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3.1 병렬포트 역사

1981년에 IBM사가 PC를 발표하면서 당시 고속인 dot matrix 프린터를 사용하기 위해서 저속인 시리얼(Serial) 포트의 대안으로서 패러렐 포트가 나왔다. 패러렐 포트는 한번에 1bit 씩 전송하는 시리얼 포트에 비해 동시 에 8bit를 전송할 수 있어 처음에는 dot Matrix 프린터에만 사용되었으나 점차 기술이 발전되어 감에 따라 고성능 주변기기를 연결하여 사용하게 되었다. 그러나 PC의 성능은 급속도로 발전되어 문제점들이 발생하였다.

즉, 전송속도가 최대 150KB/s로 느리고, 전기적인 접속에 정해진 규격이 없어 여러 장비들간에 호환성이 없고, 외부 케이블의 연결이 최대 6피트 로 제한되었다.

1991년에 프린터 제조업자들이 모여 NPA(Network Printing Alliance) 를 구성하여 IEEE에 고속 양방향 연결 규격을 만들기 위한 위원회 구성 을 제안하였다. 이 위원회가 IEEE 1284 위원회로서 1994 3월에 최종판 (Standard Signaling Method for Bi-directional Parallel Peripheral Interface for Personal Computers)이 결정되었다[12].

3.2 병렬포트란?

총25핀으로서 17개의 신호와 8개의 접지선(GND)으로 되었으며, 신호선 은 Control 4선, Status 5선, Data 8선이다. 맨 처음에 만들어 질 때에는 Control선은 PC에서 프린터로 접속과 handshaking 신호이고, Status선은 프린터의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이고, data 선은 PC에서 프린터로 데이터 를 보내는 선이었다. 패러렐 포트가 PC의 I/O에 mapping이 되어 있는데, 이 LPT 포트의 주소는 3BCh, 378h, 278h로 시작된다. 처음에는 3개의 register로 되었으나 1284규격에서 378h와 278h는 8-16개의 register를 사 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응용 분야는 가격이 싸면서 비교적 빠른 전송 속도로 PC외부에 각종 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므로 프린터 외에도 응용 분야는 매우 다양하다. 특히 PC 케이스를 열지 않고서 주변기기를 연결

하므로 사용하기가 매우 편리하면서 어떠한 PC라도 기본적으로 패러렐 포트가 표준으로 1개 이상 장착되어 있다.

저장장치(하드디스크, CD-ROM, CD-RW, DVD, LS-120, ZIP 드라이브, MO 드라이브), 스캐너, PCMCIA Card, Compact Flash Card, Multimedia Card Reader, 프린터, MP3 Player, 디지털 카메라, A/D Converter, Data Acquisition Device 등에 사용되는 컴퓨터에 있어서 기본적인 입출력(I/O)

[그림 3.3.1] 25-way Female D-Type Connector

위의 [그림 3.3.1]과 같이 PC의 병렬포트에는 12 개의 digital outputs와 5 digital inputs가 있는데 이들은 I/O space에서 3 개의 연속적인 8-bit port로 읽고 쓸 수 있다. DATA port로 쓰는 8 output pins, STATUS port로 읽어드리는 5 input pins (one inverted), CONTROL port로 쓰는 4 output pins (three inverted), GROUND된 나머지 8 pins 등으로 구성 되어 있다[14].

[그림 3.3.2] Parallel Printer Adapter (IBM PC/AT) Block Diagram

3.3.2 &H378D을 기준으로 한 각각의 I/O ADDRESS

[표 3.3.2] &H378D를 기준으로 한 각각의 I/O ADDRESS

어드레스 기 능

&H378 PD0에서 PD7까지의 데이터 비트를 출력하는 어드레스

&H37A -STROBE,-AUTOFD,-INIT,-SLCTIN 등의 신호를 출력하는 어드레스

&H379 -ACK, BUSY, PE, SLCT,-ERROR신호의 상태를 얻는 어드레스

3.4 병렬포트의 기본 제어

3.4.1 &H378D를 기준으로 한 각각의 I/O ADDRESS Control

[표 3.3.2]를 기준으로 만약 데이터 비트 PD0에서 PD7을 병렬포트로 출 력하고 싶을 때를 BASIC프로그램에서 구현(具現)하여 보면 OUT

&H378,FFH라고 하면 된다. 앞의 프로그램은 &H378 I/O ADDRESS에 FFH을 출력하는 것으로 이 경우 병렬포트의 PD0에서 PD7의 출력 전압 은 +5V가 된다. 또한, 모두 0V로 출력할 경우에는 OUT &H378,00H 일 때에는 병렬포트의 PD0에서 PD7의 출력 전압은 0V가 된다.

그리고 가장 오른쪽에 있는 비트를 LSB(Least Significant Bit), 가장 왼쪽의 비트를 MSB(Most Significant Bit) 라고 하며 오른쪽에서 왼쪽으 로 가면서 차례로 번호가 매겨져 있다. 그리고 각 비트들은 고유의 값을 가지고 있는데, 이 값은 그 비트의 자릿수의 값이다.

이 내용을 도표로 정리하여 보면 아래와 같다[16].

[표 3.3.3] &H378D를 기준으로 한 각 비트들은 고유의 값 비트번호 MSB

BIT 7 BIT 6 BIT 5 BIT 4 BIT 3 BIT 2 BIT 1 LSB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