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맺음말 - 앞으로의 연구 전망

석영과 규암 등 석영계 석기는 우리나라 구석기의 전시대를 통해 끊임없이 이용되어 양적으로 풍부하지만, 이에 비해 쓴자국 분석을 통한 석기 기능 연구는 아직 본격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물론 석영계 석기의 쓴자국 분석이 플린트 등 다른 돌감에 비해 관찰 이 어렵긴 하지만, 체계적인 실험과 여러 방법들을 보완 적용해 분석이 가능하다면 석영 계 석기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우리나라 구석기 시기의 연구에 있어 석기 기술의 진 화와 선사인들의 삶과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본고에서는 한국 석영계 석기 쓴자국 분석의 1차적 단계로서 작업재료에 따른 쓴자 국 특징을 확인하는 실험과 함께 현재 연구 중인 김포 풍곡동 유적의 석영계 석기 일 부에 대한 쓴자국 분석을 시도하였다. 비록 많지 않은 실험이었지만 뼈, 뿔, 나무,

<그림 13> SEM을 이용한 실험 석기의 성분분석

가죽, 고기 등 작업재료에 따른 쓴자국의 특징과 차이를 실험석기를 통해 살펴볼 수 있었다. 그리고 실험석기에서 처럼 선명하고 명확한 흔적이 관찰되는 경우는 많지 않았지만 금속현미경을 통한 실제 유물의 쓴자국 분석에서도 긍정적인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물론 석영계 돌감의 특성상 자체 빛의 투과, 반사, 유리광택, 지방광택, 표면의 굴곡 등의 단점 때문에 쓴자국 관찰시 초점을 맞추는 문제와 사진촬영의 어려움이 있다. 따 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금속 현미경을 이용한 석영계 석기의 분석 결과를 보 완하기 위해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CLSM)과 전자주사현미경(SEM)을 이용해 일부 석기의 분석을 시도하였다. 공초점 레이저 주사현미경의 경우 석영 석기의 표면의 굴곡 과 빛의 투과할 수 없는 크기로 인해 관찰에 큰 장점이 없었다. 그러나 시료 표면을 코팅 하지 않고 관찰한 SEM의 분석 결과 금속 현미경이 가지는 분석 한계의 보완과 잔존물 분석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앞으로 SEM을 보다 적극 활용하고, 이번에 시도하지는 않 았지만 원자현미경과 같은 다양한 현미경을 이용하여 상호 교차분석을 시도한다면 석 영계 석기에 있어 좀 더 명확한 미세 흔적의 관찰과 분석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또한 광학 거칠기 측정기(optical rugosimetry)와 광학 간섭기(optical interferometer), 레이저 단면 측정기(laser profilometry) 등을 이용해서 작업재료들의 단단하기와 거칠기에 따른 석기 표면의 거칠기와 변화과정을 관찰하는 방법(Anderson, et al. 1998; Astruc, et al.

2003; Stemp and Stemp 2001)도 함께 이루진다면 보다 과학적인 쓴자국 분석 결과를 도 출해 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도 한국 석영계 석기의 쓴자국 연구를 위해서는 다양한 실험을 통해 자료들 이 확보되어야 한다. 쓴자국은 각 유적에 따라 다양한 양상을 띠고 형성되기 때문에 이 를 해석하기 위한 여러 변이들이 통제된 실험 자료들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실험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실제 고고학 자료와 비 교할 수 있는 자료들을 축적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더 나아가 실험 자료와 실제 유물 에서 관찰되는 흔적의 해석에 있어 흔적의 특징의 이해와 관찰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블라인드 테스트(blind test)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석영계 석기에 대한 쓴자국 분석을 통한 석기 기능에 대한 다양한 자료가 축 적된다면 유적의 기능 연구와 더불어 공간분석, 뼈도구연구, 식물고고학, 동물고고학, 환경고고학 등 다른 선사 고고학 분야와 상호보완적으로 연구를 함으로써 선사 집단의

기술체계 내 석기와 여러 기술경제적 행위들과의 유기적 관계를 복원하려는 방향으로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논문접수일(2011.12.7) ▶심사완료일(2012.2.14) ▶게재확정일(2012.3.14)

감사의 글

-석기 실험에 도움을 주신 연세대학교 박물관 최삼용 선생님과 한국교통대학교 박성진 선생님, 전자 주사 현미경 관찰에 도움을 주신 칼 짜이쯔 최영환 님과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소 강태희 님,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 관찰에 도움을 주신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기초센터 임자윤 님, 그리고 무엇보다도 본 연구를 할 수 있도록 김포 풍곡리 유물 관찰을 허락해 주시고 지원해 주신 (재)겨레문화유산연구원의 신창수 원장님, 김기태 실장님, 김영준 팀장님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 참 고 문 헌 ]

김경진, 2009,「프랑스 막달레니앙시기 석기 기능 연구 -라 쉐르아깔벵 3 유물층 석기의 사용흔 분석을 통해-」, 『한국구석기학보』20, 43-82, 한국구석기학회.

---, 2010, 「석기 사용흔 분석과 기능 연구」, 『한강고고』4, 75-111, 한강문화재연구원.

김경진·서인선, 2010, 「프랑스 베르브리 유적 뚜르개 및 부리형 석기의 기술 -기능적 연구-」, 『한국구석기학보』22, 35-66, 한국구석기학회.

김성욱, 2008,「사용흔 분석을 통한 신석기 시대 수확구 시론」, 『신석기연구』16, 35-61, 한국신석기학회.

박성진·김경진·김영준·김우락, 2011,「김포 풍곡리 구석기유적」, 『제11회 한국구석기 학회 정기학술대회 발표집』, 53-65, 한국구석기학회.@@

박창현·염미정·엄창섭, 2003, 「돋보기에서 FE까지 현미경의 변천사 -생명과학적 관점 에서-」, 『한국전자현미경학회지』33(2), 93-104, 한국전자현미경학회.

손준호, 2003,「반월형석도의 제작 및 사용방법 연구」, 『호서고고학보』8, 79-96, 호서고고 학회.

손준호·조진호, 2006, 「고배율 현미경을 이용한 반월형석도의 사용흔 분석」, 『야외고고 학』창간호, 1-31,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손준호·上條信彦, 2011, 「청동기시대 갈돌 갈판의 사용흔 및 잔존 녹말 분석」, 『중앙고고 연구』9, 1-48, 중앙문화재연구원.

유용욱, 2003, 「석영계 석기의 재고찰 : 평창리 유적의 예」, 『전곡리 유적의 지질학적 형성 과정과 동아시아 구석기』, 55-87, 연천군·한양대학교문화재연구소.

윤지연, 2007, 「사용흔 분석을 통한 석부의 기능 연구 -중서부 지역 신석기시대~청동기시 대 전기 석부를 중심으로-」, 『한국고고학보』63, 4-33,@ 한국고고학회.

이기길, 1988, 「구석기시대의 석기에서 관찰된 쓴자국의 연구 -전곡리와 수양개 유적의 유물을 중심으로-」, 『고문화』32, 3-103, 한국대학박물관협회.

이융조·윤용현, 1994, 「한국 좀돌날몸돌의 연구」, 『선사문화』2, 134-229, 충북대학교선 사문화연구소.

최복규·최삼용·최승엽, 2001, 「철원 장흥리 후기구석기시대 유적 연구」, 『한국구석기 학보』3, 1-23, 한국구석기학회.

최삼용, 2007, 「동해 망상동 기곡 유적 석기에서 관찰된 미세흔적의 성격」, 『한국구석기 학보』16, 47-62, 한국구석기학회.

홍미영·Kononenko, 2005, 「남양주 호평동 유적의 흑요석제 석기와 그 사용」, 『한국구석

Anderson-Gerfaud P., 1981, Contribution methodologique l'analyse des microtraces d'utilisation sur les outils prehistoriques: These, Universite de Bordeaux.

Astruc L., 2002, L’outillag lithique taille de Khirokitia ; analyse fonctionnellee and spatiale, Paris: CNRS.

Astruc L., R. Vargiolu, and H. Zahouani, 2003, Wear assessments of prehistoric instruments, Wear 255: 341-347.

Ballin T.B., 2008, Quartz Technology in Scottish Prehistory, Scottish Archaeological Internet Reports 26, 1-101, SAIR.

Barber R.J., 1981, Quartz Technology in Prehistoric New England, Cambridge: Institute for Conservation Archaeology, Peabody Museum, Harvard.

Baker C.M., 1983, Some technological considerations of quartz as a raw material for flaked stone implements: experiments and applications, Marquardt W.H.(ed) Proceedings of the Thirtythird Southeastern Archaeological Conference, 5-6, Gainesville: Florida State Museum.

Bisson M.S., 1990, Lithic reduction sequences as an aid to the analysis of late stone Age quartz assemblages from the Luano Spring, Chingola, Zambia, The African Archaeological Review 8: 103-138.

Bordes F., 1947, Etude comparative des diffeerentes techniques de taille du silex et des roches dures, L'Anthropologie 51(1-2): 1-29.

Broadbent N., 1973, Prehistoric quartz quarrying in Norrland ; A preliminary report of finds at Gummark in Vasterbotten and some observations concerning quartz technology, Fornvannen 3: 129-137.

Chelidonio G., 1990, Preliminary approach to quartz crystals technology and its meaning as

“environmental translation”, In Le Silex de sa genese a l'outil. t. 2 : Actes du Colloque International sur le silex(Bordeaux, 1987), 489-494.

` `

Derndarsky M. and G. Ocklind, 2001, Some preliminary observations on subsurface damage on experimental and archaeological quartz tools using CLSM and dye,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28(11): 1149-1158.

Driscoll K., 2010, Understanding quartz technology in early prehistoric Ireland, School of Archaeology, Unpublished PhD thesis, University College Dublin.

Dubreuil L., 2002, Etude fonctionnelle des outils de broyage natoufiens : nouvelles perspectives sur l’emergence de l’agriculture au Proche-Orien, these, univ. de Bordeaux.

Evans A.A. and R.E. Donahue, 2005, The elemental chemistry of microwear traces: an experiment,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32(12): 1733-1740.

Fullagar R.B. et al., 1992, Residue analysis of ethnographic plant-working and other tools from northern Australia, In: Prehistoire de l'agriculture : nouvelles approches experimentales and ethnographiques, Anderson-Gerfaud P.(dir.). Monographie du CRA, CNRS: 39-53.

Faulks N.R., 2011, Nanotechnology learning modules and Atomic Force Microscopy of neanderthal stone tools, thesis, Appalachian State University.

Foucault A. and J.F. Raoult, 1992, Dictionnaire de geologie, Paris: Masson.

Hamon C., 2006, Broyage et abrasion au Nolithique ancien : caracterisation technique et fonctionnelle des outillages en gres du Bassin parisien, Oxford:

Archaeopress.

Keeley L.H., 1980, Experimental Determination of Stone Tool Uses,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Kimball L.R., J.F. Kimball and P.E. Allen, 1995, Microwear polishes as viewed through the atomic force microscope, Lithic Technology 20(1): 6-28.

Knutsson K., 1988, Making and Using Stone Tools: The Analysis of the Lithic Assemblages from Middle Neolithic Sites with Flint in V stebotten, Northern Sweden. Uppsala:

Societas Archaeologica Uppsaliensis.

Lombard M., 2005, Evidence of hunting and hafting during the Middle Stone Age at Sibidu Cave, KwaZulu-Natal, South Africa: a multianalytical approach, Journal of Human Evolution 48: 279-300.

Mery S. et al., A pottery workshop with flint tools on blades knapped with copper at Nausharo, Indus civilisation, ca. 2500 BC,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34(7): 1098-1116.

a..

Milleville A., 2007, De la pierre a la meule Durant le neolithique circulation et gestion des matieres premieres entre Rhin et Rhone, these, Univ. de France-Comte.

Mourre V., 1996, Industries en quartz : precisions terminologiques, dans les domaines de la petrographie et de la technologie, Table ronde sur l’exploitation du quartz au Paleolithique, Prehistoire et Anthropologie mediterraneennes, 6, Aix-en-Provence:

universite de Provence, 201-210.

Plisson H., 2000, Le quartz, pour quel usage? L'outillage mesolithique de Vionnaz(CH) and l'apport de la traceologie, Cahiers d'Archeologie romande 81: 65-77.

Rankama T., 2003, Quartz analyses of Stone Age house sites in Tervola, southern Finnish Lapland.

In C. Samuelsson & N. Ytterberg (eds.), Uniting Sea. Occasional Papers In Archaeology 33: 204-224, Uppsala University, Department of Archaeology and Ancient History.

Semenov S., 1964, Prehistoric Technology, London: Cory, Adams & Mackay.

Seong C., 2004, Quartzite and Vein Quartz as Lithic Raw Materials Reconsidered: A View from the Korean Paleolithic, Asian Perspectives 43(1): 73-91.

Siiriainen A., 1974, Quartz, chert and obsidian, A comparison of raw materials in a Late Stone Age aggregate in Kenya, Finskt Museum, 15-9.

Sternke F., L. Eigeland and L.J. Costa, 2009, Non-flint Raw Material Use in Prehistory: Old prejudices and new directions, Bar international serie 1939.

Sussman C., 1988, A Microscopic Ananlysis of Use-Wear and Polish Formation on Experimental Quartz tools, BAR International Series 395.

Tringham R., et al., 1974, Experimentation in the Formation of Edge Damage, A New Approach to Lithic Analysis, Journal of Field Archaeology 1: 171-196.

Vaughan P., 1985, Use-wearan alysis of flaked stone tools, Tucson: The Univ.of Arizona Press.

A Methodological Approach for the Usewear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