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동적 국토모니터링 리포트 시범구축

(2) 데이터분석기획

□ 데이터분석시나리오작성

∙ 스토리맵 형태로 인구정보와 건물정보를 활용하여 쇠퇴지역을 진단하고, 해당 지역과 도시재생뉴딜 시범사업 지구를 함께 조회할 수 있도록 설계(그림 3-8)

그림 3-8 | 인구와 건물로 보는 쇠퇴지역 진단 분석 시나리오 기획

출처: 저자 작성

□ 노후화 및쇠퇴지역 진단을 위해 사용되는지표에는 고령화 지수(고령 인구비율 등), 노후건물비율등이있음24)

∙ 고령인구비율과노후건물비율은노후·쇠퇴지역을판단할수있는1차적 지표

∙ 주민등록인구통계, 건축물 통계 등의 공공 데이터 활용하여 관련 지표를 산출

□ 쇠퇴지역의 진단을 위해 500m×500m 격자 단위의 인구 관련 지표와 건물 노후 관련지표를선정

∙ 인구 쇠퇴를 진단하기 위한 통계 지표로서 고령인구 비율과 인구 변화율을 사용

24) 김감영·박지혜(2012), 조용호·류연택(2017)

∙ 건물 노후를 진단하기 위한 통계 지표로서 노후 건축물 비율과 격자 내 평균 건물 면적을 사용

※ 인구 통계는 행정안전부의 주민등록 인구통계 데이터(2015, 2017년)를 활용하여 공간데이터로 재가공하였으며, 건물 통계는 국토교통부 건축행정시스템(세움터)의 건축물 대장 데이터(2017년)를 활용하여 공간데이터로 재가공

(3) 데이터분석/시각화

□ 격자기반인구및건물통계

∙ 진단에 앞서 인구와 건물 통계를 격자 단위로 보여주기 위한 시각화 결과를 제시하여 기본 정보로서 파악할 수 있도록 함

- 데이터로 사실 확인을 하는 단계로서 간단한 시각화를 통한 전반적인 경향성 파악

∙[인구 통계] 인구구조(총인구 수, 연령대 구조 등), 고령인구 비율, 인구 변화율을 격자 단위 단계구분도로 표현(그림 3-9)

∙[건물 통계] 노후 건축물 비율, 평균 건물 면적, 주거용 건물 비율을 격자 단위의 단계구분도로 표현(그림 3-10)

인구구조(총 인구 수) 고령인구 비율 인구 변화율

그림 3-9 | 격자기반 인구 통계

출처: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자료 재가공 데이터를 바탕으로 저자 작성

노후 건축물 비율 평균 건물 면적 주거용 건물 비율 그림 3-10 | 격자기반 건물 통계

출처: 국토교통부 건축행정시스템 건축물 대장 정보의 재가공 데이터를 바탕으로 저자 작성

∙ 전국을 500m×500m 격자로 표현하여 전국적인 인구 및 건물 통계의 경향성 파악이 가능하며, 작은 공간 범위에 대한 데이터도 확인 가능

□ 데이터의공간적중첩을통한쇠퇴지역파악

∙ 인구 및 건물 통계에 쇠퇴에 대한 조건을 부여하여 모든 조건을 만족하는 쇠퇴 지역 추출

∙ 탐색된 쇠퇴지역은 격자 단위의 작은 공간 범위에 대한 쇠퇴 정도를 보여주는 참고 데이터로 제시

- 데이터로 표현된 결과는 어디까지나 수치적인 사실만 보여주는 것으로써, 공간적 단위의 차이, 원 데이터 상에서의 오류 등으로 인해 오차가 나타날 수 있음

- 쇠퇴지역 탐색 결과의 1차적 해석은 해당 지역의 쇠퇴 정도가 높을 수 있다는 정보를 제시하는 정도로 최소화하며, 정책스토리 메이킹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 정확한 쇠퇴지역의 판단을 위해서는 현장조사, 문헌조사, 다분야의 전문가 자문 등 다양한 검증 과정이 동반되어야 함

① 인구쇠퇴지역의진단

∙ 전국403,213개격자중인구쇠퇴지역으로나타난격자는63,066개로전체의약15%

∙ 인구 쇠퇴지역은 수도권 일부 도시(안양, 성남, 용인 등)를 제외하면 전국적으로 고르게 분포

∙ 우리나라가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으며, 출산율 감소 등으로 인한 인구 정체 상태를 겪고 있음을 나타냄

인구 쇠퇴지역(전국) 인구 쇠퇴지역(영남권)

그림 3-11 | 인구 쇠퇴지역 진단 결과

출처: 저자 작성

② 건물노후지역의진단

□ 노후건축물비율, 평균건물면적등을활용하여건물노후지역을진단

∙ 건물이 지어진지 오래된 지역일수록 환경이 악화되는 경향을 보임

∙ 거주 환경이 취약한 저층 단독주택 밀집 지역을 파악하는 데에 있어 참조 통계 로서 격자 공간 단위 내 평균 건물 면적을 활용 가능

∙ 낡고 좁은 건물이 많은 지역을 탐색하여‘건물 노후지역’으로 진단

□ 노후 건축물은 지역의 쇠퇴 정도를 판단하는 가장 가시적인 속성으로, 노후 건축물

건물 노후지역(전국) 건물 노후지역(영남권) 그림 3-12 | 건물 노후지역 진단 결과

출처: 저자 작성

③ 인구와건물로본쇠퇴지역의산출

□ 인구쇠퇴지역과건물노후지역을동시에만족하는격자를다시추출하여최종적으로 쇠퇴지역을진단(그림3-13)

∙ 전국 403,213개 격자 중 쇠퇴지역으로 나타난 격자는15,058개로 전체의 약 4% 정도

∙ 쇠퇴지역 격자의 분포는 크게 두 가지 패턴으로 나타남

- 첫 번째는, 도시 중심부 지역에 군집 형태

- 두 번째는, 촌락 지역에 산발적으로 나타나는 형태

그림 3-13 | 쇠퇴지역 진단 결과

출처: 저자 작성

□ 쇠퇴지역분석결과(그림3-14)

∙ 쇠퇴지역을 격자 내 인구 수 별로 나누어 보면, 100명 이상의 인구가 거주하는 격자는 쇠퇴지역 격자 중 약15%임

- 100명 이상의 인구가 거주하는 격자는 그림 3-10에서 볼 수 있듯 대부분 도시 중심 으로 군집되어 나타남

- 반대로 격자 내 인구가 적은 지역은 도시 외곽지역에서 군집성이 약하게 산발적으로 분포되어 있음

∙ 또한, 쇠퇴지역으로 진단된 격자에 거주하는 인구가 총 2,404,663명으로 나타 났는데, 이 중 100명 이상의 인구가 거주하는 쇠퇴지역 격자에 1,998,069명이 거주하여83%에 이름

∙ 50명 미만의 인구가 거주하는 격자는 전체 쇠퇴 격자의 65%를 차지하며, 인구 수로는209,385명(약 8.7%)으로 대부분 도시가 아닌 지역에 분포

쇠퇴지역(전국) 쇠퇴지역(영남권)

그림 3-14 | 쇠퇴지역의 격자 내 인구 수 별 구분

출처: 저자 작성

④ 진단결과와함께보는도시재생뉴딜시범사업지구

(4) 정책스토리메이킹

□ ‘격자기반 인구 ․ 건물 통계’ – ‘인구 쇠퇴 지역 및 건물 노후 지역 진단’ – ‘쇠퇴지역 진단’ – ‘도시재생뉴딜시범사업지구와같이보기’의프로세스별탭을작성

그림 3-16 | 스통토리맵 메인 페이지 UI

출처: 저자 작성

□ 데이터및분석결과를보여주기위한상호작용지도구성(그림3-17)

∙(격자기반 인구 및 건물 통계) 인구구조, 고령인구 비율, 인구 변화율, 노후 건축물 비율, 평균 건물 면적, 주거용 건물 비율 등 여섯 가지 통계값을 단계구분도로 표현 하고, 전국 평균 값 – 시도 평균값 – 격자 통계 값의 비교가 가능하도록 그래프 구성

∙(인구 쇠퇴지역 및 건물 노후지역 진단) 인구 쇠퇴 지역 및 건물 노후 지역으로 추출된 격자를 제시하며, 격자를 클릭하여 해당 격자의 통계치를 열람 가능하도록 상호작용 요소를 구성하고, 전국 평균 값 – 시도 평균값 – 격자 통계 값의 비교가 가능하도록 그래프 구성

∙(쇠퇴지역 진단) 쇠퇴지역 추출 격자에 대한 통계치 열람 및 추출 격자에 대해 인구 수 별 단계구분도로 표현하여 인구에 따른 쇠퇴지역의 분포 유형 제시

∙(도시재생 뉴딜 시범사업지구와 같이 보기) 쇠퇴지역으로 진단된 격자와 도시 재생 뉴딜 시범사업지구를 같이 시각화하여 제시하며, 진단된 쇠퇴지역과 비슷한 위치에 있는 시범사업지구에 대해 통계 지표를 제시

격자기반 인구 및 건물 통계 인구 쇠퇴 지역 / 건물 노후 지역 진단

쇠퇴지역 진단 결과 해석 도시재생 뉴딜 시범사업지구와 같이 보기 그림 3-17 | 동적 국토모니터링 리포트 UI 구성

출처: 저자 작성

□ 데이터에대한해석, 그래프, 통계등의부가정보를제시

∙(해석) 인구 쇠퇴 지역과 건물 노후 지역, 종합적 쇠퇴지역의 전국적인 경향성 및 원인 등을 간략하게 해석하여 제시

∙(그래프) 전체 시도/시군구별 쇠퇴지역이 차지하는 비율(%), 지자체별 인구구조 (유소년 인구/생산가능인구/고령인구 구분), 통계치의 격자와 시도/전국 평균값 비교 등(그림 3-18)

지자체별 인구구조 시도/시군구별 쇠퇴지역 차지 비율

격자 – 지자체 – 전국 통계값의 비교(건물 통계) 그림 3-18 | 통계 그래프 구성

출처: 저자 작성

∙ 쇠퇴지역 진단결과의 지도와 함께, 인구 쇠퇴 – 건물 노후에 대한 기초지자체 별 산점도를 작성하여 지자체의 각 부문별 쇠퇴 및 노후에 대한 개략적 제시(그림 3-19)

- 인구 쇠퇴 지역과 건물 노후 지역의 비중이 모두 높은 지역은 부산광역시 중구, 동구, 연제구, 서구, 대구광역시 중구, 남구, 서울특별시 중구 등

- 인구 쇠퇴 지역 비중과 건물 노후 지역 비중에 대해 각각 보여줌으로써 기초 지자체 별 쇠퇴 유형 분류 가능

- 격자 기반의 상세 지역 쇠퇴 정보와 함께 지자체 별 쇠퇴지역 비율을 산점도 형태로 보여주어 다양한 관점의 데이터 제시

- 산점도와 함께 시군구별 단계구분도, 시군구 별 쇠퇴 유형 구분도로 시각화하여 제시

∙(통계) 전체 시도 중 쇠퇴 지역이 차지하는 면적(㎡) 및 비율(%), 격자의 인구수 별 쇠퇴 지역의 격자 개수 비율 등

∙ 격자 공간단위를 클릭하면 부가 정보로서 선택된 격자의 수치와 격자가 포함되는 시도 및 전국의 통계치를 비교하는 그래프, 해당 격자의 속성값을 표현하도록 상호작용 요소 구성

그림 3-19 | 인구 쇠퇴지역 비율–건물 노후지역 비율 기초지자체 별 산점도

출처: 저자 작성

[참고] 공간정보 시각화 상용 플랫폼인 Carto, ESRI 등에서는 도시 쇠퇴 및 재활성화와 관련하여 간단한 수치 정보 및 지도 시각화 자료 제공

Revitalization Corridors and Commute San Francisco Urban Revitalization Map 그림 3-20 | 도시 재활성화 관련 동적 시각화 지도 사례

출처: (좌)carto.com (우)coolmaps.esri.com/#5 출처: 저자 작성

(6) 의견공유를통한쌍방향커뮤니티구상

□ 스토리맵의 각 탭마다 댓글 등록 등의 의견 공유 기능을 설계하여 국토모니터링 리포트를활용하는이용자들의의견공유

∙ 의견을 공유하고, 이용자들의 의견을 다시 국토모니터링 리포트에 반영하여 새로운 리포트를 업데이트하는 순환 체계 구축

- 댓글 등록 등 의견 공유 시 전체 범위에 대한 의견, 특정 시도/시군구에 대한 의견, 특정 격자에 대한 의견, 임의의 범위에 대한 의견 등 의견을 내고자 하는 공간적 범위가 다양하므로, 여러 공간적 범위에 대해 지정하여 댓글 등록이 가능하도록 설계

- 댓글 등록 등 의견 공유 시 전체 범위에 대한 의견, 특정 시도/시군구에 대한 의견, 특정 격자에 대한 의견, 임의의 범위에 대한 의견 등 의견을 내고자 하는 공간적 범위가 다양하므로, 여러 공간적 범위에 대해 지정하여 댓글 등록이 가능하도록 설계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