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바라는 미래사회 도래를 위한 단·중기 육아지원정책 과제

문서에서 미래 육아지원정책 수요 전망 연구 (페이지 106-117)

Ⅴ. 단·중기 육아지원정책 제언

3. 바라는 미래사회 도래를 위한 단·중기 육아지원정책 과제

가. 단기예측에 근거한 정책제언

앞서 논의된 미래연구동향과 수요예측의 필요성에서 볼 때, 육아정책은 당면 한 문제점을 해소하는 현안대응에서 확장하여, 미래 국가비전을 제시하고 바라 는 사회상으로 선도하는 보다 강한 동력의 육아지원정책을 필요로 한다. 사회인 구학적 추이의 급속한 변화로 인해(예: 저출산, 유소년인구의 감소, 다문화, 1인 가구의 증가 등), 당면한 현안 대응으로서의 정책 수립에는 한계가 따른다. 양육 지원과 유아교육 및 보육을 포괄한 육아정책은 단·중·장기 전망과 미래선도의 정책설계를 가지고 수립될 필요가 있다.

현재 매 3~5년 주기로 마련되는 발전계획과 기본계획의 수립은 미래연구의 관점에서 볼 때 단기적 대응에 머무는 것이므로, 첫째, 30년 이상의 중장기 전 망을 고려한 발전방향과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이에 따른 향후 3~5년의 계획을 구체화시킬 필요가 있다. 장기적으로는 육아에 대한 사회인식의 향상, 사회전반 의 근로문화의 발전과 같은 전략에서부터 시작하여, 중기적으로 영유아 서비스 의 양과 질, 다양성에 대한 수요, 단기적으로는 기관인프라와 교사/지원인력의 단기 수급 예측이 함께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내용적으로 향후 육아지원정책은 규제와 관리감독, 평가에 의한 질관리체계

단·중기 육아지원정책 제언 91

기관이나 부서에 대한 평가에 사회공헌 점수를 부여하는 실질적인 보상 기제의

단·중기 육아지원정책 제언 93

적 노력이 필요하다. 미래사회는 변화에 대응하는 다양한 삶의 형태와 체험, 아

단·중기 육아지원정책 제언 95

이를 위해 사회와 산업계 전반의 평가지표가 사회공공성에의 기여, 근로문화 의 선진화와 같은 미래지향적 지표를 포함해야 하겠다.

일곱째, 성인의 돌봄속에 머무는 영유아는 안전하게 보호되되 집단의 규칙과 성인의 지시에서 벗어난 영유아 자신의 자유로운 체험의 시간을 필요로 한다.

좁은 공간에 머물지 않고 보다 넓은 자연환경에서 자유로이 탐색하고 머물수 있도록 영유아/아동을 위한 녹색환경(예: 영유아 숲, 어린이 공원)의 조성이 필 요하다.

증가하는 사회복지수준을 고려할 때, 노령세대를 위해 청년 및 중장년세대가 부담해야 하는 경제적 비용이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다. 여덟째, 영유아의 미래시점 안전과 행복을 위해, 현재 도입되는 일정규모 이상의 재정 정책이 미 래세대에 부과되는 재정부담을 지표화하여, 정책 입안시 예산안정성과 예비타당 도 검토 시 미래세대의 의견이 함께 고려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일부 주요 국에서와 마찬가지로 현재의 정책이 미래세대에 미치는 영향과 세대간 갈등을 예측, 조정할 수 있게끔 한다. 육아정책의 목적은 건강하고 행복한 영유아의 성 장을 돕는 것이므로, 육아지원 법안의 도입 시, 아동권의 관점에서 모니터링하 는 단계를 정례화 할 필요가 있다.

아홉째, 현재의 영유아부모는 다양한 정보와 과학적으로 발전된 기기와 온라 인 시스템을 사용함에 따라, 육아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정보와 지원에 대한 요구가 매우 크다. 따라서 정부는 오프라인 상의 인프라와 정보제공 외에, 온라 인상의 육아지원 정보 및 상담체계와 안전환경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미래연구에 의하면, 미래는 변화하는 대로가 아닌, 지향하고 목표하는 대로 만들어가는 창조물이다. 현재의 대중이 바라고 지향하는 대로의 미래상에 다가 갈 수 있도록, 인구정책을 고려한 육아지원정책의 선진화와 다양화 노력이 가장 시급한 현안 대응이자 미래 선도적인 정책 주도가 될 것이다.

곽인숙 외(2013). 사회변동에 따른 가족 및 가정생활의 변화와 함의.(경제인문사 회연구회 기획 협동연구총서-한국 가족변화의 특징과 전망 협동연구).

대한가정학회.

관계부처 합동(2013). 보도자료 – 고용률 70% 로드맵(2013.6.4.).

교육통계서비스(2003-2012). 교육통계연보 권기헌(2008). 미래예측학. 법문사.

김동환·서용석·송영조(2010). 미래예측결과를 입법활동에 반영하기 위한 제도개 선 방안. 국회입법조사처 용역보고서.

김승권·서문희·한영자·김혜연·조애저·김유경(2001). 출산력 및 가족보건실태의 변 화양상과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김은설·최혜선(2008). 한국인의 자녀양육관 연구. 육아정책개발센터.

김은영·박진아‧김문정(2013). 국공립유치원 교원 중장기 수급 방안 연구. 육아정 책연구소·교육부.

김현곤·이혜정·송영조·서용석·최윤식·김동현·이연우·김두환·정우석·유진혁·정지범 (2009). 성공적 공공정책 수립을 위한 미래전략 연구방법론(한국정보화 진흥원 2009. 2015 사회위험 변화와 전망).

김현철(2000a). 중장기 초등교원 수급예측(I): 교원수 예측, 교육행정연구, 18(2), 91~113.

김현철(2000b). 중장기 유아교육 수요예측(Ⅱ)- 원아수 예측. 유아교육연구(20).

35~58.

김현철(2002). 시계열분석에 의한 초등교원의 수요 예측: 설명변수의 탐색과 분 석방법간 예측결과의 비교. 한국교육, 29(2), 113~130.

김현철(2009). 보육과 유아교육 수요규모 예측과 시사점. 교육문제연구, 35, 117~139.

박성배·김정우·전상인·김창욱·최은정·이치호·허용석(2012). 효과적 수요예측방법

참고문헌 97

이코노미스트(2013). 이코노미스트 2013 세계경제대전망. 현대경제연구원‧한국경

Australia 2020 Summit(2008). Options for the future of indigenous Australia.

Final Report.

BP Global(2013). BP Energy Outlook 2030. www.bp.com/content/dam/bp/

pdf/statistical-review/BP_World_Energy_Outlook_booklet_2013.pdf.

Billings, R. B., & Jones, C. V.(2008). Forecasting urban water demand. 서울:

홍릉과학출산사.

Bronfenbrenner, U.(1979).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Bronfenbrenner, U., & Morris, P. A.(1998). The ecology of developmental processes. In W. Danon(Series Ed) & R. M. Lerner(Vol.Ed.),

참고문헌 99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ol.1. Theory(5th ed.). New York Wiley.

Inayatullah, S.(2004). The Causal Layered Analysis(CLA) Reader. Taipei, Taiwan: Tamkang University Press.

Marien, M.(1996). “Future Studies” in Kurian, George Thomas, and Molitor, Graham T.T.(Ed.) Encyclopedia of the Future, Simon and Schuster Macmillan.

Martin, B., & Irvine, J. (1989). Research Foresight: Creating the Future. St.

Martin's Press.

NCES(2011). Projections of Education Statistics to 2020. Institute of Education Sciences 2011, National Center for Education Statistics.

OECD(2011). The Future of Families to 2030: A synthesis report. OECD International Futures Programme.

Statistics Research Branch, Department of Enterprise, Trade and Investment, Department for employment and learning(2002). The demand for, and supply of, childcare in NI. Labour Market Bulletin.

The World Bank Development Reseasrch Group(2009). Energy Demand Models for Policy Formulation. www-wds.worldbank.org/servlet/

WDSContentServer/WDSP/IB/2009/03/17/000158349_20090317093816/

Rendered/PDF/WPS4866.pdf

UN Millennium Project(2012). millennium-project.org,

www.acunu.org/millennium/index.html에서 검색.

Future studies of Childrearing support policies in Korea

Choi, Yoon Kyung Min, Jungwon Kim, Keewhan Lee, Sewon This study explored the future prospect of childreairng trend and practices in 2040 of Korea, and also analyzed of the short-term demands of ECEC supplies by preschool and child care center infrastructure.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was online survey, focus group interviews, future study literature review, time-series analysis, and brainstorming discussions of this study researchers. Based on the diverse study results, emerging key issues and agenda were derived for future childrearing scenarios

As a result, the main demands for long-term future childrearing supports were healthy environments for childrearing, proliferation of child-welfare policies, female labor oriented policies. Thus the demands were listed as follows: female labor market participation, online education and supports, multicultural society,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use of non-human facilities and robots, and the respect for family life against market labor-dominant culture. Thus the male participation of household keeping and childrearing was required as key necessity of future child birth and rearing.

부 록

문서에서 미래 육아지원정책 수요 전망 연구 (페이지 106-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