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매개효과 분석을 위한 추가분석

이하에서는 조직문화(가설7)과 조직학습(가설8)의 매개효과 분석을 위하여 추 가적인 분석을 시행하였다. PLS를 이용하여 대안모형을 분석하였는데 이는 MCS와 조직성과 간의 조직문화와 조직학습에 대한 각 변수별 세분화된 매개효

과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함이다. 대안모형을 통하여 매개변수가 추가됨에 따라

-84

-<표4-19>연구모형에대한대안모형측정 모형1모형2 (조직문화의매개효과)모형3 (조직학습의매개효과)모형4 (전체모형) 경로계수 t값유의수경로계수 t값유의수경로계수 t값유의수경로계수 t값유의수 CS->인지성과-0.0180.239 -0.0430.513 -0.0160.175 -0.0190.235  CS->재무0.6606.418***0.5645.411***0.4123.556***0.6596.686*** MCS->인지재무성과0.84416.441***0.74911.141***0.6785.903***0.84315.317*** MCS->인지성과-0.0710.702 -0.0450.356 -0.1721.501 -0.0710.712  MCS->유연성가치0.0070.048 0.0080.059  MCS->통제가치0.3742.790***0.3742.751*** MCS->유연성가치0.4643.822***0.4643.715*** MCS->통제가치0.0260.201 0.0270.208  ->인지성과0.2002.687***0.2002.599*** ->재무-0.0720.601 -0.0700.584  ->인지재무0.0620.866 0.0610.878  ->인지재무성과0.2552.762***0.2552.710*** MCS->단일0.5054.317***0.5044.177*** MCS->0.0100.083 0.0100.084  MCS->단일-0.0930.839 -0.0940.846  MCS->0.7288.559***0.7288.046*** ->인지재무-0.0080.113 0.0020.033  ->인지재무성과0.4865.328***0.4624.956*** ->인지재무      0.2271.847 0.1721.273  ->인지재무성과      0.2011.948 0.2792.659*** ->단일-0.1070.757  ->0.2682.371** ->단일0.0180.172  ->0.0210.262 

제 5장 결 론 제 1절 연구결과의 요약

대기업중심의 MCS의 활용은 기존 연구에서 많이 수행되어 왔다. 그러나 KOSDAQ 기업은 국내총생산에서 약 8.8% 수준으로 그 규모가 상당한 수준을 차지하고 있지만 국내연구에서는 아직까지는 KOSDAQ 기업에 대한 MCS의 구 축 및 KOSDAQ 기업이 이를 어떻게 운영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제대로 진행되 지 않았다. 최근 기업의 시장환경은 불확실성과 고도화 되고 있으며, 이에 기업 들은 장기적 경쟁력을 창출하고 성장 및 존속하기 위해 정교한 MCS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MCS 활용을 위한 구축과 더불어 MCS와 조직성과 간에 조직문화와 조직학습의 역할에 대해서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본 연 구에서는 급변하는 경영환경에서 조직문화의 형성에 관심을 가지고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대기업과 달리 KOSDAQ 기업은 아직 조직문화가 형성되기 전이며 KOSDAQ 기업의 외적 환경 변화에 따라 조직문화와 연계한 조직학습을 통하여 인적자원을 기업이 원하는 방향으로 이끌어 갈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설정한 가설들은 MCS 활용에 따른 조직문화와의 관 계(H1), MCS 활용과 조직학습 간의관계(H2), MCS 활용에 따른 조직성과 간의 관계(H3), 조직문화와 조직학습 간의 관계(H4), 조직문화 조직성과 간의 관계 (H5), 조직학습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H6), 추가적으로 MCS와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서 조직문화와 조직학습의 매개효과 분석(H7, H8)을 검증하였으며, 가설 검증에 대한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 사용하고 있는 연구변수인 MCS, 조직문화, 조직학습, 조직성과에 있어서 첫째, MCS와 조직문화의 관계에 대한 가설 1에서는 관료적 MCS의 활용 과 통제가치 조직문화와 비관료적 MCS의 활용과 유연성가치 조직문화와의 관계 에서는 정의 유의적인 관계가 나타났다. 그 반대인 경우에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 나지 않았으며, 가설 1은 지지되었다. 둘째, MCS와 조직학습 간의 관계에 대한 가설 2에서는 관료적 MCS의 활용과 단일고리학습과 비관료적 MCS의 활용과

이중고리학습과의 관계에서는 정의 유의적인 관계가 나타났다. 그 반대인 경우에 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가설 2은 지지되었다. 셋째, 조직문화와 조 직학습의 관계에 대한 가설3에서는 통제가치 조직문화와 단일고리학습과 유연성 가치 조직문화와 이중고리학습과의 관계에서는 정의 유의적인 관계가 나타났다.

그 반대인 경우에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가설 3은 지지되었다. 넷 째, 조직문화와 조직학습의 관계에 대한 가설4에서는 유연성가치 조직문화와 이 중고리학습 간의 관계에서만 정의 유의적인 관계가 나타났다. 나머지의 경우에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가설 4는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다섯째, 조 직문화와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 대한 가설 5에서는 통제가치 조직문화와 인지 재무성과 간의 관계와 유연성가치 조직문화와 인지 비재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정의 유의적인 관계가 나타났다. 그 반대인 경우에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나지 않 았으며 가설 5는 지지되었다 여섯째, 조직학습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 대한 가 설 6에서는 단일고리학습과 인지 재무성과 간의 관계와 이중고리학습과 인지 재 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정의 유의적인 관계가 나타났다. 가설과 다르게 이중고리 학습이 인지 비재무성과와 아닌 인지 재무성과와 정의 유의적인 관계가 나타났 다. 가설7과 가설8을 검증한 결과 관료적 MCS와 인지 재무성과간의 관계에서 통제가치 조직문화의 부분 매개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관료적 MCS와 인지 비재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유연성가치 조직문화의 부분 매개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료적 MCS와 인지 재무성과간의 관계에서 단 일고리학습이 부분 매개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비관료적 MCS와 인지 비재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이중고리학습은 매개효과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 로 나타났다. 오히려 비관료적 MCS와 인지 재무성과간의 관계에서 이중고리학 습이 완전 매개효과가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을 요약하면 유형별 MCS, 조직문화, 조직학습 및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서 가설과 일치하였다. 그러나 각 변수들 간의 관계에서 통제가치 조직문화와 단일 고리학습과의 관계와 이중고리학습과 인지 비재무성과 간의 관계에서만 가설이 기각되었으며, 비관료적 MCS와 인지 비재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이중고리학습의 매개효과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고리학습이 인지 비재무성과가 아닌 인지 재무성과와의 관계에서 정의 유의적인 관계가 나타났다.

추가분석 네 가지 모형으로 구분하여 분석을 하였다. 네 가지 모형을 살펴보면 MCS의 활용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인 기본모형과 기본모형에 조직학습을 매개변 수로 추가한 모형, 기본모형에 조직학습을 매개변수로 추가한 모형 및 기본모형 에 조직문화와 조직학습을 매개변수로 추가한 모형이다. PLS를 이용한 대안모형 분석 결과 비관료적 MCS와 인지 비재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유연성가치 조직문 화와 연계된 이중고리학습이 필요하며, AMOS를 이용한 모델적합도 분석 결과 MCS와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서 조직문화와 조직학습을 매개변수로 하였을 때 모형에 대한 설명력이 향상되었다. 따라서 가설7과 가설8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 다.

제 2절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

본 연구는 KOSDAQ 기업의 궁극적인 목표인 조직성과를 높이기 위해 기업의 MCS와 더불어 조직문화의 형성과 조직학습을 살펴보고자 했다. KOSDAQ 기업 에 대한 MCS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또한, 대기업과 달리 아직 조직문화가 형성되지 않은 KOSDAQ 기업의 조직문화와 조직학습의 매개효과 분석을 통하 여 조직성과 간의 관계를 실증 분석하였다. 즉, KOSDAQ 기업의 효율적 MCS를 구축하여 조직성과를 향상시키는데 있어 조직문화와 연계된 조직학습의 개발의 필요성에 관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MCS와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 있어 조직문화와 조직학습이 매개효과가 있으며, 기업이 조직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효율적 MCS의 구축뿐 아니라 조직문화와 연계한 조직학습을 통 해 조직성과가 극대화 될 수 있다. 또한, 관료적 MCS와 인지 재무성과 간의 관 계에 있어 통제가치 조직문화와 단일고리학습의 부분매개효과가 존재하여 비관 료적 MCS와 이중고리학습 간의 관계에 있어 유연성가치 조직문화가 부분매개효 과가 있다. 또한 비관료적 MCS와 인지 비재무성과 간의 관계에서도 유연성가치 조직문화가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조직문화에 대해 기업에 맞도록 재 설계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그동안 부각되지 못했던 MCS의 필터의 기능이다.

이러한 MCS의 기능으로 조직문화의 형성에 경영자의 관심을 가져함과 동시에

보다 조직성과를 창출하기 위해 효율적인 MCS의 구축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우선, 설문조사 연구로 실시하였다. 설문에 대한 신뢰성 및 타당성 그리고 최종적으로 목적적합성을 높이고자 인터넷 설문 조사 이외에 방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직접 방문을 통하여 KOSDAQ 기업의 MCS의 활용 및 기업의 조직문화, 조직학습 등을 이를 주도하는 경영층에게 설 문하였다. 그러나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에는 설문 조사 연구의 근본적인 한계 가 있다. 또한, MCS의 활용과 조직성과에 있어 다양한 변수에 대한 고찰이 필요 하다. 본 연구에서는 MCS, 조직문화, 조직학습과 조직성과에 대하여 살펴보았지 만, 이 외에도 조직몰입, 혁신전략 등 MCS와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 를 나타내는 변수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조직몰입과 혁 신전략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각 변수간의 효과분석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필 요성이 있다. 예를들면, 불확실성과 급변하는 상황에 처한 기업입장에서는 효율

본 연구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우선, 설문조사 연구로 실시하였다. 설문에 대한 신뢰성 및 타당성 그리고 최종적으로 목적적합성을 높이고자 인터넷 설문 조사 이외에 방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직접 방문을 통하여 KOSDAQ 기업의 MCS의 활용 및 기업의 조직문화, 조직학습 등을 이를 주도하는 경영층에게 설 문하였다. 그러나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에는 설문 조사 연구의 근본적인 한계 가 있다. 또한, MCS의 활용과 조직성과에 있어 다양한 변수에 대한 고찰이 필요 하다. 본 연구에서는 MCS, 조직문화, 조직학습과 조직성과에 대하여 살펴보았지 만, 이 외에도 조직몰입, 혁신전략 등 MCS와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 를 나타내는 변수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조직몰입과 혁 신전략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각 변수간의 효과분석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필 요성이 있다. 예를들면, 불확실성과 급변하는 상황에 처한 기업입장에서는 효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