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마을에 대한 평가와 요인

3.1. 지도자에 대한 평가

자신 이외에 마을에서 공식적인 직책을 수행하는 지도자에 대한 평가를 보면, 많은 사람이 응답을 주저한 가운데 대체로 긍정적으로 응답하고 있다. 부녀회장이 긍정적인 평가를 가장 많이 받고 있어서

“아주 잘 한다”와 “잘 한다”의 두 범주를 합하여 64.6%의 지지를 받 고 있으며, 개발위원장은 40.2%로 긍정적 평가가 가장 적다. 부정적 인 응답률(“잘 못한다”와 “아주 잘못한다”)이 가장 많은 지도자는 새 마을지도자로서 14.7%이며, 가장 적은 지도자는 이․통장이 5.7%이 다(<그림 4-5>).

이와 같이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하는 것은 마을 안에 함께 거 주하는 사람에 대한 평가라는 점에서 어느 정도 편향된 응답을 보였 다는 점을 간과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는 아직 우리나라 농촌사회에서는 내부적 계층분화에도 불구하고 서로에 대한 신뢰와 기대가 높다는 점을 보여 준다.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비율은 가장 많은 것이 새마을지도자에 대한 평가로서 15%를 넘지 않고 있다.

3.2. 마을에 대한 평가

가. 마을 발전․소득수준

여기서는 응답자들이 마을의 전체적인 발전 수준과 소득수준에 대 하여 어떻게 평가하는지를 질문하고 그 이유에 대하여 응답한 내용

1 7 .5

다음은 다른 마을에 비하여 마을의 소득수준이 어느 정도나 된다

즉, 마을 발전․소득수준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평가한 사람들은

긍정적 평가의 이유로는 70.7%가 주민의식이 높다는 점을 들고 있

요약하자면, 마을 발전을 위한 잠재력이라고 할 수 있는 주민 협

발전․소득 수준

주민의식 협동심, 단체활동

그림 4-6. 긍정적 평가에 대한 이유

발전․소득 수준

협동심, 단체활동 주민의식

마을입지조건 그림 4-7. 부정적 평가에 대한 이유

3.3. 지도자가 갖추어야 할 자질, 신뢰여부

마을의 발전을 주도하는 지도자가 갖추어야 할 가장 중요한 것을 질문한 결과, ‘학식’(0.7%)이나 ‘경제력’(1.9%)과 같은 개인의 사회경 제적 배경을 든 응답자는 거의 없었다(<그림 4-8>). 대다수(64.9%)는

‘마을주민과의 인간관계’를 꼽았고 ‘적극적인 대외활동력’(24.9%)도 상당수였다. 즉, 지도자의 자질로는 마을 안팎에서의 사회적 관계가 가장 중요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러한 응답 내용은 응답자의 교육과 소득수준별로 통계적으로 의 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는데 그 결과는 <표 4-9>, <표 4-10>과 같다.

대체로 학력이 높아질수록, 소득수준이 높아질수록 적극적인 대외활 동력이 중요하다는 경향을 보이고는 있지만 아주 뚜렷한 경향은 아

기타 7.5%

학식 0.7%

마을주민과의 인간관계

64.9%

적극적인 대 외 활동력

24.9%

경제력 1.9%

그림 4-8. 지도자가 갖추어야 할 자질

니다. 연령별 차이는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부표 11> 참조).

학식 경제력 마을주민과

한편 마을 안에 믿고 따를 수 있는 지도자가 있다고 믿는 사람

있다 없다 모르겠다 계

대하여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응답자들의 경우에는 믿고 따를 수 있 는 지도자가 없다는 응답의 비율이 앞의 <표 4-11>에서 나타난 전체 평균치(25.8%)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다(최소 39.0%, 최대 69.8%). 이 는 부정적으로 평가를 하는 경우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마을의 입지여건이나 주민의식의 부족 등을 일차적인 이유로 들고 있지만, 이와 더불어 마을 안에 믿고 따를 수 있는 지도자의 부재에 대하여 서도 우려하고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