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미술 교과서 참고작품 개선방향

미술 교과서의 참고작품은 발상 및 동기 유발, 표현 과정, 감상활동 등의 참고 자료로서 실제 미술 수업 활동을 주도적으로 이끌어 나가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 로 단순한 시각적 감각 훈련 자료나 내용을 그대로 모방, 재현하지 않도록 참고 작품을 신중하게 선정하여 효과적으로 제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2009 개정 미술 교과서에 제시된 참고작품을 분석기준에 따라 비교․분석한 내 용을 토대로 미술 교과서에서 앞으로 어떻게 참고작품을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한 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참고작품에 대한 도판 설명을 명확하게 제시해야 한다. 5종의 미술 교과 서에 소개된 참고작품 중에서 작가명이나 작품 제작년도를 누락하여 수록한 작품 이 많았다. 참고작품을 제시할 때에는 작가명, 국적, 제작년도, 작품명, 재료, 크 기, 연도 등을 최신의 공인된 자료에 의거하여 명확하게 표기해야 한다. 참고작 품에 대한 정확한 정보는 학생들이 미술의 역사와 양식, 작가의 특성이나 작품성 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특히, 국내 작품의 경우에는 전통미술 작 품의 일부가 작가미상이나 제작년도를 누락하여 수록하고 있었는데, 작가미상 작 품이나 제작년도를 누락한 작품이 참고작품으로 수록할 만한 가치가 있는지를 명 확히 따져보고 도판에 대한 설명을 명확하게 제시해야 할 것이다.

둘째, 출판사별로 적정한 참고작품 수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미술 교과서의 체험, 표현, 감상 영역에 따른 참고작품의 수가 출판사 별로 상이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참고작품을 가장 많이 수록한 출판사와 가장 적게 수록한 출판사 간에 참고작품 수가 표현 영역에서는 124점, 감상 영역에서는 80점이나 차이나는 경 우가 있었다. 미술 교과서에서 참고작품 수가 많은 것은 내용 구성이 산만해지거 나 그만큼 참고작품의 크기가 작아지는 것을 의미하며, 참고작품 수가 적은 것은 그만큼 참고할 내용과 자료가 부족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참고작품의 크기나 내 용 구성을 고려하여 적정한 참고작품 수를 제시하는 것이 좋겠고, 출판사별 참고 작품 수를 적정하게 맞출 필요가 있다.

셋째, 체험 영역에서 자연물과 인공물에 대한 참고작품의 수를 적정하게 조정 할 필요가 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체험 영역에서 지각과 소통의 중요

성을 강조하여 자신과 주변 환경의 미적 특징을 발견하고, 느낌과 생각을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체험 영역에 있어서 인공물 작품 에 편향하여 수록하기 보다는 국내․외의 자연물과 인공물 작품을 고르게 제시하 여 주변 환경으로부터의 미적 경험을 충분히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넷째, 표현 영역에서 학생작품의 수를 적정하게 조정하고, 국외 학생의 참고작 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표현 영역의 참고작품을 살펴보면 참고작품이 학생 작 품에 편중되어 작가 작품의 수록 비율이 매우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학생 참고작 품이 많은 것은 학생들의 창작 의욕을 고취시키고 자유롭고 창의적인 표현활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예시자료로서 긍정적인 측면이 있지만, 상대적으로 다양한 표현 기법과 상상력이 가미된 우수한 참고작품을 접할 수 있는 참고자료가 부족할 수 있다는 부정적인 측면이 있다. 또한, 모든 출판사에서 국외 학생의 작품이 단 한 점도 수록되지 않아, 국제화 시대에 동시대를 살아가는 학생들의 다양한 표현을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국외 학생의 참고작품을 수록하는 것이 필요할 것 이다.

다섯째, 참고작품을 국가별, 시대별로 고르게 분배하여 수록해야 한다. 각 영 역별 참고작품을 국가별로 분석한 결과 국외 작품 중에서 동양 작품의 비율이 현 저하게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감상 영역의 경우 동양 작품의 비율이 전체 작품의 3%를 차지하였는데, 이는 대부분의 작품이 서양 작품, 그 중에서도 유럽 작품에 편중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는 국제화, 다문화 시대에 여러 나라 미술작 품을 통해 다양한 문화의 미술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박탈하는 것이므로 개선 이 필요하다. 또한, 국내․외의 작품 대부분이 근․현대 작품들이어서 어느 특정 시대에 편중되어 수록되어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세계 여러 나라의 시대별 고른 작품을 제시함으로써 다양한 문화와 시대별 양식을 체험하고 폭넓은 감상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여섯째, 감상 영역에 다양한 장르의 참고작품을 고르게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 다. 현대의 미술은 다양한 재료와 기법을 사용하여 장르 간 경계가 점점 모호해 지고 있으며 새로운 미술 장르가 계속적으로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감상 영역의 5종의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출판사가 회화 작품을 가장 많이 수록하고 있으며, 서예나 판화 작품은 거의 제시되지 않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 현대 미술

의 시대적 흐름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다양 한 장르의 현대 미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미술 교과서에 다양한 장르의 참고작 품을 고르게 제시하여 다양하고 폭넓은 감상활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야 할 것이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