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라종민(국민대학교) 김재철(한남대학교)

문서에서 제6회 한국복지패널 학술대회 (페이지 43-47)

본 연구에서는 한국복지패널(Korean Welfare Panel Study: KOWEPS)의 1~7차 자료 중 1, 4, 7년 도 자료만을 사용하여 국어성취도 변화를 잠재성장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국어성취 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본 연구에서는 ‘학교생활’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1, 4, 7차 년도자료에는 1차 표본의 학생들이 759명, 4차 609명, 7차 521명으로 나타났으나 결측값 을 고려하여 최종 472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어성취도의 평 균은 1차, 4차, 7차년도로 갈수록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학교생활변수는 초기값에는 정적관계를 나타내고 있으나 기울기에는 부적관계를 보이고 있어 학년에 따라 학교생활변수가 다르게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I. 이론적 배경

공공기관의 책문성이 강화되어지고 있는데 이는 교육의 공급자인 학교가 학생들의 지적, 정의 적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생각할 수 있다 (이병기, 2012).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 치는 중요한 변수로는 학생들의 사회심리적 학교활동, 아동의 심리상태(자아존중감, 우울 및 불 안, 주의집중, 위축, 비행, 공격성) 그리고 사교육을 들 수 있다. 한국사회에 학업성취에 대한 중 요성 때문에 사교육의 수요는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왔으며, 실효성과 공과에 대한 논의는 사회문 제가 될 정도로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상경아·백순근, 2005).

학업성취에 여향을 미치는 것으로 공부활동 또한 빼놓을 수 없다. 학생들이 학교 수업을 떠나 학습자로써 스스로 학습과제나 문제해결을 위해 학교나 가정, 도서관 등에서 여러 가지 자원을 활용하여 행해지는 모든 활동을 포함하는 활동을 말한다. 자기주도 학습활동은 학교수업참여보다 학업성취에 덜 효과적이나 사교육 시간보다는 효과적 이라고 언급하고 있다(조혜영·이경상, 2005).

수업태도는 학생들이 수업에 임하는 태도를 의미하며 학생들의 어떠한 태도를 가지고 수업에 참여하느냐에 따라 학업성취도가 달라질 수 있다. 수업은 목적 달성을 위해 계획될 수 있지만,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학생의 적극적인 개입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조혜영·이경상 (2005)의 연구에 따르면 각 과목별 학교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가 사교육 시간과 공부보다 학

제6회 한국복지패널 학술대회

업성취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이렇듯 인지적 학업성치 뿐만 아니라 학습에 대한 동기와, 긍정적인 자아개념, 교과목에 대한 흥미와 같은 정의적 성취도 학생들의 학업성취에 영 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곽수란, 2006; 황정규, 1988).

아동의 성취도를 특정 시점의 대하여 일회성으로 평가하면 특정시점에 대한 학생들의 성취도 에 대하여 단편적 정보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아동의의 성취도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떠한 변화를 보이고 어떠한 요인들이 아동의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유용한 정보 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시간의 따른 아동들의 개인의 성장에 대한 이해와 아동들의 성장에 영 향을 미치는 외부요소들의 효과를 설명할 수 있는 통계적 검증 모델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I. 연구방법

1. 표본자료 및 분석프로그램

이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아동 1차, 4차, 7차 자료를 사용하였다. 1차 표본의 학생들은 759명, 4 차 609명, 7차 521명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1차, 4차, 7차의 자료 중 결측값 (missing value)을 listwise로 제거한 후 487명의 국어성적성취도 자료를 사용하였다. 하지만 국어 성취도를 설명하기 위한 변수로 학교생활을 포함한 후 결측값을 고려한 최종 표본의 수는 472명 이다.

2. 분석변수

본 연구의 ‘학교생활의 즐거움’, ‘배우고 있는 과목에 대한 선호도’, ‘선생님을 존경함’, ‘수업태 도’, ‘숙제를 해가는 정도’, ‘선생님 지시를 따르는 정도’, ‘학교를 그만두고 싶을 때’, ‘친구의 답안 지를 본적이 있는 정도’, ‘허락없이 교실에서 나간 정도’등의 문제로 측정된 학생의 학교생활 양 식을 외성변수로 고려하였다. 학생들은 위에서 언급한 문제에 대하여 1-4까지 스스로 응답하는 방식을 취했으며 학생들의 국어성적은 표준화된 시험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측 정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 스스로 자신들의 성적을 표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3. 분석모형

한국복지패널 1, 4, 7차년도의 국어성적성취도에 관하여 국어성취도가 선형적으로 변화하는 것 으로 가정하여 분석하였다. 따라서 초기값을 모두 1로 고정하였고, 변화율에서 나가는 화살표는 측정간격이 동일하여 변화율의 요인계수를 0, 1, 2로 코딩하였다 [그림 1].

32

-라종민, 김재철 / 잠재성장모델을 이용한 국어성취도 변화 탐구

변수 최소값 최대값 평균 표준편차 왜도 첨도

국어성적 1 1 5 3.60 0.92 -0.18 -0.37

국어성적 4 1 5 3.38 0.94 -0.32 -0.10

국어성적 7 1 5 3.23 0.95 -0.12 -0.33

학교생활 1 16 36 29.11 3.63 0.02 0.70

학교생활 4 11 30 21.94 2.58 -0.65 1.23

학교생활 7 12 36 28.32 3.43 -0.17 1.41

[그림 1] 잠재성장모형

III. 연구 결과

1. 기술통계

<표 1>은 본 연구에서 사용된 변수들의 기술통계를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술통계를 통해 잠재성장모델에 가정을 하고 있는 다변량 정규성을 검사하려는 시도를 하였다. 개별 변수의 정규 성은 왜도와 첨도를 사용하여 검사하였는데 검사기준은 Kline (2005)이 제시한 기준(왜도의 절댓 값 3보다 작아야 하며 첨도는 절댓값 8~10보다 작아야함)과 (Lei & Lomax, 2005)이 제시한 보수 적인 접근방법(왜도와 첨도의 절대값 기준을 2 또는 3으로 보는 관점)을 사용하였다. 이들 기준 에 의거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한 개별변수가 정규성을 다른다고 가정을 할 수 있다. <표 1>은 국어성적은 초기 3.60을 시작으로 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적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 다. 하지만 학생생활의 평균은 1차년도에 비해 4차년도가 다소 떨어졌다가 7차년도에 다시 상승 한 것을 알 수 있다.

<표 1> 개별변수 기술통계량

제6회 한국복지패널 학술대회

적합지수 기준 값 적합도 지수 결과

P> .05 12.07 부적합

df 4

RMSEA .08 .06 적합

CFI .90 .98 적합

/df 1 ~ 5 3.02 적합

<표 2>는 구조방정식을 실시하기 전 하위관찰변수들에 대한 다중공선성을 점검하기 위하여 상 관관계 분석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표 2>에서 보여주듯이 모든 상관관계값이 .80이하로 나타나 다중공선성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든 관찰변수는 서로 간에 정적 관계를 보이고 있다. 특이한 점은 초기 국어성적 1과 학교생활 1의 상관관계가 이후 발생하는 다른 형태의 상관 관계보다 높다는 것이다.

<표 2> 개별변수 기술통계량

국어성적 1 ① 1.00

국어성적 4 ② .40** 1.00

국어성적 7 ③ .26** .38** 1.00

학습생활 1 ④ .44** .28** .19** 1.00

학교생활 4 ⑤ .21** .26** .12** .21** 1.00

학교생활 7 ⑥ .19** .22** .33** .25** .27** 1.00

* p < .05, ** p < .01

2. 잠재성장 모형

<표 3>은 본 연구에서 제시한 잠재성장모형의 적합도는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모형의 간명성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비교부합지수(Comparative Fit Index: CFI), 비표준부합지수 (Tucker-Lewis Index: TLI), 기초부합지수(Goodness of Fit Index: GFI), 근사원소평균자승오차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 RMSEA), 표준부합지수(Normed Fit Index: NFI)를 사용하여 측정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CFI, TLI, GFI, NFI는 .90이상 RMSEA는 .05이하이면 좋은 적합도, .08이하이면 괜찮은 적합도, .10이하이면 보통적합도, .10이상이면 나쁜 적합도로 평 가한다 (Bentler & Bonett, 1980; Hu & Bentler 1999; MacCallum, Browne, & Sugawara, 1996).

<표 3> 잠재성장모형 적합도 지수

<표 4>는 잠재성장모형에 사용되었던 변수들의 효과크기를 제시해주고 있다. 초기값과 기울기 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생활’은 초기값에는 정적관계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학교생

34

-라종민, 김재철 / 잠재성장모델을 이용한 국어성취도 변화 탐구

문서에서 제6회 한국복지패널 학술대회 (페이지 4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