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현대 사회에서 신체활동의 부족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될 만큼, 좌식활동으로 인해 만성질환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사망자가 급증하고 있다. 신체활동은 상당한 건강상의 이득을 줄 뿐만 아니라 만성질환 질병 개선 및 삶의 질을 향상 시 키는 데 도움을 준다. 현대사회에 들어와 IoT(Internet of Things) 기술과 함께 신 체활동의 관련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출시되고 있으며, 신체활동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 할 수 있는 도구들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신체활동의 강도를 정확하게 분 류하는 검사 도구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체활동 의 보수량 추정을 위한 모바일 앱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최근 신체 활동량은 매우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 변인으로 측정되고, 이처럼 평소의 활동이 습관적인 건강의 증진을 위하여도 요구되는 최적의 운동량을 평가하는 정 확, 정밀한 수단이 강구된다(송윤미, 제갈윤석, 김원중 & 이대택, 2007; Strath et al., 2000).

1. 수동계수기와 모바일 앱의 상관관계

본 연구에서 직접 관찰된 신체 활동량(보수)과 모바일 앱의 보수를 비교해 볼 때, 92명의 대상자가 3번을 반복해서 걸은 총 276번의 보수량에 대한 실험 결과로는 수 동계수기와 모바일 앱은 평균적으로 7보 정도 모바일 앱이 과소평가되고 있는 것으 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신체활동의 증진적 측면에서는 과대 추정되는 것보 다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즉 모바일 앱의 보수가 실제 측정한 보수보다 높다면 자신이 설정한 목표에 빨리 도달하였다는 판단으로 인하여 신체 활동량이 목표 보 수량보다 낮을 수 있지만, 모바일 앱이 다소 과소 추정되면 실제보다는 보수가 더 필요하기 때문에 건강적 측면에서는 긍정적인 영향이 있다(이미영, 2012).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신체활동의 가속도는 크거나 작은 기준점으로 부터 신체 활동량을 측정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 방법은 나이, 신장과 체중으로 산출된 기초 대사량 추정값과 10 %의 총 에너지 소비량을 식사유발성 체열 생성으로 가정

하여 총 에너지 소비량을 산출한 값을 합산하여 추정하는 방법이다(Montoye,

연령대별로 분석한 결과에서는 20~29세의 대상자는 1차 측정과 2차 측정, 3차 측 정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보수량의 차이는 11~13보의 차이를 보였다. 30~39세 의 대상자에서도 1차 측정과 2차 측정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보수량의 차이는 10보 정도 차이가 있었다. 40~49세의 대상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 고, 보수량의 차이는 6~9보의 차이가 있었다. 50~55세의 대상자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보수량의 차이는 7~13보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Pearson의 상관관계 계수는 전체적으로 아주 높고 강한 수준의 양의 상 관성을 보였다. 상관관계가 높다는 것은 두 변수 사이에 연관성이 높다는 것을 의 미한다. 애플 스마트 폰에 대한 1차 측정과 삼성 스마트 폰에 대한 3차 측정에서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여줬고, 상대적으로 낮은 상관성은 엘지 스마트 폰에 대한 3 차 측정에서는 전반적으로 높은 상관성이 있었다.

2. 스마트 폰의 기종과 모델별 비교

제조사별 스마트 폰에서 모바일 앱의 보수량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삼성 스마 트 폰에서 1차 측정에서 2보, 2차 측정에서 1보, 3차 측정에서 3보로 측정된 보수량 이 차이가 가장 적었고, 애플 스마트 폰에서는 1차 측정에서 6보, 2차 측정에서 16 보, 3차 측정에서 6보로 분석되었고, 엘지 스마트 폰에서 측정된 보수 차이의 결과 는 1차 측정에서 22보, 2차 측정에서 15보, 3차 측정에서 17보가 차이가 있는 것으 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에서 이용되고 있는 모바일 앱은 자체 개발된 신체활동 도구를 이용하고 있으나 타 제조사 스마트 폰에서의 정확성은 알 수 없으므로 상당 한 측정 차이가 포함하고 있을 것으로 예측되고, 이러한 결과를 모바일 앱의 정확 성과 연결하여 해석하는 데는 무리가 있으리라 본다. 따라서 스마트 폰을 기반으로 하는 신체활동과 관련된 모바일 앱을 개발하는 연구자들은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전 에 검사 도구의 정확성을 검증한 후 자료를 하고 간단한 정확성 검증메뉴얼이 개발 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제한점이 있다. 먼저, 이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 은 55세 이하의 성인 남녀로서 청년기부터 장년기까지 포함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 다. 또한, 성별의 비율이 남성이 여성보다 높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성별과 연령 을 고려하여 연구대상의 안정된 사례 수가 포함되어야 할 것이며, 추후 연구에서는 보행 활동 강도와 성별, 연령대에 따른 차이의 원인을 찾는 노력이 기울여야 할 것 이며, 활동 강도의 추정시 발생 가능한 오차율이 계산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스마 트 폰을 사용한 기간과 관리에 따른 센서의 이상유무 및 노후상태가 측정에 적합한 기기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가 중요하다고 본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