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빅데이터를 활용한 인터넷 중독사업 성과평가 및 위험요인 예측

2) 다층모형 분석

기초모형(Unconditional Model)은 연구가설 1을 검증하는 과정으로 설명변수(독립변수)를 투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인터넷중독 조사대상자의 인터넷중독 여부에 대한 지역 간 분산을 분석함으로써 이후 모형에서 다 른 독립변수들의 설명력을 살펴보게 된다. 즉, 기초모형은 다층분석을 통 해 개인별 인터넷중독 여부가 지역 간 차이가 있는 지를 검증하는 것이 다. <표 3-1>과 <표 3-2>의 Model 1에서 고정효과(Fixed Effect)를 살 펴보면 전체 지역의 인터넷중독 조사대상자의 인터넷중독 로그승산의 평 균값에 대한 추정치는 2011년이 -2.58, 2012년이 -2.59로 이는 한 지 역의 인터넷중독 조사대상자의 인터넷중독 확률이 2011년은 1/(1+exp(2.58)) ≃ .07, 2012년은 1/(1+exp(2.59)) ≃ .069 임을 의

미하여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하였다(p<.001). 기초모형의 무선효과 (Random Effect)를 살펴보면 지역별 인터넷중독 조사대상자의 인터넷 중독 여부의 차이를 나타내는 2수준 분산()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 며(2011년 =33.36 p<.001, 2012년 =47.87 p<.001), 인터넷중독 의 로그승산에 있어서 지역별로 변량이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동 일한 수준에 속한 하위수준간의 유사성을 보여주는 집단내 상관계수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를 통해 인터넷중독 여부의 지역별 분산비율을 계산해 보면 2011년 0.009(0.03×(0.03+3.29)), 2012 년 0.012(0.04×(0.04+3.29))으로 개인의 인터넷중독 여부에 대한 총 분산 중 지역 수준의 분산이 차지하는 비율이 약 0.9%와 1.2%로 적었다. ICC 는 0.05이상이면 지역 간 변이가 있다고 보며, ICC가 0.05보다 작더라도 지역 간 변이에 대한 경험적 연구결과들이 있을 경우 다수준 분석을 실시 할 수 있다(Heck & Thomas, 2009)14). 기초모형 분석결과 인터넷중독 조사대상자의 인터넷중독은 지역 간 차이가 유의미하게 발생하고 있으므 로 지역변수를 투입하여 다층모형 분석을 실시하는 것이 타당함이 입증 되었다. 무조건적 기울기 모형의 검증은 연구가설 2의 검증으로 개인별 요인들이 개인별 인터넷중독 여부에 대한 영향에 있어 지역 간 차이가 있 는가를 검증하는 것이다. 첫 번째 단계로 본 연구의 개인요인으로 설정된 변수인 성별, 성별, 스마트폰이용여부, 중독인지여부, 상담서비스 이용여 부, 예방교육 이용여부, 이용시간이 인터넷중독 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고 정효과를 통해 파악하였다. 그 다음 단계로 각 개인요인이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는 무선효과를 통해 분석하였다. 무조건적 기울기 모형의 검증결과는 <표 3-1>과 <표 3-2>의 Model 2와 같이 개인(Level 1)의 인

14) Heck, R., & Thomas, S. (2009) An introduction to multilevel modeling techniques(2nded). New York, NY: Routledge.

터넷중독 여부에 대한 고정효과를 분석한 결과 스마트폰 이용여부와 인 터넷 중독인지 여부를 제외한 모든 개인요인이 인터넷중독 여부에 영향 을 주었다. 성별(2011년: =0.020 p<.001, 2012년: =0.029 p<.001), 상담서비스 이용여부(2011년: =0.84 p<.001, 2012년: =0.80 p<.001), 예방교육 이용여부(2011년: =0.16 p<.05, 2012년: =0.50 p<.001), 이용시간(2011년: =0.11 p<.001, 2012년: =0.09 p<.001) 은 인터넷중독 여부의 로그승산에 정적(+)효과를 보였다. 각 변수가 지역 별 차이가 나는지에 대해 무선효과 검증을 실시한 결과 스마트폰이용여 부, 중독인지여부, 상담서비스 이용여부, 인터넷 이용시간의 적합도가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무선효과 검증 결과 유의미성이 있다는 것은 개인 수준의 변수들이 인터넷중독 여부에 미치는 영향에 있 어 지역 간 차이가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지역요인의 투입을 필요로 함 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무선효과 검증에서 유의미 하지 않았던 개인특성 변수(성별, 예방교육 이용여부)는 조건적 모형 검증에서 고정미지수로 묶 어서 분석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조건 기울기 모형에서의 인 터넷중독 여부의 지역 간 차이(ICC)는 2011년 .0247, 2012년 0.078로 나타났다. 조건적 모형의 검증은 연구가설 3의 개인요인과 지역요인이 인터넷중독 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즉, 앞서 무조건적 기울기 모델에서 지역별 변수를 투입할 수 있는 개인요인 변수(스마트폰 이용여부, 중독인지여부, 상담서비스 이용여부, 인터넷 이용시간)와 고정 미지수로 묶어야 하는 개인요인 변수(성별, 예방교육 이용여부)을 동시에 투입하는 연구모형을 검증한다. 인터넷중독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을 개인 요인과 지역 요인을 동시에 고려하였을 때의 영향력 검증결과는

<표 3-1>과 <표 3-2>의 Model 3과 같다. 조건적 모델에서 인터넷중독 여부에 대한 고정효과를 분석한 결과 수준 1인 개인요인 변수는 무조건

적 기울기 모형의 검증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는 연도별 예산과

Fixed effect Coef. Odds

ratio Coef. Odds

스마트폰이용 0.14 17.90* 0.11 17.25* 010 17.26*

중독인지 0.06 25.39*** 0.06 24.85*** 0.06 25.02***

상담이용 3.12 21.66** 2.65 22.80** 2.59 22.69**

예방교육이용 0.06 11.37

이용시간 0.00 21.77** 0.00 21.86** 0.00 21.93**

ICC 0.009 0.247 0.259 0.244

*** p<0.001, ** p<0.05 * p<0.1

〈표 3-2〉 인터넷 중독 다층분석 (2012년)

Fixed effect Coef. Odds ratio Coef. Odds ratio Coef. Odds ratio Coef. Odds ratio

Level

스마트폰이용 0.09 29.46*** 0.11 31.07*** 0.12 31.27***

중독인지 0.02 23.52** 0.02 23.24* 0.02 23.15*

상담이용 0.21 13.86

예방교육이용 0.22 38.25*** 0.20 38.59*** 0.20 38.82***

이용시간 0.00 12.20

ICC 0.012 0.078 0.065 0.060

*** p<0.001, ** p<0.05 * p<0.1

인터넷의 사용용도가 게임, 오락, 정보검색, 전자우편, 채팅, 쇼핑 등으로 다양하게 있듯이 인터넷 중독의 유형도 다양하게 나누어진다(남영옥, 이 상준, 2005)16). Young(1998)17)은 인터넷 중독의 하위유형을 사이버섹 스 중독, 사이버관계 중독, 인터넷 강박증, 정보중독, 컴퓨터중독 등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조아미(2000)는 통신중독, 게임중독, 음란물중독으로 구분하고 있다. 특히 청소년에게 가장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대표 적인 중독으로는 게임중독, 채팅중독, 인터넷 섹스중독으로 보고하고 있 다(조아미, 2000; 남영옥 & 이상준, 2005). 본 연구는 전국 단위로 조사 된 인터넷 중독 실태조사(2011년, 2012년)을 활용하여 인터넷 중독에 영 향을 미치는 하위유형을 살펴보고 인터넷 중독 유형의 재정투입에 대한 우선순위를 제시하고자 한다.

1) 분석모형

본 분석의 목적은 일상적인 인터넷 사용정도를 이용하여 인터넷 중독 에 영향을 미치는 하위유형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인터넷 유형별 사용정도가 인터넷중독 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그림 3-2〕와 같이 다중집 단(청소년, 성인) 구조모형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15) 조아미(2000). 청소년의 인터넷 이용 및 중독관련 문제점 및 대책. 청소년정책연구, 2:152-179.

16) 남영옥, 이상준(2005). 청소년 인터넷 중독유형에 따른 위험요인 및 보호요인과 정신건 강 비교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7(3):195-222.

17) Young, K. S(1996). Internet addition: the emergence of a new clinical disorder. Cyberpsychol. Behav. 1(3): 237-244.

〔그림 3-2〕 분석모형(다중집단 구조모형)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