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마인드셋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5-39)

다. 단체운동 종목에서도 마찬가지로 그릿이 경기력과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 향을 미치는 것을 검증하였으며, 개인운동 종목과 달리 사회적 지지와 경기력에 서만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앞서 살펴본 선행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높은 그릿 수준은 다양한 비인지 적 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다양한 변인 간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박나영(2021)의 연구에서 나타내듯, 개인종목과 단체종 목에 따라 그릿의 매개효과 결과의 차이점이 있다는 점은 본 연구에서도 통제적 코칭행동에 따른 경기력, 자율적지지 코칭행동에 따른 경기력 그리고 마인드셋에 따른 경기력의 인과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어, 개인 및 단체 운동 종목에 따라 흥미로운 결과가 나타날 것을 예상해 볼 수 있다.

된 행동을 보이지만, 후자는 실패를 경험하더라도 이를 발판삼아 극복하고 지속 적인 열정을 보인다(Dweck, 2006). 아래의 <표 1>은 고정 마인드셋과 성장 마 인드셋을 비교한 내용이다.

태도 고정마인드셋 성장마인드셋

도전 도전을 회피함 도전을 수용함

어려움 쉽게 포기하거나 방어적 자세를

취함 어려움에 처하더라도 포기하지

않음

노력 노력을 헛된 것으로 생각함 노력을 숙달의 과정으로 생각함

비판 도움이 되는 부정적 피드백을

무시함 성장과 배움의 기회로 받아들임

타인의

성공 타인의 성공을 위협으로 받아들임 타인의 성공을 통해 교훈을 얻음

결과 잠재력을 발휘하지 못함 높은 성취에 도달함

표 1. 고정 마인드셋과 성장 마인드셋 비교(Dweck, 2006)

이처럼 고정 마인드셋의 소유자는 사고와 행동을 초기정보의 기준으로 정한 뒤 그것에 고정되어 부적응적 동기를 유발하며(이정림, 2015), 사람의 특성과 성격은 고정되어 있다고 믿고 있어 실패에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오주원, 2019). 한편, 성장 마인드셋의 소유자는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없고, 과정에 목 적을 두며, 자신이 잘할 수 있는 정보를 얻으려 노력하며, 그러한 과정에서 즐거 움을 느끼며(McCutchen et al., 2016), 불가능해 보이는 상황에서도 연습과 노 력을 통해 자신의 능력이 발전하고 개선될 수 있다고 믿는다(오주원, 2019).

국내 스포츠 선행연구에서 고정 마인드셋이란 사람은 재능이나 지능을 변화할 수 없다고 믿고 자신의 성취나 성장에 있어 부정적인 행동을 하거나 방어적인 행동을 취하는 것을 뜻하며, 성장 마인드셋은 개인의 재능이나 지능은 노력으로 변화할 수 있다고 믿고 외부의 정보를 자신의 성취와 성장을 위한 발돋움으로 받아들이고 노력해 나아가는 개인의 신념이라고 설명하였다(홍승한, 2021).

즉, 마인드셋이란 운동선수가 훈련과정에서 한계의 상황에 직면하게 될 때, 좌

절할 수 있는 상황에서 자신의 능력 성장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서 신체적 한계 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목표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것이며, 이러한 믿음은 같은 상황에서 누군가는 도전 의식으로 어려움을 헤쳐 나아가지 이러한 새로운 과제에 대한 도전과 좌절의 차이는 바로 자신의 능력 성장에 대 한 믿음인 마인드셋으로 설명할 수 있다(김현주, 강상범, 김덕진 2018, 홍승한, 2021, 재인용).만, 누군가는 좌절하고 말 것이다(홍승한, 2021).

2. 마인드셋에 관한 선행연구

국외 마인드셋에 관한 선행연구는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져 왔는데, 마인드셋 에 관한 연구에서 마인드셋은 학생들의 학업성취와 연관된 동기를 예측하고 분 석하는 데 있어서 학생의 재능이나 지능보다도 마인드셋이 중요한 요인임을 주 장하였다(Sternberg, 2000). 마인드셋 유형에 따른 뇌 활성화 패턴을 분석한 결 과 학습자의 성장 마인드셋이 고정 마인드셋 보다 뇌가 더욱 많이 활성화되는 것을 확인하여 성장 마인드셋이 학습자의 동기와 수행에 많은 영향을 준다는 사 실을 검증했다(Mangels 등, 2006).

또한, 고정 마인드셋을 가진 사람은 특정 사실에 대한 초기정보는 동기의 준거 가 되어 이후의 정보해석과 행동범위에 영향을 미쳐 결과적으로 부적응적 동기 양식을 형성하게 되고, 성장 마인드셋을 가진 사람은 초기정보에 고착되지 않고, 추가정보를 활용하여 초기정보 개선을 통해 성취에 도움이 되는 적응적인 동기 양식을 형성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Vandewalle, 2012). 학생들의 학업 측면과 운동 측면에서 마인드셋을 비교한 Atwood(2010)를 통해서는 마인드셋 이 학업적 능력 성장에 대한 가능성보다는 운동능력에 대한 성장 가능성의 믿음 이 더 높게 나타났다고 평가하였다(김길식, 2021).

마인드셋이 강할수록 그릿이 향상되며, 그릿이 향상될수록 마인드셋이 강화되 어 상호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Dweck, 2006).

국내 마인드셋에 관한 이수경(2016)의 연구에서는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성장

마인드셋은 회복탄력성과 그릿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있으며, 반대로 고정 마인드셋은 회복탄력성과 그릿에 부적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국내 스포츠 분야에서는 대학 운동선수들의 성장 마인드셋이 그릿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신준하, 2019). 또한, 원영식(2018)의 연구에서는 성장 마인드셋과 고정 마인드셋 각각의 독립적인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둘로 구분하 여 살펴본 결과, 성장 마인드셋은 회복탄력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고정 마 인드셋은 회복탄력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하였다.

야구선수들의 마인드셋과 그릿 및 운동지속의도의 구조적 관계(양찬일, 2020) 에 대하여 선행된 연구에서도 마찬가지로 성장 마인드셋은 그릿과 운동지속의도 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으며, 반대로 고정 마인드셋은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보 고하였다. 장지현(2021)의 연구에서도 학생 선수들을 대상으로 마인드셋이 운동 몰입과 운동지속에 정정인 영향을 끼치며, 성장 마인드셋과 고정 마인드셋의 영 향력을 비교한 결과, 운동몰입과 운동지속 각각 성장 마인드셋의 영향력이 더 높 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인드셋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연구에서 성장 마인드셋 은 다양한 요인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고정 마인드셋은 부적(-)으로 영향을 끼치거나, 긍정적 영향이 있더라도 성장 마인드셋 보다 낮은 영향력이 있었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본 연구에서도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에 있어 마인드셋의 조절효과를 살펴본다면 성장 마인드셋은 긍정적 으로 작용하고, 반대로 고정 마인드셋은 부정적인 영향이 나타날 것으로 예측해 볼 수 있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5-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