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미국의 귀농·귀촌 동향

○ 미국 농촌19)은 전체 면적의 75%를 차지하며, 5,000만 명이 거주.

○ 1920년부터 2004년까지 미국에서 급속한 인구 성장이 이뤄져 왔으나 대부분 도시 지역 인구 증가였음. 또한 미국 농장 운영자 가운데 35세 이하 인구는 1997년에서 2007년 사이 35% 감소, 60세 이상 인구는 19% 증가하는 등 농업 인력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

○ 1970년대부터 갑작스런 귀촌현상으로 인하여 농촌 인구 성장이 도시 인구 성장을 넘어섰으며 1990년대 이후 귀농·귀촌20)이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 잡았음.

- 최근 커뮤니케이션 등 혁신적 과학기술 발달로 인한 공간적 제약 약화, 대도시의 혼잡함과 스트레스를 줄이고 목가적인 생활을 추구하는 경향 확산 등에 기인.

18) 본 절은 박성희(2012)에 정리된 내용을 요약·정리하여 작성함.

19) 미국 농촌지역은 인구가 적은 타운(town) 지역, 도시와 도시간 주변부 지역으로서 인구밀도가 낮은 지역을 말함. 최소 인구 1만 명 이상의 도시 지역인 마이크로폴리탄 지역(a micropolitan area)을 농 촌지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봄.

20) ‘귀농’은 ‘농촌으로 이주하여 농업을 직업으로 취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귀촌’은 보다 넓은 의미로서 ‘농촌으로 거주하는 것’으로 봄.

그림 4-1. 미국 인구 변화

자료: 박성희(2012)에서 재인용.

○ 농촌으로의 인구 유입은 사회·경제 구조 및 경제 발달, 복지 측면에서 새로운 도전 과 기회를 제공하므로 인구 이동 패턴은 농촌 변화 이해에 매우 중요하며, 인구 유 입(귀촌)은 농촌 인구 성장의 주요 요인임. 순 인구이동으로 인한 인구 성장은 1990 년대 농촌 지역의 65%를 차지하였음.

○ 1990년대 이후 베이비 붐 세대(1946~1964년생) 은퇴자들의 귀촌이 증가하였는데, 이들은 온화한 기후, 멋진 자연 경관, 풍부한 어메니티(amenity)를 찾아 주거 비용 이 저렴한 농촌으로 이주하는 경향을 보였음.

- 베이비붐 세대들의 귀촌이 증가함에 따라 이와 비슷한 추세로 간다면 2020년에는 2010년 대비 55세~74세 농촌 인구가 30% 증가할 것으로 보임.

○ 고학년 젊은이들이 직장을 그만두고 농사를 짓기 위해 시골로 돌아가는 것이 하나 의 트렌드로 자리 잡아 가고 있음.

- 미국 귀농인 연합에서 1,300명의 귀농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78%가 비 농촌 출신이었으며, 각박한 도시 생활에서 벗어나 마음의 위안을 얻고자하는 25~29세 가 주 층이었음.

○ 또 다른 미국 귀촌의 특성으로는 농촌에서 백인의 빈자리를 소수계(히스패닉 등)가 채우고 있으며 이민자들의 귀촌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음.

- 이민자들이 상대적으로 젊어 농촌 커뮤니티에 새로운 활력이 될 것으로 보임.

○ 농촌 지역이 속한 지형적 특성, 산업적 특성에 따라 인구 이동이 다르게 나타남.

- 농촌지역 삶의 혜택을 누리면서 도시 노동시장, 어메니티, 다양한 도시의 서비스 등을 향유할 수 있는 대도시 인근 농촌 지역이 귀촌 지역으로 선호됨. 기업 입장에 서도 이러한 지역은 땅값이 낮고 덜 붐비면서도 전문직, 생산성이 높은 노동인구 에 대한 접근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음.

- 매력적인 자연 경관, 온화한 기후, 근교 대도시권으로의 이동 편리성과 같은 특징 이 있는 지역에서 농촌 인구 증가가 나타났으며 인구 밀도가 낮고 농업에 의존하 는 대평원 지역에서는 인구 손실을 보였음.

- 농촌 노동인구 가운데 6.5% 미만의 인구만이 농업 종사하고 있으며, 농업이나 광 산업이 주요 경제 산업인 지역의 경우 천천히 인구 성장을 보이거나 인구 성장이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임. 이는 농촌에서 농업이나 광산업은 더 이상 고용이 나 새로운 일자리 창출 면에서 우세하지 않음을 반증. 반면, 1990년대에 다양한 제조 산업이 농촌에 유입되면서 해당 지역에서는 상당한 인구 증가가 나타났으며, 제조 기업들이 해외로 이동한 2000년대에는 순 인구이동 감소 추세를 보였음.

○ 레크리에이션 지역, 어메니티 지역, 은퇴 촌으로 구분되는 세 개 유형의 지역에서 인구 증가율이 두드러지며 사실상 이들 지역이 귀촌을 촉진하고 있음.

- 특히 레크리에이션 지역으로의 귀촌은 지역 주민들에게 건설업 노동자 수요 창출, 소매업과 서비스업 종사 인력 필요성 증대 등 지역 일자리 창출에 기여.

- 농촌지역에 고급 주택을 짓고 이주하거나 별장을 지어 주말에만 들리는 경우가 늘어남에 따라 귀촌이 지역의 주택가격 및 정책에 영향을 미치기도 함.

자료: 박성희(2012).

그림 4-2. 레크리에이션, 어메니티, 은퇴 촌의 인구 변화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