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경기력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9-43)

위 내용을 종합해보면, 이러한 경기력에는 신체적, 유전적, 훈련량, 훈련 기간, 체력, 경험, 심리상태 등 많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이 같은 내·외적 요 인 모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경기력 향상은 다차원적이고 복 합적인 노력이 동반되어 상승할 수 있다(박나영, 2021). 운동선수들은 그 종목 의 경기력을 결정하는 요인을 파악하고 분석해야 할 것이며, 이러한 요인들의 우 선순위에 따라 경험과 관찰을 통하여 실력향상을 위해 도모해야 할 것이다(김훈 종, 2011).

2. 경기력에 관한 선행연구

대부분의 경기력에 관한 연구에서 경기력은 종속변수로서 어떠한 변인이 경기 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도 경기력은 종속변수로서 통제적 코칭행동과 경기력의 관계, 자율적지지 코칭행동과 경기력의 관계, 마인 드셋과 경기력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며, 이러한 구조적 관계를 밝히는 과정에 서 각 변인 간 그릿의 매개역할을 검증하고자 한다.

경기력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김주영(2015)은 태권도 선수들을 대상으 로 심리적 기술이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는데, 심상조절, 불 안, 코치신뢰, 투지와 도전, 각성조절 요인이 경기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으며, 선수들의 성공적인 경기력 발휘를 기대하기 위해서 부정적인 요소를 최소화하여 심리적 기술 안정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다각적인 측면에서 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고 언급하였다. 또한, 코칭행동과 경기력의 관계에서 심 리적 기술의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 통제적 코칭행동과 경기력은 부분 매개효 과를 가지며, 자율적지지 코칭행동과 경기력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효과를 갖는다 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경기가 시작해 완전히 종료될 때까지 코치가 근접한 위치 에 있어 선수와의 상호작용이 매우 중요한 태권도 경기현장에서 긍정적인 심리 적 기술과 경기력 향상을 위해서는 통제적 코칭행동보다 자율적지지 코칭행동이 전제되어야 할 것을 강조하였다.

배상운(2015)은 아이스하키 지도자의 설명지도, 피드백, 관리지도가 지도자에 대한 신뢰와 인지된 경기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지도자에 대한 신뢰와 인지 된 경기력은 결국 구전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밝혔다.

코칭행동과 경기력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고등학교 태권도 겨루기 선수가 지각하는 통제적 코칭행동과 경기력의 관계에 대하여 정광채(2020)의 연구에서 통제적 코칭행동이 경기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태 권도선수를 대상으로 선행된 이경현, 강현우(2019)의 연구에서는 지도자의 자율 적지지와 그릿이 선수들의 경기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자율적지지 코칭행 동과 경기력의 관계에서 그릿이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황재욱, 권승민(2019)은 대학 축구선수들이 지각한 자율적지지 코칭행동과 인지된 경기 력의 관계에서는 정적인 영향이 나타났으며, 통제적 코칭행동과 인지된 경기력은 부적인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그릿과 경기력의 관계를 밝힌 장유진(2020)의 연구에서는 그릿의 하위요인인 관심의 지속성과 노력의 꾸준함 모두 경기력의 하위요인인 자신감, 정신력, 집중 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기력 향상을 위해 그릿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하였다. 또한, 윤찬수(2019)는 대학 학생선수의 투지(Grit)가 높을수록 자신의 인지된 경기력 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평가하였다.

박나영(2021)은 개인운동 및 단체운동 선수들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부모 지지, 지도자 지지, 친구 지지)와 그릿, 경기력, 학업성취와의 관계에 대하여 살 펴보았는데, 개인운동 종목에서는 사회적 지지(부모 지지, 지도자 지지)가 부분 적으로 경기력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며, 그릿이 경기력에 유의한 정적 영향 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단체운동 종목에서는 개인 종목과 달리 사회적 지지에 서 지도자 지지, 친구 지지가 경기력에 유의한 영향을 끼친다고 밝혔으며, 그릿 또한 경기력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끼친다고 발표하였다.

정신력과 경기력에 관한 선행연구에서 정천모(2017)는 레슬링 선수를 대상으 로 자기관리행동과 스포츠 정신력이 경쟁불안과 인지된 경기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였으며, 이한성, 김상국(2018)은 청소년 골프선수의 정신 력이 인지된 경기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자기조절과 주도적 관여는 정신력 을 매개로 경기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경기력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종합해보면, 심리적 기술, 지도자의 설명지도, 피드백, 관리지도, 그릿, 자기관리행동, 스포츠 정신력, 투지, 사회적 지지 등이 경기력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통제적 코칭행동은 경기력에 부적(-) 영향 을 미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들의 결과로 미루어 보면, 본 연구에 서도 통제적 코칭행동이 경기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 예측할 수 있으며, 통제적 코칭행동을 제외한 다양한 변인이 경기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III. 연구 방법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9-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