1-8m¤ +16m+28=16 m¤ +10m+29=16

∴ m¤ +10m+13=0

따라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실수 m의 모든 값의 곱은 13 이다.

14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b=-p, ab=q yy ❶

|a-b|=2의 양변을 제곱하면 (a-b)¤ =4, a¤ +b¤ -2ab=4

10-2q=4 ∴ q=3 yy ❷

한편 a¤ +b¤ =10에서 (a+b)¤ -2ab=10이므로

p¤ -2q=10 ∴ p¤ =10+2q=16 yy ❸

∴ p¤ +q¤ =16+3¤ =25 yy ❹

15 이차방정식의 계수가 실수이고 한 근이 3-ai이므로 다른 한 근

은 3+ai이다. yy ❶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3-ai)+(3+ai)=-2a에서 a=-3 (3-ai)(3+ai)=3b에서 9+a¤ =3b

9+(-3)¤ =3b ∴ b=6 yy ❷

∴ a¤ +b¤ =(-3)¤ +6¤ =45 yy ❸

[다른 해설]

3-ai가 이차방정식 x¤ +2ax+3b=0의 한 근이므로 (3-ai)¤ +2a(3-ai)+3b=0

(9-6ai-a¤ )+(6a-2a¤ i)+3b=0

(9-a¤ +6a+3b)+(-6a-2a¤ )i=0 yy ❶ a, b가 실수이므로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9-a¤ +6a+3b=0 yy ㉠, -6a-2a¤ =0 yy ㉡

㉡에서 -2a(a+3)=0 ∴ a=-3 ( ∵ a+0) 이것을 ㉠에 대입하면

9-(-3)¤ +6¥(-3)+3b=0

채점 기준 배점

❶ 근과 계수의 관계 나타내기

|a-b|=2의 양변을 제곱하여 q의 값 구하기

❹ p¤ +q¤ 의 값 구하기

(a+b)¤ -2ab=a¤ +b¤임을 이용하여 p¤ 의 값 구하기

20 % 30 % 30 % 20 %

-18+3b=0 ∴ b=6 yy ❷

∴ a¤ +b¤ =(-3)¤ +6¤ =45 yy ❸

채점 기준 배점

❶ 다른 한 근이 3+ai임을 알아내기

❷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하여 a, b의 값 구하기

❸ a¤ +b¤ 의 값 구하기

❸ a¤ +b¤ 의 값 구하기

문서에서 굿비 고등 수학(상)_해설 (페이지 21-57)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