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메가트렌드-기후변화 적응전략-지역자원 상호 관계성

본 장에서는 기후변화 적응전략 분석을 위하여 메가트렌드 분석, 문헌 연구를 통한 기후변화 적응 흐름 및 적응 전략 분석, 도출된 적응 전략의 현재/미래 관점의 중요도 분석 및 그룹 간 차이, 주성분 분석을 통한 그룹핑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메가트렌드와 기후변화 적응의 핵심 이슈와 전략은 많은 부분 직․간접적으로 연관관계를 갖기 때문에, 미래를 대비한 적응 전략으로서 활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문가 설문조사 시 전 략별 중요도 평가를 통하여 현재, 미래 관점에서 중요하게 부각되어야 할 핵심 전략 자체 를 파악한 것에서 나아가 기후변화 적응 관점에서 지역자원 관리 방향 설정을 위한 전략 적 틀을 도출하였다.

지역자원 관리 방향 설정을 위한 전략적 틀은 총 6가지 유형으로 ‘자원관리 및 경제적 수단 확보전략 ’, ‘지역단위 대응 강화 및 인식 제고 전략’, ‘최신기술 확보 및 적용 전략’,

‘사회/생태적 취약지역 보호 전략’, ‘위험(Risk) 관리 전략’, ‘기후스마트 개발(Climate Smart Development) 전략’으로 설명될 수 있다. 다음으로 기후변화 적응전략의 시기별 중요도 및 지역자원과의 관계성을 토대로, 단기적 측면에서 중요한 기후변화 적응전략은 그린/블루 인프라, 재난/재해 위험관리, 리스크 맵핑 및 토지이용 반영, 지속가능한 에너지 사용, 기후변화 영향 및 취약성 분석, 기후변화 적응의 지역계획 반영으로 나타났다. 적응을 고려한 지역자원 관리전략으로 중요도가 높게 나타난 항목은 그린/블루 인프라, 재난/재해 위험관리, 리스크 맵핑 및 토지이용 반영, 지역자원 생태계 서비스 정량화, 보호지역 및 주요 종 보호, 생태계 기반 적응대책, 거버넌스 및 주민참여, 인식증진, 지역지식/자원 및 최상기술 접목이다. 특히, ‘그린/블루 인프라’, ‘재난/재해 위험관리’, ‘리스크 맵핑 및 토지이용 반영’의 3개 항목은 단기적 기후변화 적응전략일 뿐만 아니라 적응을 고려한 자원관리방향으로서도 중요한 것으로 나타나, 이들은 기후변화 적응의 주류화 및 자원관리 측면에서 동반편익(co-benefit)을 기대할 수 있는 적응전략이라고 판단된다. 이러한 기후 변화 적응전략 혹은 적응을 고려한 지역자원 관리전략은 해당 지역의 기후변화 특성과 사회경제적 여건 및 변화방향에 따라 각기 다른 모습을 보이며 발전할 것으로 이해된다.

(단기) 기후변화 적응전략

주: 1) 요인분석 과정에서 공통성 추출 및 회전배열 과정에서 통계적 의미가 낮은 2개 전략은 제외.

-∣제3장 ․ 사례지역 지역자원 관리방향∣

자원(Resources)은 물질적 자원, 구조적 자원, 인적 자원 등 범위와 용어의 활용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지역의 기후변화 적응 역량 강화 방안으로써 지역자원 관리 및 활용을 논하기에 앞서 본 연구에서 뜻하는 자원의 개념 및 범위를 명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장에서는 기후변화 적응 관점에서 지역자원의 개념 및 유형을 정립하고, 앞 장에서 도출한 기후변화 적응의 핵심 이슈 및 전략과 연계하여 사례지역을 대상으로 한 지역자원 관리 방향을 설정하고자 한다.

1. 지역자원의 정의 및 유형

가. 선행 연구의 지역자원 정의 및 유형

자원(Resources)이란, 인간의 물질적․정신적 욕망을 만족시키고 인류의 사회생활을 유 지․향상시키기 위한 원천이며, 더 명료하게 설명하면, 재화로 변환 가능한 가치 있는 유무 형의 어떤 것을 일컫는다(Sheffrin, 2003; 장주연 외, 2015). 지역자원은 기존 자원의 개념에서 지역으로 공간 단위가 좁혀진 개념으로, 이왕건 외(2011)는 지역자원을 사업의 공간적 범위가 되는 특정지역이 가지고 있는 다양하고 포괄적인 유․무형의 자산으로 정의 한 바 있으며, 지역사회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는 것들이라고 제시한 바 있다. 자원의 이용에는 한계가 있다는 특성상,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여러 가지 다양한 방법들이 강구되어왔다.

자원의 개념 자체에서 파악할 수 있듯이, 자원의 범위가 유․무형을 모두 포함하는 광범 위한 개념이기 때문에 자원 유형의 범주는 넓은 스펙트럼으로 나타난다. Beckley et al.(2002)에서는 경제적 자산, 사회적 자산, 자연적 자산, 인적 자산으로 지역자원을 분류 하였으며, 대표적 예시로 학교, 병원, 교통, 교회, 사회적 네트워크, 야생동물, 수자원, 학 교, 리더십, 세금 수익 등을 제시하였다. Mendis et al.(2003)의 연구에서는 경제․물리적

자산, 사회․문화적 자산, 인적 자산, 생태적 자원으로, 장주연 외(2015)는 자연적, 구조적,

성을 증가시키는 요소 중 하나로, 자산(asset)에 대한 부족, 자원의 접근성 불충분 등을 제시함으로써, 기후변화 적응에 지역자원 활용 및 관리의 중요성을 반증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자원을 기후변화의 잠재적 피해를 줄이고 새로운 기회를 확보하기 위해 지역사회가 필요한 모든 요소로 조작적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기존 연구에서의 지역 자원 유형분류 체계를 수용하되, 기후변화에 영향을 받게 되는 지역자원과 이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도구로서의 자원을 구분하고자 한다. 이는 기후변화에 영향을 받는 대상 및 적 응에 기여하는 지역자원이 차이가 있다는 것과 지역자원 관리 체계를 명확히 구분하기 위함이다. 즉, 기후변화 영향 아래 직접적인 영향을 받게 되는 자산(asset)으로서의 지역 자원이 있을 것이며, 기후변화 적응 관점에서 대상 자원(asset)들을 우선 관리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또한 자원이 가지는 개념적 특성상, 지역자원(asset)의 관리 및 유지를 위한 지원 기능을 하는 관리도구의 설정도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지역자원 관리 의 의미는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핵심 지역자원의 자체적 관리 및 이를 보완하는 관리도 구의 관리까지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Mcknight and Kretzmann(1996)의 연구에서도 지역자원 관리의 체계적 접근을 위하여 핵심지역자원을 포함한 3단계로 지역자원을 구분 한 바 있다.

따라서 자산(asset)으로서의 지역자원은 기후변화에 1차적인 영향을 받는 물리적 자원 (자연생태적 자원, 경제・산업적 자원, 역사・문화적 자원)으로 설정하였고, 이들은 지역의 지속가능발전 및 기후변화 적응 관점에서 큰 기여를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이를 뒷받침하 는 관리 도구는 유․무형의 자원(resource)을 포괄하는 범주이며, 자연생태적, 구조적, 인 적・사회적, 경제적, 역사・문화적, 제도 및 시스템 관리도구로 분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초점은 기후변화 적응에 일조하는 대상이자 기후변화의 영향에 1차적인 영향을 받는 핵심 지역자원 선정 및 관리 도구를 활용한 체계적 관리 방향 설정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표 3-2> 본 연구에서의 지역자원 개념 및 유형

리 관점에서 기능하는 6가지 유형의 관리 도구들은 자연생태적 관리도구, 구조적 관리도 구, 역사․문화적 관리도구, 인적・사회적 관리도구, 경제적 관리도구, 제도 및 시스템 관리 도구로 체계화할 수 있다. 핵심 지역자원과 관리도구는 상호 연계되어 있으며, 핵심 지역 자원의 기능은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생태계 정화, 개발 완충, 경관 향상 및 생태계 보호가 주가 된다. 관리도구의 경우는 기후변화 적응의 직간접적인 영역까지 포괄하는 특징을 지닌다. 직간접적인 영역에 해당하는 범주는 보호 운동, 보호 구역, 행사, 거버넌스, 인센 티브, 규제, 조례, 예산 등의 사례가 될 수 있으며, 보호에 기여하는 시설 장비, 인적 자원, 개발 방지 등의 직접적 영향을 넘어 기후변화 인식, 교육 등의 간접적 영향까지 확장됨으 로써 핵심 지역자원 관리의 선순환 구조에 기여한다.

자료: 저자 작성.

<그림 3-2> 지역자원 유형 : 지역자원(asset)과 관리도구로서의 자원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