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다 . 대학생의 진로개발역량

대학생의 진로개발역량을 7점 척도로 분석한 결과를 성별, 학년별, 유형별로 살펴보면 다음 <표 Ⅲ-6>과 같다. t-test를 통하여 집단간 평균차이가 유의미한 영역은 음영처리 하 였으며, 각종 진로 정보 수집 및 평가 와 사회 변화에 따른 직업 변화 인식 에서 학년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성 역할 변화 이해 영역에서 성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표 Ⅲ- 6> 진로개발역량(성별, 학년별, 유형별)

구 분 전체

(n=962)

성별 학년 유형

(n=451)

(n=511)

1,2 (n=373)

3,4 (n=589)

국립 (n=485)

사립 (n=477)

자아 인식

긍정적 자아개념 유지 M 5.04 5.00 5.08 4.93 5.11 5.01 5.08 SD 1.26 1.36 1.17 1.29 1.23 1.29 1.23 대인간 효과적 행동 M 4.57 4.65 4.50 4.42 4.66 4.56 4.57 SD 1.20 1.25 1.14 1.21 1.18 1.23 1.16 성장과 변화 이해 M 4.94 4.92 4.96 4.69 5.10 4.89 4.99 SD 1.14 1.18 1.11 1.16 1.10 1.12 1.16 종합 M 4.85 4.86 4.85 4.68 4.96 4.82 4.88 SD 0.98 1.04 0.93 0.98 0.97 0.99 0.98

학업 및 직업 탐색

교육/ 훈련 탐색 M 4.23 4.16 4.29 4.16 4.27 4.13 4.33 SD 1.35 1.35 1.35 1.33 1.36 1.37 1.32 직장 평생학습을 통한 진로

개발

M 5.15 5.09 5.21 5.03 5.23 5.12 5.19 SD 1.17 1.24 1.10 1.18 1.15 1.20 1.14 각종 진로정보 수집 평가1 ) M 4.66 4.69 4.63 4.48 4.77 4.62 4.70 SD 1.23 1.27 1.18 1.30 1.16 1.25 1.20 효과적인 구직활동 능력 M 4.10 4.16 4.06 3.82 4.29 3.97 4.24 SD 1.34 1.38 1.30 1.30 1.34 1.39 1.28 사회 변화에 따른 직업 변화

인식1 )

M 4.23 4.27 4.18 4.01 4.37 4.11 4.34 SD 1.25 1.30 1.21 1.21 1.26 1.27 1.22 종합 M 4.47 4.47 4.47 4.30 4.58 4.39 4.56 SD 0.99 1.01 0.97 0.98 0.99 0.99 0.98

진로 계획

의사결정 능력 M 4.77 4.85 4.69 4.67 4.83 4.83 4.70 SD 1.32 1.35 1.29 1.36 1.29 1.33 1.30 생애 역할간 조정 M 4.70 4.74 4.66 4.60 4.76 4.74 4.66 SD 1.17 1.19 1.14 1.17 1.16 1.18 1.15 성 역할 변화 이해2 ) M 4.55 4.41 4.67 4.40 4.64 4.60 4.49 SD 1.22 1.34 1.10 1.22 1.22 1.25 1.20 진로 전환 대처 능력 M 4.56 4.65 4.48 4.49 4.60 4.54 4.58 SD 1.24 1.24 1.23 1.28 1.21 1.27 1.20 종합 M 4.64 4.66 4.62 4.54 4.71 4.68 4.61 SD 0.94 0.95 0.93 0.95 0.92 0.94 0.94 주1) 학년별 두 집단간의 차이가 유의함(t-test, p<.05)

주2) 성별 두 집단간의 차이가 유의함(t-test, p<.05)

답변: ① 전혀 그렇지 않다 ② 상당히 그렇지 않다 ③ 약간 그렇지 않다

④ 중간이다 ⑤ 약간 그렇다 ⑥ 상당히 그렇다 ⑦ 매우 그렇다

대학생의 진로개발역량을 계열과 지역별로 비교해보면 다음 <표 Ⅲ-7>과 같았다. 계열

별 평균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ANOVA 분석을 실시한 결과, 효과적인 구직활동 능력 , 사회 변화에 따른 직업 변화 인식 , 성 역할 변화 이해 등의 영역에서 집단간 유 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지역별 비교를 위하여 t-test 분석을 한 결과, 수도권과 비수도권 학생들간에는 진로개발역량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표 Ⅲ- 7> 진로개발 역량(계열별, 지역별)

구 분 전체

(n=962)

계열 지역

인문사회 (n=247)

자연계 (n=455)

예체능 (n=29)

사범계 (n=231)

수도 (n=513)

비수도권 (n=449)

자아 인식

긍정적 자아개념 유지 M 5.04 5.08 5.03 5.24 5.01 5.17 4.90 SD 1.26 1.22 1.28 1.38 1.25 1.23 1.28 대인간 효과적 행동1 ) M 4.57 4.51 4.67 4.59 4.44 4.59 4.54 SD 1.20 1.14 1.22 1.24 1.20 1.20 1.20 성장과 변화 이해 M 4.94 4.96 5.00 4.93 4.82 4.97 4.91 SD 1.14 1.16 1.13 1.10 1.15 1.14 1.15 종합 M 4.85 4.85 4.90 4.92 4.76 4.91 4.78 SD 0.98 0.97 0.99 1.02 0.97 0.98 0.98

학업 및 직업 탐색

교육/ 훈련 탐색 M 4.23 4.30 4.18 4.28 4.25 4.36 4.08 SD 1.35 1.37 1.31 1.36 1.40 1.36 1.32 직장 평생학습을 통한 진

로개발

M 5.15 5.19 5.11 5.14 5.19 5.23 5.06 SD 1.17 1.18 1.15 1.36 1.16 1.16 1.16 각종 진로정보 수집 평가 M 4.66 4.73 4.65 4.55 4.59 4.72 4.58 SD 1.23 1.14 1.22 1.53 1.29 1.25 1.19 효과적인 구직활동 능력2 ) M 4.10 4.23 4.15 4.55 3.83 4.07 4.14 SD 1.34 1.31 1.33 1.50 1.33 1.39 1.28 사회 변화에 따른 직업 변화

인식2 )

M 4.23 4.33 4.26 4.59 4.00 4.23 4.22 SD 1.25 1.24 1.25 1.21 1.23 1.27 1.23 종합3 ) M 4.47 4.56 4.47 4.62 4.37 4.52 4.41 SD 0.99 0.99 0.97 1.14 1.01 1.02 0.95

진로 계획

의사결정 능력 M 4.77 4.76 4.72 5.21 4.81 4.74 4.80 SD 1.32 1.27 1.32 1.32 1.35 1.34 1.29 생애 역할간 조정 M 4.70 4.64 4.71 4.79 4.72 4.70 4.70 SD 1.17 1.17 1.15 1.24 1.19 1.15 1.19 성 역할 변화 이해1 ) M 4.55 4.61 4.45 4.62 4.66 4.60 4.49 SD 1.22 1.22 1.24 1.35 1.18 1.22 1.22 진로 전환 대처 능력 M 4.56 4.49 4.62 4.76 4.46 4.58 4.53 SD 1.24 1.29 1.22 1.21 1.20 1.27 1.19 종합 M 4.64 4.63 4.63 4.84 4.66 4.65 4.63 SD 0.94 0.96 0.93 1.03 0.93 0.95 0.93 주1) 자연계와 사범계에서 집단간 차이가 유의함(p <.05, LSD 방식)

주2) 사범계와 인문사회계, 자연계, 예체능계에서 집단간 차이가 유의미함(p<.05, LSD 방식) 주3) 사범계와 인문사회계에서 집단간 차이가 유의함(p <.05, LSD 방식)

답변: ① 전혀 그렇지 않다 ② 상당히 그렇지 않다 ③ 약간 그렇지 않다

④ 중간이다 ⑤ 약간 그렇다 ⑥ 상당히 그렇다 ⑦ 매우 그렇다

1 ) 학업 및 직업탐색 역량 부족

진로개발역량을 자아인식 과 학업 및 직업탐색 , 진로계획 의 세 영역22) 으로 구분하여 설문하였다. 대학생들의 각 영역별 역량을 살펴보면 자아인 식 에서 4.85, 학업 및 직업탐색 에서 4.47, 진로계획 에서 4.64의 값을 나타 내 세 영역이 전반적으로 중간값 이상의 평균을 보였으나, 학업 및 직업탐 색 역량이 다른 두 영역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학업 및 직업탐색 영역에 서도 졸업 후 자기개발을 도모할 수 있는 역량(5.15)이 가장 높게 나타난 반 면, 효과적인 구직활동을 위한 준비역량(4.10)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학생들이 자신의 학업과 직업 을 위 하여 구체적인 준비와 활동을 시작할 때, 무엇을 준비하여야 하는지 모르고 있으며, 학교에서 가장 많은 서비스로 제공되고 있는 이력서 작성, 면접 대 처요령, 직업정보탐색 능력 등의 구직활동지원 서비스가 여전히 미흡함을 엿 볼 수 있다.

2 ) 저학년에 비해 높은 고학년의 진로개발역량

진로개발역량을 학년별로 비교하기 위하여 학년구성을 1,2학년은 저학년으 로, 3,4학년은 고학년으로 재구성하였다. 저학년과 고학년의 진로개발역량간 에서는 고학년이 저학년보다 전 영역에서 높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었다. 특 히, 학업 및 직업탐색 영역에서 각종 정보를 수집・평가하여 진로목표 달성 에 활용하는 역량과 사회변화에 따른 직업세계의 변화를 인식하고 준비하는 역량에서 유의미한 차이값을 보여주었다. 이는 취업을 준비하고 실제적으로 사회로 나가기 위하여 직업세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자신의 진로에 대 하여 더 많은 고민을 하게 된다는 의미로 해석되며, 그에 따라 진로개발 역 량값도 높게 나타나고 있다.

22 본 설문지 도구의 진로개발역량 문항은 미국의 NCDG(National Career Development Guidline)의 자기지식(Sefl-kn owledge), 교육과 직업탐색(Education & Occupational

Exploration), 그리고 진로계획(Career Planning) 3단계에 기초한 지표를 우리나라 대학생의 진 로활동에 적합하도록 개발된 문항들로, Pilot-test결과 총 .8112의 신뢰도를 보였다.

3 ) 진로계획에서 남학생들의 성 역할 변화 대처역량 부족

진로계획에서 성 역할 변화에 대한 이해 부분의 역량에 성별 차이가 검 증되었다. 남학생(4.41)이 여학생(4.61)보다 낮은 성 역할 변화에 대한 이해 역량을 보이고 있어 21세기 직업세계에서 전통적인 성 역할이 변화하고 있 음을 강조하고, 그에 따른 남학생 진로계획이 수립될 수 있도록 진로지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