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전체 100 6.2 3.0 1.5 1.6

농림수산 - 100 49.2 24.1 26.6

2. 동티모르

동티모르의 농업·농촌 경쟁력 부문에서는 총 분석결과는 24위인 최하위로 평가되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구매력 평가 기준 1인 당 국민소득을 제외하고, 모든 부문에서 경쟁력이 낮은 것으로 평가 되었다. 그 중에서도 물적요인의 농업생산성 부문 중 축산생산지수, 인프라, 관련 산업 부문과 인적요인의 전문가, 정치가 및 행정관료 부문이 매우 낮은 순위로 나타났다.

가. KOICA 지원 사업

최근 5년간 동티모르에 지원된 금액은 총 1,871만 2천 달러이며, 그 중 농림수산부문에 지원된 금액은 115만 2천 달러인 6.2%로 드 러났다. 지원 형태는 NGO 지원 56만 7천 달러(49.2%), 해외봉사단 30만 7천 달러(26.6%), 연수생초청 27만 8천 달러(24.1%) 순으로 나 타났다.

<표 4-13> 동티모르 농림수산부문 5년간 지원 현황(20082012)

자료: 한국국제협력단 통계자료(stat.koica.go.kr)를 토대로 연구자 재구성

주: 환율 변동으로 아래 세부 금액과 약간의 차이가 존재함. 천단위에서 반올림한 값임.

인도네시아와는 대조적으로 프로젝트 사업 형태보다 NGO 지원과 연 수생초청, 해외봉사단 형태로 지원된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NGO 지원 사업은 축산부문 29만 7천 달러(1.6%), 농업관련 기자재 10 만 4천 달러(0.6%), 농촌개발 6만 4천 달러(0.3%), 경제작물·수출작물 4 만 5천 달러(0.2%), 농업개발 4만 1천 달러(0.2%), 식량생산 1만 6천 달 러(0.1%)로 총지원액 56만 7천 달러이며, 동티모르 전체 지원규모의 3.0%에 해당되는 규모다.

<표 4-14> 동티모르 해외봉사단 지원 현황(2008∼2012)

원조목적코드명 지원액

(천 달러)

비율(%)

전체 농림수산

농업연구 20 0.1 1.7

농업개발 32 0.2 2.8

농업관련교육·훈련 20 0.1 1.7

농업정책 및 행정관리 53 0.3 4.6

농업협동조합 74 0.4 6.4

농촌개발 107 0.6 9.3

합계 307 1.6 26.6

자료: 한국국제협력단 통계자료(stat.koica.go.kr)를 토대로 연구자 재구성 주: NGO부문(해외봉사단 NGO부문 제외)은 공통경비 포함된 금액임.

천단위에서 반올림한 값임.

원조목적코드명 확인이 어려운 연수생초청 부문을 제외하고, NGO 지원과 해외봉사단 사업은 농업생산성 부문에 식량생산과 축산부문 이 1.7%인 31만 3천 달러로 지원되었고, 관련 산업 부문은 경제작 물·수출작물, 농업개발, 농업협동조합, 농촌개발로 1.9%인 36만 3천 달러로 지원되었다. 그리고 정치가 및 행정관료는 농업정책 및 행정 관리로 0.3%인 5만 3천 달러 지원되었다. 반면, 인프라와 전문가 부 문의 지원은 확인되지 않았다.

구분 전체지원 농림수산·

농촌개발 농업 임업 어업 농촌개발 지원금액

(백만 달러) 1,122.9 97.7 65.7 3.9 1.5 26.5 비

율 (%)

전체 100 8.7 5.9 0.3 0.1 2.4 농림수산 - 100 67.3 4.0 1.6 27.1

원조목적코드명 지원액

(백만 달러)

비율(%)

전체 농림수산

311: III.1.a. 농업 65.7 5.9 67.3 31110: 농업정책 및 행정관리 11.3 1.0 11.5

31120: 농업개발 33.9 3.0 34.7

나. OECD DAC 회원국 지원 사업

최근 5년간 동티모르에 지원된 총 원조금액은 11억 2,290만 달러이 며, 그 중 농림수산부문에 지원된 금액은 8.7%인 9,770만 달러로 나 타났다. 지원 분야는 농업 5.9%(6,570만 달러), 농촌개발 2.4%(2,650 만 달러), 임업 0.3%(390만 달러), 어업 0.1%(150만 달러) 순으로 나 타났다.

<표 4-15> 동티모르 OECD DAC 회원국 무상원조 지원금액(20082012)

자료: OECD DAC 통계자료(http://stats.oecd.org/)를 토대로 연구자 재구성, 최종확인일: 2015.06.30

원조목적코드에 따라 살펴보면, 농업개발 분야 3,390만 달러로 전 체 비율 3.0%, 농촌개발 2.4%인 2,650만 달러, 농업정책 및 행정관 리 1.0%인 1,130만 달러, 농업수자원 0.7%인 770만 달러, 식량생산 0.5%인 520만 달러의 순으로 지원되었다.

<표 4-16> 동티모르 OECD DAC 회원국 농림수산부문 지원금액(20082012)

31130: 농지개발 1.7 0.2 1.7

31140: 농업수자원 7.7 0.7 7.9

31150: 농업자재 0.1 0.0 0.1

31161: 식량생산 5.2 0.5 5.3

31162: 공업작물·수출작물 2.1 0.2 2.1

31163: 축산 0.3 0.0 0.3

31165: 대체농업개발 0.1 0.0 0.1

31181: 농업교육·훈련 0.3 0.0 0.3

31182: 농업연구 1.8 0.2 1.9

31191: 농업서비스 0.4 0.0 0.4

31192: 작물보호·수확후 관리·해충관리 0.2 0.0 0.2

31194: 농업협동조합 0.1 0.0 0.1

31195: 축산진료 0.6 0.1 0.6

312: III.1.b. 임업 3.9 0.3 4.0 31210: 임업정책 및 행정관리 3.9 0.3 4.0 313: III.1.c. 어업 1.5 0.1 1.6 31310: 어업정책 및 행정관리 0.7 0.1 0.7

31320: 어업개발 0.9 0.1 0.9

43040: 농촌개발 26.5 2.4 27.1

자료: OECD DAC 통계자료(http://stats.oecd.org/)를 토대로 연구자 재구성, 최종확인일: 2015.06.30

농업생산성 부문은 식량생산 520만 달러, 축산 30만 달러, 작물보 호·수확후 관리·해충관리 20만 달러로 총 0.5% 비율로 지원되었다.

그리고 인프라 부문은 농업개발 3,390만 달러, 농지개발 170만 달러, 농업수자원 770만 달러로 총 3.9%로 생산성 부문에 비해 높은 비율 로 지원되었다. 관련 산업 부문은 공업작물·수출작물 210만 달러, 대 체농업개발 10만 달러, 농업협동조합 10만 달러로 총 0.2% 비율로 지원되었다. 그리고 정치가 및 행정관료 부문에 대해서는 농업·임 업·어업 각 분야에 농업정책 및 행정관리 부문이 1,590만 달러로 총 규모의 1.4%에 해당된다.

위 결과를 종합하여 본 결과, KOICA의 농림수산부문 지원 비율은 6.2%이며, OECD DAC 회원국 지원 비율인 8.7%에 비해서는 다소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KOICA에서는 농업생산성 1.7%, 관련 산업 1.9%, 정치가 및 행정관료 부문은 0.3%로 지원되었고, 인프라와 전 문가 부문은 지원되지 않았다. 반면, OECD DAC의 지원 분야는 인 프라 3.9%, 정치가 및 행정관료 1.4%, 농업생산성 0.5%, 관련 산업 0.2%로 지원되었다.

구분 전체지원 농림수산 프로젝트 연수생초청 지원금액

(천 달러) 18,041 2,197 1,064 1,133 비율

(%)

전체 100 12.2 5.9 6.3

농림수산 - 100 48.4 51.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