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동아시아의 국제 관계

문서에서 동아시아사 (페이지 22-31)

04 동아시아의 국제관계

예 제

동아시아의 외교 관계

◉ 밑줄 친 ㉠을 알려 주는 문화유산으로 옳은 것은? 【EBS 수능특강 41쪽】

중원 왕조는 책봉과 조공이라는 대내적 제도를 주변의 국가와 외교 관계를 맺을 때 적용하 였지만, 그 형식은 엄격하게 고정된 것이 아니었으며 외교적 목적과 지역의 특수성을 반영 하여 다양하게 전개되었다. ㉠ 일본 열도의 소국들도 통치의 권위를 확보하기 위해 중원 왕 조에 조공을 바치고 책봉을 받았다.

해 설 정답

풀이 밑줄 친 ㉠은 일본 열도의 소국과 중원 왕조의 책봉· 조공 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이를 보여 주는 문화유산을 찾는 문제이다. ‘한위노국왕’ 금인은 1784년 후쿠오카의 한 농부가 발견한 금도장으로 후한의 광무제가 왜의 노국왕에게 내려 준 것으로 보고 있다. 이는 일본 열도의 소국이 중국의 후한과 책봉· 조공 관계를 맺었음을 보여 준다.

오답 피하기

① 스에키 토기는 일본 열도에서 5세기경에 제작된 것으로 가야 토기와 매우 유사하다. 백제와 가야에서 일본 열도로 이주한 사람들이 언덕 경사면에 오름 가마를 만들고 고온에서 구워낸 단단한 토기이다.

② 호우명 그릇은 신라 호우총에서 발견된 청동 그릇으로, 광개토대왕을 기념하는 의례 행위에 사용하기 위해 만든 것으 로 보인다. 이를 통해 고구려가 신라에 영향력을 행사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③ ‘선우화친’ 와당은 한 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당시 흉노의 선우와 화친하는 것이 정세를 안정시키는 중요한 일이었음을 보여준다.

⑤ 무령왕릉은 중국 남조 양나라의 무덤 양식인 벽돌무덤으로, 무령왕과 왕비가 일본산 금송으로 만든 관에 묻혀 있었다.

부장품으로는 중국산 도자기, 오수전 등이 나와 당시 백제의 국제 관계를 알 수 있다.

① ②

▲ 스에키 토기 ▲ 호우명 그릇 ▲ ‘선우화친’ 와당

④ ⑤

▲ ‘한위노국왕’ 금인 ▲ 무령왕릉

예 제

1. (가)에 들어갈 외교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EBS 수능특강 40쪽】

중국이 동아시아 강대국으로 성장하고 유교적 통치 이념과 화이관이 중국의 지배층 사이에 자리 잡게 되자, 중국은 인접 국가와의 관계에 (가) 을/를 적용하였다. 주의 왕이 혈연관계를 기초 로 하여 주변 지역에 제후를 임명하고, 이에 대해 제후는 사절을 보내 주왕에게 예물을 바친 것에서 시작된 제도를 외교 관계에 적용한 것이다.

< 보 기 >

ㄱ. 경제·문화적 교류에 이용되었다.

ㄴ. 상호 필요에 의해 맺은 의례적 관계였다.

ㄷ. 당 대부터 주변국과의 관계에 적용되었다.

ㄹ. 직접 지배와 실질적 간섭을 바탕으로 하였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2.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절한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EBS 수능특강 41쪽】

동아시아의 여러 나라들은 새로운 정세를 자신에게 유리하게 만들기 위해 적극적인 외교 활동을 벌였다. 고구려의 장수왕은 중국이 남북으로 나뉘어 대립하는 상황에서 다원적 외교 전략을 구사하 여 만주와 한반도에서 패권을 유지하였다. 이 시기에 다른 나라들도 다양한 외교 활동을 전개하였

다. 예를 들어 (가)

< 보 기 >

ㄱ. 왜가 남조에 조공하여 책봉을 받았다.

ㄴ. 백제는 남조와 책봉·조공 관계를 맺었다.

ㄷ. 토번의 왕은 중국에 공주와의 혼인을 요청하였다.

ㄹ. 발해는 신라 견제를 위해 일본과 친선 관계를 유지하였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5~6세기 동아시아의 정세

남북조 남조와 북조가 서로 견제하기 위해 주변국을 경쟁적으로 책봉 고구려 남북조 양측과 모두 책봉‧조공 계 체결(등거리 외교)

백제 고구려를 견제하기 위해 주로 남조와 책봉‧조공 관계 체결

신라 6세기에 백제의 중개로 남조와 책봉‧조공 관계 형성, 한강 유역 장악 후 직접 남북조와 외교 5세기들어 남조와 책봉‧조공 관계 체결

4.. 동아시아의 국제관계

예 제

수‧당 대 동아시아의 국제 관계

◉ (가) 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EBS 수능특강 43쪽】

① 발해 사신을 위한 발해관을 두었다.

② 베트남에 안남도호부를 설치하였다.

③ 신라도를 이용하여 신라와 교류하였다.

④ 일본으로부터 여러 차례 사절단을 받았다.

⑤ 건국 초 돌궐에 신하를 자처하기도 하였다.

해 설 정답

제시된 지도에 나타나 있는 ‘돌궐’, ‘발해’, ‘신라’, ‘토번’ 등을 통해 (가) 국가가 당임을 알 수 있다.

발해와 신라의 관계는 당과의 관계에 비해 소원하거나 적대적인 경우가 많았다. 그렇지만 발해에서 출발하여 동해안을 따라 신라에 이르는 신라도가 생겨나 이를 통한 교역이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당과 신라 간의 교역은 신라도가 아닌, 서남해를 통해 주로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신라의 울산, 당항성, 영암 등이 국제 무역항으로 성장하였으며, 당의 동쪽 해안 지역에는 신라방, 신라소, 신라원 등이 만들어졌다.

오답 피하기

① 발해는 문왕 때부터 당과 우호 관계를 유지하면서 당의 제도와 문물을 받아들였다. 당은 등주에 발해관을 설치하여 발해 사신을 접대하였다.

② 한 대 이후 베트남 지역은 중국의 영향력하에 있었으며, 당은 안남도호부를 설치하여 이 지역을 직접 다스렸다. 10세 기 5대 10국시기에 응오 왕조가 독립하였다.

④ 일본은 7세기에 수에 사신을 파견하여 중원 왕조의 문물을 배워 오게 하였으며, 당이 건국된 후에는 견당사를 보내 당 문물을 수용하였다. 9세기 말에 견당사 파견은 중지되었다.

⑤ 당은 건국 초에 돌궐에 대해 신하를 자처하였다. 그러나 당 태종이 왕위 계승 분쟁으로 약화된 돌궐을 공격하여 무너뜨 렸다. 동돌궐이 다시 일어나 강성해지기도 했지만, 이후 위구르에 멸망하였다.

예 제

동아시아 각국의 자국 중심 외교 관계 파악

◉ (가), (나)의 대외 인식을 나타낸 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EBS 수능특강 43쪽】

(가) 태왕이 백성들을 편안하게 생업에 종사케 하시니 나라가 부강하고 민호가 불어나며 오곡이 풍 성하게 익었다. …… 백제와 신라는 옛날 우리의 속민이었기에 조공을 해 왔다 .

(나) 자장 법사에게 신인이 나타나 말하기를 “황룡사의 호법 용은 바로 나의 큰아들이오. 범왕의 명 령을 받고 그 절에 가서 보호하고 있으니, 절 안에 9층탑을 세우시오. 그러면 이웃 나라들은 항 복할 것이고, 9한(韓)이 와서 조공하여 왕업이 오래도록 편안할 것이오.”

① (가) - 남북조와 모두 책봉·조공 관계를 맺었다.

② (가) - 흉노의 선우에게 황실의 여인을 보내는 조건으로 화친을 맺었다.

③ (나) - 후한의 광무제로부터 한위노국왕 금인을 받았다.

④ (나) - 인안 등의 연호를 사용하며, 주변 말갈족에게 복속을 강요하였다.

⑤ (가), (나) - 돌궐의 공주를 왕후로 맞이하기 위해 경쟁하였다.

해 설 정답

(가)는 고구려가 태왕을 칭호로 사용하면서 백제와 신라를 자신의 속국으로 취급하였음을 보여 주는 광개토 대왕릉비의 비문 내용이다. (나)는 “삼국유사”에 실린 내용으로, 신라가 자국 중심으로 주변 세계를 평정하려는 의지에서 황룡사 9층탑을 제작하였음을 보여 주고 있다. 이는 다원적 국제 질서 속에서 동아시아 각국이 그들의 세력권 안에서는 스스로를 중심에 두고 주변국과 또 다른 책봉·조공 관계를 맺고자 하였던 모습을 보여 준다.

고구려는 남북조와 모두 책봉·조공 관계를 맺었으며, 이전에는 화북 지역의 여러 북방 민족 국가와 책봉·조공 관계를 맺고 불교 등을 수용하였다.

오답 피하기

② 흉노의 선우에게 황실의 여인을 보내는 조건으로 화친을 맺은 나라는 한이다.

③ 후한의 광무제로부터 한위노국왕 금인을 받은 것은 왜의 노국왕으로 추정된다. 이 금인은 1784년 후쿠오카의 한 농부가 발견한 것으로 한과 왜의 노국 사이에 책봉·조공 관계가 있었음을 알려 준다.

④ 인안, 대흥 등의 독자적 연호를 사용하며 주변 말갈족에게 복속을 강요한 것은 발해이다.

⑤ 돌궐의 공주를 왕후로 맞이하기 위해 경쟁한 나라는 북조의 두 왕조인 북제와 북주이다.

4.. 동아시아의 국제관계

예 제

3. (가), (나) 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EBS 수능특강 40쪽】

① (가)는 대운하를 건설하였다.

② (가)는 (나)에 화번 공주를 보냈다.

③ (가)는 (나)와 책봉·조공 관계를 맺었다.

④ (나)는 유연을 격파하고 유목 국가를 세웠다.

⑤ (나)는 (가)와 신라의 연합군에 의해 멸망하였다.

4. (가) 국가의 대외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016년 9월 모평】

백제 의자왕이 군사를 일으켜 신라의 서족 40여 개 성을 빼앗고, 고구려와 공모해 한강 하류의 당항 성을 차지하여 (가) (으)로 가는 길을 끊으려 하였다. 이에 신라는 (가) 에 사신을 보내 공물을 바치며 사태의 위급함을 알렸다.

① 돌궐에 화번 공주를 보냈다.

② 일본과 백강 전투에서 충돌하였다.

③ 민간 교역을 금하는 해금을 실시하였다.

④ 주변 국가들과 조공 ‧ 책봉 관계를 맺었다.

⑤ 베트남 북부 지역에 안남 도호부를 설치하였다.

5. 다음 자료를 활용한 탐구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17년 수능】

○ 광개토대왕이 영락태왕을 칭하였는데 그 은혜와 혜택이 하늘에 이르고 위엄과 무공은 온 세상에 떨쳤다. …(중략)… 백잔(백제)과 신라는 예로부터 (고구려의) 속민으로 조공을 바쳤다.

○ 왜의 국서에 “해 뜨는 곳의 천자가 해지는 곳의 천자에게 글을 보낸다.”라고 하니 수황제가 불쾌 히여겨 무례한 오랑캐의 글은 올리지 말라고 하였다.

① 남조와 북조 사이의 교류와 갈등

② 백제와 북위 간 외교관계의 양상

③ 고구려와 왜 사이의 교류와 문화 전파

③ 고구려와 왜 사이의 교류와 문화 전파

문서에서 동아시아사 (페이지 2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