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동남아의 농기계 산업

문서에서 2018 제 호 월호 월호 (페이지 57-63)

제품에 대한 가격경쟁력을 확보하기가 쉽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

디스크프라우

,

해로

,

로터 리 등 트랙터 부착작업기도 주로 태국과 중국산 부품으로 현지에서 생산된 제품과 가격경쟁 력에서 경쟁하기가 어려운 상태이며

,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이 곧 동남아로 농기계 수출을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이라 할 수 있다

.

자회사

(joint venture)

를 설립하였다

.

시암구보다공사는 디젤엔진

,

트랙터

,

콤바인

,

동력경운 기

,

이앙기

,

트랙터 작업기 등을 생산하고 있으며

,

최근 베트남

,

캄보디아

,

미얀마

,

라오스에 는 현지 조립공장을 설립하여 시장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

베트남에서 가장 큰 농기계 제조업체는 베트남엔진농기계공사

(VEAM, Vietnam engine and Agricultural Machinery Corporation)

10)와 남베트남엔진농기계회사

(SVEAM, South Vietnam engine and Agricultural Machinery Co., Ltd.)

11)이다

. VEAM

은 국영기업으로서 엔진과 농기계 외에도 자동차

,

오토바이

,

부품 등의 생산과 무역업을 수행하고 있다

. VEAM

은 수확기

,

도정기

,

엔진

,

경운기 등을 생산하는

22

개의 자회사를 두고 있으며

, 2

개의 연구소 를 운영하고 있다

. SVEAM

1967

에 설립하여 일본 구보다 디젤엔진을 생산하던

Vikyno Co. Ltd

1968

년에 설립하여 일본의 얀마 디젤엔진을 생산하던

Vinappro Co., Ltd.

를 통합하여

2009

년에 설립한

VEAM

의 자회사로서 베트남에서 가장 큰 농기계 제조업체이다

.

생산 제품은 디젤엔진

,

가솔린엔진

,

양수기

,

동력경운기

,

예초기

,

배부식 동력분무기

,

도정기 등이며

,

주로

5-30

마력 범위의 단기통 디젤엔진을 생산하고 있다

.

최근 베트남의 자동차 제조업체인

Truong Hai Automobile JSC(THACO)

12)는 한국의

LS Mtron

과 협정을 체결하고

LS Mtron

의 기술지원으로 부품의

50%

를 현지화한 소형 트랙터를 생산하여

Thaco

브랜드로 베트남 및 동남아 지역에 보급하기로 하였다

.

벨라루스의 농기계 제조업체인

Minsk Tractor Works

2014

년 캄보디아에 합작투자회사 인

Belarus-Mekong

13)을 설립하고 자체 브랜드인

MTZ

트랙터를 조립생산하기 시작하였으 며

, 4

개의 모델을 연간

1,000

여대 생산하여 캄보디아뿐만 아니라 베트남

,

미얀마

,

라오스 등 주변 국가로 시장을 확대할 계획이다

.

인도네시아 농기계 산업은

1,000

여 개 이상의 소형 제조업체

, 30

여 개 이상의 중형 제조업체

, 3

개의 대형 제조업체로 구성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14) 인도네시아 농기계협회

(Indonesian

10) (http://veamcorp.com/) 검색일: 2018.02,05 11) (http://sveam.com/) 검색일: 2018.02.10.

12) (http://thacogroup.vn) 검색일: 2018.01.20.

13) (http://mekongat.com.kh/) 검색일: 2018.01.20.

14) Unadi(2011).

Indonesia,

17) 일본의 얀마사가 합작투자한

PT. Yamindo,

국내기업으로서

PT Rutan

18)이 담당하고 있다

.

CV KHS

의 주요 생산품은 엔진과 농기계이며

, Quick

19)이라는 브랜드로 동력경운기

,

동력 탈곡기 등을 생산하고 있다

.

족자카르타에 있는 동력경운기 생산공장은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큰 농기계 생산공장으로서 기어박스를 생산하기 위한 주물공장을 가지고 있으며 연간

6

5,000

대의 동력경운기를 생산하고 있다

.

동력경운기의 엔진은 모두 인도네시아에서 생산하고 있는 구보다 엔진으로서 소형

5.5

마력 가솔린엔진

,

중형

7.5

마력 디젤엔진

,

대형

10

마력 디젤엔진을 사용하고 있다

. PT Yamindo

는 주로 동력경운기와 벼도정시설을 생산하 고 있으며

,

농기계 외에도 디젤엔진

,

발전기 등을 생산하고 있다

. PT Rutan

1942

년에 설립된 민간기업으로서 수확 및 수확후 처리에 필요한 각종 농기계를 생산하여 기술제휴사 인

Agrindo, Iseki, Satake

브랜드로 공급하고 있다

.

동남아에서는 농기계 산업을 국영기업이 주도하였으나

,

대부분은 자국 산업으로 성장하 지 못하였으며

,

외국의 자본과 기술

,

특히 일본의 자본과 기술을 도입하여 합작투자형태로 발전하였다

.

따라서 제조업의 기반으로서 소재산업과 부품산업이 성장하지 못하였으며

,

제 조업의 형태도 주로 조립생산의 형태로 발전하였다

.

이러한 결과는 자국산업으로 트랙터

,

콤바인 등 대형 농기계를 생산할 수 있는 제조업체가 전무하고

,

중소업체가 생산하는 농기계 의 품질은 수입품에 비하여 떨어지며

,

비싼 수입 부품을 사용할 때는 수입 완제품에 비하여 가격경쟁력이 약화되어

,

자국의 농기계 산업이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이 취약한 상태로 유지되 고 있다

.

이러한 상태에서도 태국은 소재와 부품산업의 생산규모와 기술이 상대적으로 우수 하여

,

태국에서 생산된 부품

,

소형 농기계

,

작업기 등이 미얀마

,

캄보디아

,

라오스

,

베트남 등 동남아 시장의 주요 공급원이 되고 있다

.

15) Sutiarso(2014).

16) (http://www.quick.co.id/) 검색일: 2018.02.15.

17) (https://ptkubota.co.id/) 검색일: 2018.02.15.

18) (http://www.rutan.co.id) 검색일: 2018.02.15.

19) (http://www.quick.co.id/) 검색일: 2018.02.15.

동남아 농기계 시장의 특징은 동남아 각국의 농기계 산업이 형성되기도 이전에 이미 트랙터

,

콤바인 등 주요 농기계는 일본

,

미국

,

중국

,

인도

,

이탈리아 등 외국에서 생산된 수입 농기계가 시장을 장악하여 치열한 판매경쟁의 상태에 있다는 점이다

.

건조저장시설에 서도 자국산 제품보다는 일본

,

대만

,

한국

,

중국산 중대형 건조기와 저장시설의 경쟁이 치열 한 실정이다

.

이는 우리나라의 경우와 비교하면

,

우리나라가 처음 동력경운기를 생산했던

1963

년과 트랙터를 처음 생산했던

1969

년 당시에는 일본

,

미국 등 외국의 농기계 대리점이 국내에 없었다는 점에서 차이가 크다

.

즉 우리나라는 자국의 농기계 산업에 의하여 농기계 시장이 형성되었고

,

그 후 외국의 농기계가 국내시장에 진입하는 형태로 발전하였다

. 2012

년 동남아 농기계 시장의 규모를 약

11

억 불로 평가하고

, 2016

년까지

12.1%

의 연평 균 성장률을 예측한 보고서20)가 있다

.

이 보고서와 최근 동남아 각국의 발전 속도를 감안하 여

2018

년의 시장규모를 추정하면 약

20

억 달러 이상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이중 가장 큰 시장은 인도네시아 시장으로서 총 시장규모의 약

43%

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며 태국이

19%,

베트남이

10%,

필리핀이

9%,

말레이시아가

7%,

그 외 아세안국가가

12%

를 차지할 것으로 추정된다

.

동남아 농기계 시장의 고객은 크게

3

가지 형태로 분류할 수 있다

.

첫 번째는 플란테이션

,

기업농과 같은 대형 농장이고

,

두 번째는 농작업을 수임하여 작업을 대행하는 임작업자

,

세 번째는 일반 농가이다

.

대형 농장은 사탕수수

,

카사바

,

옥수수

,

오일팜 등을 재배하며

,

대부분 기계화가 이루어져 트랙터

,

콤바인

,

수확기 등의 대형 농기계를 사용하고 있으나

,

이들의 수요는 많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

수요가 가장 많을 것으로 예측되는 임작업자는 주로 벼농사의 농작업을 대행하는 임작업자로

80-100

마력급 트랙터

,

콤바인의 주고객으로 판단된다

.

일반 농가에서 사용하는 농기계는 주로

50

마력 이하의 소형 트랙터

,

리퍼

,

동력경 운기 등으로서 그 수요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중고 농기계의 유통이 큰 것도 동남아 농기계 시장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

수요가 많은 중고 농기계는 엔진

,

동력경운기

,

트랙터이며

,

주로 일본에서 수입한 중고 농기계가 많은 것으로 판단된다

.

중고 농기계의 고객은 주로 일반 농가로

,

신품을 구입하기에는 경제적

20) Lin et. al(2013).

부품은 주로 중국산

,

태국산 제품이 사용된다

.

이와 같은 특징을 가진 동남아 농기계 시장은 저가의 중국산 제품이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상태에서

,

트랙터

,

콤바인 등 대형기종은 태국의 시암

-

구보다 제품의 시장 점유율이 가장 높고

,

중국

,

일본

,

인도

,

미국

,

이탈리아

,

벨라루스산 제품이 경쟁하고 있는 상태이다

.

그러나 최근 중국산 농기계의 낮은 성능과 품질에 대한 인식이 확대됨에 따라 한 때

60%

수준에 달하였던 중국산 제품의 시장 점유율은 점차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

<

2>

는 동남아 시장에서 경쟁하고 있는 주요 농기계 제품의 브랜드를 나타낸 것이다

.

<표 2> 동남아 농기계 시장의 주요 경쟁 브랜드

국가 인도네시아a 말레이시아a 베트남a 필리핀a 태국a 캄보디아b 미얀마b 경쟁

수준 높은 각축 각축 비교적

각축

비교적

주도 주도 비교적

각축

비교적 각축

경쟁 브랜드

Kubota Belarus Yanmar Landini Erreppi Kinta Mahindra Iseki

Yanmar Landini Erreppi Kinta Caterpillar MF

Kubota Belarus Yanmar JD CNH

Kubota Landini CHN

Kubota Yanmar Mitsubishi

Kubota Berlarus Mahindra JD

Kubota CNH Sonalika YTO Boton Kioti

주: a) Lin et. al(2013) 참조, b) 저자 조사.

동남아 농기계 시장에서 농기계 구입을 지원하기 위한 국가의 지원정책은 아직까지 미흡 한 실정이나 인도네시아는 임대사업용 농기계를 정부가 구매하여 지원하는 제도를 시행하 고 있으며

,

미얀마는 정부기관인

AMD(Agricultural Maechanization Department)

를 통하여 농기계 구입농가에 대한 연대보증을 제공함으로서 농기계 가격의

10%

를 지불하고 농기계를

2-3

년간 연

8-15%

의 이자로 융자구매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

이러한 농기계 구입지원 혜택을 제공하고 있는 미얀마에서는 딜러와 융자제공 금융기관이

AMD

의 연대보증 승인을 얻지 못할 경우에는 사실상 시장진입이 어려운 실정이다

.

필리핀에서는 국가에서 정한 기준

민간 금융기관을 통하여 농기계 구입을 지원하기 위한 융자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나

,

높은 금리와 담보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일반 농가에서는 융자지원을 받기가 어렵다

.

베트남 정부는

2014

년부터 법으로 정한 품질표준을 만족하고 우수라벨을 부착한 농기계를 농림부 와 산업무역부가 공시하고

,

공시한 농기계에 대해서는 구입가격의

100%

를 융자지원하여 초기

2

년의 이자와

3

년째 이자의

50%

를 정부가 부담하는 융자금 이자지원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

이러한 정부지원 외에도 딜러가 융자지원을 제공하는 경우가 있고

,

지원의 종류와 규모는 기종

,

모델에 따라 다양하다

.

캄보디아의 벨라루스 트랙터 딜러는 판매가격의

80%

3

개월 무이자 융자로 제공하는 예도 있으나

,

융자조건은 대부분 판매가격의

40-70%

1/2-4

년 상환

,

12-20%

정도이다

.

<

3>

은 동남아 농기계 시장진출에 대한 기회적인 요인과 위협적인 요인을 나타낸 것이 다

. 2017

년 세계은행이

61

개국을 대상으로 농기계 수입판매와 관련한 어려움의 정도를

<표 3> 동남아 농기계 시장의 긍정적 요인과 부정적 요인

국가 긍정적 요인 부정적 요인

태국a

∙ 시장규모는 동남아의 평균 이상

∙ 농업기계화 수준은 상위

∙ 농기계 구입에 대한 정부의 융자지원을 추진 중

∙ 구보다 주도의 농기계 시장과 구보다의 높은 경쟁력

∙ 높은 토지 임차비

인도네시아a

∙ 동남아에서 가장 큰 시장 규모

∙ 비교적 높은 트랙터와 콤바인 이용율

∙ 주도 기업이 없는 상태에서 판매경쟁이 치열

∙ 농업기계화가 성숙되지 못함

∙ 융자수혜를 위해서는 토지소유 증명서 필요

베트남a

∙ 농업기계화 수준은 상대적으로 높음

∙ 융자에 대한 이자지원 및 수입 농기계에 대한 저관세

∙ 광범위한 소형 트랙터 사용

∙ 토지합병에 대한 강한 저항

말레이시아a

∙ 주도 기업이 없는 상태에서 판매경쟁은 치열

∙ 농가가 고급기술을 선호함

∙ 생산규모보다는 생산량 증대만 요구하는 정부의 압력

∙ 비교적 규모가 작은 농기계 시장

∙ 소액 융자지원제도의 부족

필리핀a

∙ 벼, 옥수수 재배에 대한 기계화 수준이 높음 ∙ 농기계 시장의 미성숙

∙ 보조는 영농조직에 한함

∙ 인프라 부족과 환경열악

미얀마b ∙ 융지자원 제도가 있음 ∙ 정부의 영향이 큼

∙ 기계화 수준은 낮음 주: a) Lin et. al(2013) 참조, b) 저자 조사.

문서에서 2018 제 호 월호 월호 (페이지 57-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