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형 패널자료를 구축하였으며 본 장의 분석대상 관측치는 총 7,122개이다.

한편 앞장에서 계량 분석에 사용한 한국의 수출 상품공간 데 이터베이스를 HS4단위 상품분류를 기준으로 한국 표준산업분류 (KSIC) 세세분류 제조업과 연계하여 HS4단위(733개) 상품을 한 국표준산업분류 세세분류 기준 211개 제조업과 연결하였다.13)

본 연구에서는 제조업 세세분류 산업에 속한 기업들을 공장 소재지와 수출 여부에 따라서 <7>에 제시된 바와 같이 11 종류의 기업으로 분류하였다.

국내공장, 해외공장, 국내 및 해외, 공장 없음을 기준으로 데 이터베이스를 구축한 결과 국내공장만 있는 내수기업은 1,750 개, 국내공장만 있는 수출기업은 1,281, 국내공장만 있는 내수 수출 전환기업은 566개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장 소재지가 국내 인 수출기업의 경영실적과 국내공장만 있는 내수기업의 영업실 적을 주로 비교한다. 또한 공장 소재지가 변하지 않은 기업들에 한해서 국내공장 기업과 해외공장 기업을 나누어서 수출의 낙 수효과를 분석한다. 본 연구에서 분석대상이 되는 중소기업은 총 4,490개이다.

을 때 4,490개 개별 중소기업의 자료를 얻을 수 있었다.

13) 최남석(2012)과 같은 산업분류 연계방법을 이용하여 HS4단위 코드를 Cental Product Classification과 연계하고 CPC를 KSIC와 연계하였다.

<표 7> 제조업 중소기업의 공장 소재지에 따른 관측치와 기업 수 공장 소재지 자료

없음 국내 해외 국내 및 해외 공장

없음

<1> 공장 소재지가 변하지 않는 경우

자료 없음 695(493) 695(493)

1. 내수기업 2,463(1750) 85(80) 2,548(1830)

2. 수출기업 1,809(1281) 30(30) 1,839(1311)

3. 내수수출전환 1,420(566) 1,420(566)

4. 다국적 수출기업 20(17) 70(59) 90(76)

5. 글로벌 아웃소싱 7(7) 22(20) 29(27)

6. 내수수출전환

다국적기업 1(1) 25(17) 10(8) 16(14) 5(4) 57(44)

* 공장 소재지를 모르는 경우

7. 내수기업 16(8) 16(8)

8. 수출기업 67(47) 67(47)

<2> 공장 소재지가 바뀐 경우

9. 내수기업 2(2) 48(39) 41(39) 91(80)

10. 내수수출전환

다국적 기업 83(56) 8(7) 62(50) 153(113)

11. 다국적 기업 2(2) 50(39) 9 (7) 43(39) 3(3) 107(90) 783(553) 5,898(3748) 54(46) 213(182) 164(156) 7,112(4685) 주: 괄호 안은 기업 수

<1> 공장 소재지가 변하지 않는 경우 -국내공장

1. 내수기업= 국내공장 또는 공장 없음, 수출 0 2. 수출기업= 국내공장 또는 공장 없음, 수출>0;

3. 내수수출전환기업=국내공장, 수출=0에서 수출> 0; 수출>0에서 수출=0으로 전환한 기업

-해외공장

4. 다국적기업 = 해외공장만 또는 국내 및 해외공장이 있음, 수출 >0 5. 글로벌 아웃소싱 내수기업= 해외공장 또는 국내 및 해외공장 있음, 수출 0 6. 내수수출전환 다국적기업= 국내공장에서 해외공장, 또는 국내 및 해외공장

으로 전환, 공장 없음; 수출=0 에서 수출> 0; 수출>0에서 수출=0으로 전환 한 기업

-공장 소재지 모름

7. 내수기업: 공장위치를 알 수 없고 수출=0 8. 수출기업: 공장위치를 알 수 없고 수출>0

<2> 공장 소재지가 바뀐 경우 -국내공장

9. 내수기업=국내공장만 있음에서 공장 없음으로 또는 그 반대로 전환, 수출 0 -해외공장

10. 내수수출전환 다국적 기업= 국내공장에서 해외공장 또는 국내 및 해외공 장으로, 또는 해외공장에서 국내 및 해외공장으로 전환; 수출=0에서 수 출> 0; 수출>0에서 수출=0으로 전환한 기업

11. 다국적 기업= 국내공장에서 해외공장 또는 국내 및 해외공장으로 전환;

수출> 0

문서에서 10대 주요 수출상품의 경쟁력 분석: (페이지 111-11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