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대단원 EXERCISES 148~151쪽

∴ (색칠한 부분의 넓이)

∴=;2!;_8_8=32(cm¤ )

20 AB”를 지름으로 하는 반원은 AB'”을 지름으로 하는 반원을 회전한 것이므로 두 반원의 넓이는 같다.

8`cm

A

D

C B

8`cm 5`cm

3`cm

A B

A A

B 60æ60æC60æ B C l 60æ60æ60æ

6`cm

=

-∴ (색칠한 부분의 넓이)

∴=(부채꼴 BAB'의 넓이)

∴ =+(`AB”를 지름으로 하는 반원의 넓이)

∴ =-(AB'”을 지름으로 하는 반원의 넓이)

∴=(부채꼴 BAB'의 넓이)

∴=p_12¤ _;3£6º0;=12p(cm¤ )

21 강아지가 움직일 수 있는 영역 은 오른쪽 그림의 색칠한 부분 과 같다.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세 부채 꼴의 넓이의 합과 같으므로

p_2¤ _;4!;+p_10¤ _;4#;+p_4¤ _;4!;

=p+75p+4p=80p(m¤ )

10`m

4`m 2`m

4`m 10`m 6`m8`m

01028 0377 0410개

0506120˘ 070880˘

0910330˘ 1112

139 14정십이각형 1596˘

16③, ⑤ 1730˘ 18x=12, y=90 192010p cm, 15p cm¤

218p cm, 48p cm¤ 22(144-24p) cm¤

2312p cm¤ 2424p cm, (72p-144) cm¤ 2536p cm¤

26(2p+16) cm 27(6p+36) cm 28430˘ 29275p cm¤ 306p cm

대단원 EXERCISES

148~151쪽

01 ① 정육각형의 경우 모든 대각선의 길이가 같은 것은 아니다.

③ 다각형의 대각선은 이웃하지 않는 두 꼭짓점을 이은 선 분이다.

④ n각형의 한 꼭짓점에서 그을 수 있는 대각선의 개수는 (n-3)이다.

⑤ n각형의 한 꼭짓점에서 대각선을 그었을 때 생기는 삼 각형의 개수는 (n-2)이다.

같다 본문해설 6+16~31 2018.3.30 6:54 PM 페이지027

02 구하는 다각형을 n각형이라고 하면 대각선의 개수는

=44, n(n-3)=88, n(n-3)=11_8

∴ n=11 a-(a-3)+(a-2)=15, a+1=15

∴ a=14

05 △DBC에서 ∠BDC=135˘이므로

∠DBC+∠DCB=180˘-135˘=45˘

또 △ABC에서

∠ABC+∠ACB

=∠ABD+(∠DBC+∠DCB)+∠ACD

=30˘+45˘+40˘=115˘

∴ ∠x=180˘-115˘=65˘

06 △ACD는 CA”=CD”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CAD=∠CDA=80˘

△ABC는 AB”=AC”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ABC=∠ACB

△ABC에서 ∠ABC+∠ACB=80˘

2∠ABC=80˘ ∴ ∠ABC=40˘

한편 △DBC에서

∠x=∠BDC+∠DBC

∠x=80˘+40˘=120˘ 40æ 80æ

B 40æC

∠DCE=;2!;∠ACE

∠DCE=;2!;(40˘+∠ABC)

∠DCE=20˘+;2!;∠ABC

∠DCE=20˘+∠DBC yy ㉠

△DBC에서

∠DCE=∠x+∠DBC yy ㉡

㉠, ㉡에서 ∠x=20˘

08 △ABC에서 ∠ABC+50˘=110˘

∴ ∠ABC=60˘

즉, ∠DBC=;2!;∠ABC=;2!;_60˘=30˘이므로

△DBC에서

∠x=∠DBC+50˘

∠x=30˘+50˘=80˘

09 오른쪽 그림과 같이 BE”를 그으면

△DCF와 △FBE에서

∠DFC=∠BFE이므로

∠C+∠D=∠FBE+∠FEB

∴ ∠A+∠B+∠C+∠D+∠E

∴=∠A+∠B+∠FBE+∠FEB+∠E

∴=(△ABE의 내각의 크기의 합)

∴ ∠a+∠b+∠c+∠d+∠e=330˘

11 오른쪽 그림과 같이 CE”를 그으면

개념BOOK

Ⅵ. 평면도형

029

430˘+∠DCE+∠DEC=540˘

∴ ∠DCE+∠DEC=110˘

△DCE에서

180˘_6=1080˘, 180˘_7=1260˘, 180˘_8=1440˘

즉, n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이 1200˘보다 크고 1300˘보

5∠x+∠x=180˘, 6∠x=180˘ ∴ ∠x=30˘

따라서 구하는 정다각형을 정n각형이라고 하면

∠BCD=360˘-120˘-108˘=132˘

∠CDF=180˘-108˘=72˘

따라서 사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 360˘이므로

∠x=360˘-(72˘+132˘+60˘)=96˘

180˘_(5-2)

120æ108æ 108æ 360˘ BD”+3CD” (BD”<3CD”)

④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B가 점 C

∴ AB”<2CD”

⑤ ④의 그림을 보면 2△COD의 넓이가 △AOB의 넓이 보다 △DA'C의 넓이만큼 더 크다.

∴ △AOB+2△COD

17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는 호의 길이에 정비례하므로 (∠x-10˘) : 2∠x=4 : 12

(∠x-10˘) : 2∠x=1 : 3

3(∠x-10˘)=2∠x, 3∠x-30˘=2∠x

∴ ∠x=30˘

19 OC”∥AD”이므로

∠BOC=∠OAD=30˘ (동위각) OD”를 그으면 △OAD는 OA”=OD”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 ∠ODA=∠OAD=30˘

∴ ∠AOD=180˘-(30˘+30˘)=120˘

또 ∠COD=∠ODA=30˘ (엇각)

20 : μ CD=120˘ : 30˘, 20 : μ CD=4 : 1

=;2!;_p_5¤ +;2!;_p_3¤ -;2!;_p_2¤ =15p(cm¤ )

21 (호의 길이)=2p_12_;3!6@0);=8p(cm) (넓이)=p_12¤ _;3!6@0);=48p(cm¤ )

22 색칠한 부분의 넓이는 정사각형 ABCD의 넓이에서 부채 꼴 ABE와 부채꼴 DCE의 넓이를 뺀 것과 같다.

이때 BE”=CE”=BC”이므로

∠EBC=∠ECB=60˘

(둘레의 길이)=(2p_6)_2=24p(cm) 색칠한 부분의 넓이는 오른쪽 그림 에서 ㉠의 넓이의 8배와 같으므로 (넓이)

={p_6¤ _;4!;-;2!;_6_6}_8

=(9p-18)_8=72p-144(cm¤ ) 12`cm

(넓이)=2_{p_6¤ -;2!;_12_12}

(넓이)=2_(36p-72) (넓이)=72p-144(cm¤ )

25 (색칠한 부분의 넓이)

=p_12¤ _;3!6@0);-p_6¤ _;3!6@0);

=48p-12p=36p(cm¤ )

26 오른쪽 그림에서 원의 중심이 움직인 (6p+36) cm

28 ∠CGD=∠FGH=70˘(맞꼭지각)

……

∴ =-(∠GCD+∠GDC)

∴=180˘_(5-2)-110˘

∴=540˘-110˘=430˘ ……

개념BOOK

Ⅵ. 평면도형

031

29 각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는 정오각형의 한 외각의 크기

와 같으므로

=72˘ ……

또 다섯 개의 부채꼴의 반지름의 길이는 각각 다음과 같다.

AE”=5 cm, BF”=10 cm, CG”=15 cm,

DH”=20 cm, EI”=25 cm …… 색칠한 부분의 넓이는 다섯 개의 부채꼴의 넓이의 합과 같 으므로

p_5¤ _ +p_10¤ _ +p_15¤ _ p_5¤ _ +p_20¤ _ +p_25¤ _

=5p+20p+45p+80p+125p

=275p(cm¤ ) ……

30 다음 그림과 같이 꼭짓점 A가 움직인 거리는 부채꼴 AOA', A'O'A'', A''O''A'''의 호의 길이의 합과 같다.

⁄ 부채꼴 AOA'의 호의 길이는

2p_4_;3ª6º0;=2p(cm) ……

¤` 부채꼴 A'O'A''의 호의 길이는

2p_5_;3ª6º0;=;2%;p(cm) ……

‹ 부채꼴 A''O''A'''의 호의 길이는

2p_3_;3ª6º0;=;2#;p(cm) ……

⁄, ¤, ‹에서 꼭짓점 A가 움직인 거리는

2p+;2%;p+;2#;p=6p(cm) ……

l A O O' O''

A' A''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