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메타데이터

문서에서 외국도서관 정책자료 Ⅱ (페이지 63-89)

디지털 환경에서 가장 큰 도전과제 중 하나는 웹에서 이용할 수 있는 자원의 식 별이다. 검색이 가능한 기술(記述)메타데이터로 인해 디지털 콘텐츠가 발견되고 이 용될 수 있는 가능성도 증가하였다. 장서 수준 메타데이터는 이 문서의 컬렉션 부 분에 설명되었다(웹진 25호에 실린 컬렉션 원칙2를 참조하라). 이 부분은 개별적인 객체와 컬렉션 내 객체 세트의 기술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메타데이터는 발견, 기술, 이용, 관리, 보존의 목적을 위해 객체와 관련된 구조화 된 정보이다.

메타데이터 생산은 기관의 다양한 부서들이 책임을 공유해야 하는 점진적인 과 정이다. 다양한 사람들이 정보객체의 생애주기 중 다양한 단계에서 다양한 유형의 메타데이터를 추가한다. 예를 들면, 생산 단계에서 객체의 저자, 기타제작자, 출처, 이용대상에 관한 메타데이터는 원저자가 제공할 수 있다. 조직화 단계에서는 목록 자나 색인자가 주제, 출판이력, 접근권한에 관한 메타데이터를 등록할 수 있다. 접 근과 이용 단계에서는, 이용자가 리뷰, 주석 같은 평가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객 체가 이용되고 배포되기 전에 가능한 객체 내에 메타데이터를 내장하도록 디지털 객체의 생산자를 유도해야 한다. 정보 객체의 생애주기에 관해서는 게일 호지스 (Gail Hodges)의 논문, 바카(Baca)의 메타데이터 입문을 참조하라. 둘 다 아래에 나 오는 ‘메타데이터 논의에 관한 개론(General introductions to metadata issues)’에 인 용되었다.

일반적으로 메타데이터는 기본적인 세 종류로 구별된다. 기술(記述) 메타데이터 는 이용자들이 객체 및 객체 그룹 중에서 구별한 한 객체를 찾고 획득하며, 그 내 용을 알 수 있도록 도와준다. 관리 메타데이터는 파일 관리, 권한관리, 보존과 같 은 목적을 위해 장서관리자가 객체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돕는다. 구조 메타데이터는 객체 간의 관계를 문서화하고 이용자가 단행본의 페이지와 장(章)과 같이 복합객체를 탐색할 수 있도록 돕는다.

디지털 컬렉션을 구축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조직이 소장한 자원에 대한 접근 을 늘리는 것이다. 광범위하게 접근 가능한 기술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은 현 재 이용자의 접근을 극대화시키고, 새로운 이용자층을 끌어들인다. 메타데이터 기 반의 접근 도구 사례에는 도서관 목록, 기록물 검색도구, 박물관 인벤토리 제어 시스템, 구글과 같은 검색 유틸리티가 포함된다.

수년간 다양한 메타데이터 스키마가 다양한 유형의 객체를 기술하기 위해 개발

되었다. 이렇게 다양한 스키마 내에는 상호운용성을 지원하는 어느 정도의 일관성 이 있다. 예를 들면, 대부분의 스키마는 생산자 혹은 기타 제작자 이름, 날짜, 표 제, 식별자 등을 제공한다. 문화유산 기관은 자신들의 분야에서 수용하고 있는 메 타데이터 표준을 연구할 때, 상호운용성을 최대한 보장하기 위해, 초기부터 메타 데이터의 이행에 있어 상호운용성 문제를 고려하기를 원하였다(메타데이터 원칙2 와 객체 원칙3을 참조하라). 기관은 어떤 메타데이터 스키마와 정보 프로토콜이 자신들의 컬렉션에 가장 잘 맞는지 신중하게 고려해야만 한다. 기관들은 어떤 통 제어휘와 시소러스를 활용하고, 어떤 데이터 내용 표준이 컬렉션 내 객체에 가장 적합한지도 역시 신중하게 생각해야 한다. 영미목록규칙(Anglo-American Cataloging Rules: AACR)과 같이 오랜 기간을 통해 확립된 목록지침이 있고, 현재는 새롭게 떠오르는 DACS(Describing Archives: A Content Standard), CCO(Cataloging Cultural Objects), RDA(Resource Description and Access)가 있다. 기관이 따르기로 선택한 목 록 표준과 그 목록 표준의 수정 및 조합은 최종 이용자가 잘 접근할 있도록 하고, 집합 컬렉션 내에서 이행되고 공유가능한 메타데이터 레코드를 생성할 수 있는 중요 요인이다. 메타데이터 원칙1의 표에 있는 ‘이용지침(Guidelines for Use)’을 참조 하라.

다음 표는 메타데이터 입문(Introduction to Metadata, 2008년 개정판)에 실린 앤 길리랜드(Anne Gilliland)의 평론에서 나온 것으로 데이터 표준의 유형과 함께 작용 하는 사례를 설명한다.

데이터 표준의 유형 예

데이터 구조 표준(메타데이터 요소 세트, 스키마). 이는 레코드나 기타 정보객체를 구성하는 데이터의 ‘범 주’ 또는 ‘컨테이너’이다.

set of MARC(Machine-Readable Cataloging format) fields Encoded Archival Description(EAD)

Dublin Core Metadata Element Set(DCMES) Categories for the Description of Works of

Library of Congress Subject Headings(LCSH) Library of Congress Name Authority File(LCNAF) LC Thesaurus for Graphic Materials(TGM)

Medical Subject Headings(MeSH) Art & Architecture Thesaurus(AAT) Union List of Artist Names(ULAN)

Getty Thesaurus of Geographic Names(TGN) ICONCLASS

Describing Archives: A Content Standard(DACS) 데이터 형식/기술교환표준(기계가독

어떠한 메타데이터 표준을 채택할 것인가와 어느 계층까지 기술할 것인가에 대 한 결정은 컬렉션을 개발하는 조직의 목적, 이용 가능한 인적, 기술적 자원, 이용 자 및 의도된 이용, 특정한 연구 및 지식 영역 내에서 수용한 접근 방안 등과 같 은 상황을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고려해야만 하는 질문 사항은 다음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디지털 컬렉션의 목적은 무엇인가?

이 컬렉션을 구축하는 목표는 무엇인가?

대상 이용자는 누구인가? 그들이 필요로 하는 정보는 무엇이며, 그들의 전형 적인 정보추구행동은 무엇인가?

자료는 장서 수준으로 접근하는가? 아니면 개별적인 아이템 수준으로 접근하 는가? 혹은 둘 다 접근하는가?

객체의 복합적인 버전이나 구현형은 서로 간에 구별될 필요가 있는가?

디지털 컬렉션이 구축되기 전에 컬렉션과 장서는 메타데이터를 가질 것인가?

관련된 주제 학문 분야는 무엇인가? 이 학문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메타데이터 표준은 무엇인가?

이 영역에서 조직들이 이용하는 메타데이터 표준은 무엇인가? 어떤 메타데이 터 표준이 이러한 특정 컬렉션에 가장 적합한가?

얼마나 상세하게 기술할 것인가?

메타데이터는 계층적 관계를 전달할 필요가 있는가?

기관은 컬렉션의 성격에 따라, 단일 메타데이터 스키마가 기관의 모든 요구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만 한다. 따라서 메타데이터 스키마의 적절 한 조합은 이러한 문제에 대해 가장 우수한 해결책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공통의 출처를 가진 기록물 장서에 대해서는 장서 수준의 스키마인 EAD를 이용하고, 아 이템 계층에 대해서는 MODS, VRA Core 4.0, CDWA Lite, 기타 적절한 스키마를 사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컬렉션에 대해 특정한, 발간된 통제 어휘를 심사숙고 하여 선정하는 것은 선정된 스키마의 핵심 접근 요소에 있는 데이터 값으로 적용 되어야만 한다.

메타데이터 원칙1 : 우수한 메타데이터는 컬렉션 내의 자료들, 컬렉션의 이

용자들, 컬렉션의 현재와 미래의 이용에 적합한 방식으로 공동체 표준(community standards)을 따른다.

메타데이터 원칙2 : 우수한 메타데이터는 상호운용성을 지원한다.

메타데이터 원칙3 : 우수한 메타데이터는 객체를 기술하고 관련된 객체를 연 결하기 위해 전거제어와 내용 표준을 사용한다.

메타데이터 원칙4 : 우수한 메타데이터는 디지털 객체의 이용 조건과 기간에 대한 명확한 설명을 포함한다.

메타데이터 원칙5 : 우수한 메타데이터는 컬렉션 내 객체의 장기적인 제공과 보존을 지원한다.

메타데이터 원칙6 : 우수한 메타데이터 레코드는 그 자체가 객체이므로 우수 한 객체의 질적 특성인 권위성, 진본성, 보존성, 영속성, 유일식별성 등을 포 함해야만 한다.

메타데이터 원칙1

메타데이터 원칙1 : 우수한 메타데이터는 컬렉션 내의 자료들, 컬렉션의 이용자 들, 컬렉션의 현재와 미래의 이용에 적합한 방식으로 집단 표준(community standards)을 따른다.

독점적 혹은 지역적인 메타데이터 스키마를 이용하는 것보다는 잘 알려진 공동 체 메타데이터 표준을 따르거나 적어도 그에 따라 매핑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그 러나 단순히 특정한 메타데이터 스키마를 고려했다고 해서, 표준이 반드시 모든 컬렉션에 적합하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EAD(Encoded Archival Description)는 공통의 출처를 가진 완전한 기록물 장서를 기술하는 안정적인 표준 이지만, 서로 다른 출처의 객체로 구성된 혼합적인 문화유산컬렉션을 기술하는 최 상의 스키마는 아니다.

메타데이터 전략을 실행하는 제일 첫 단계 중 하나는 컬렉션에 가장 적절한 메 타데이터 표준 또는 세트 표준을 분석하고 식별하는 것이다. 특정 공동체와 자료 유형을 위해 개발된 메타데이터 스키마, 통제어휘, 시소러스는 조심스럽게 연구되 고 분석되어야 하며, 가장 적절한 것이 선정되고 이행되어야 한다.

디지털 객체를 위해 이용할 수 있는, 출판된 다양한 메타데이터가 있다. ‘모든 사서들을 위한 메타데이터 기초’(Metadata Fundamentals for All Librarians, P.

Caplan, 2003, 아래를 참조하라)라는 책은 교육기관, 과학기관, 문화기관이 이용하

는 15가지 이상의 스키마를 설명한다. 많은 경우에, 특정한 컬렉션의 자료에 적용

다음은 많은 문화유산기관이 이용하는 메타데이터 스키마를 선정한 것이다

<주: 표4는 메타데이터 원칙의 끝 부분에 제공>

메타데이터 논의에 대한 입문서는 다음과 같다.

편집인 마사 바카, 메타데이터입문:디지털 정보로 가는 길(버전 2.1은 온라인 이용 가능, 버전 3.0은 2008년 공개)

(Murtha Baca, editor, Introducation to Metadata: Pathways to Digital Information) http://www.getty.edu/research/conducting_research/standards/intrometadata/

프리실라 카플란, 모든 사서들을 위한 메타데이터 원칙(시카고, ALA편집, 2003) (Priscilla Caplan, Metadata Fundamentals for All Librarians, Chicago:ALA Editions, 2003) 캐나다문화유산정보네트워크, 박물관 편목작성을 위한 메타데이터 표준

프리실라 카플란, 모든 사서들을 위한 메타데이터 원칙(시카고, ALA편집, 2003) (Priscilla Caplan, Metadata Fundamentals for All Librarians, Chicago:ALA Editions, 2003) 캐나다문화유산정보네트워크, 박물관 편목작성을 위한 메타데이터 표준

문서에서 외국도서관 정책자료 Ⅱ (페이지 63-89)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