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다중고장사고 대비 심층방어 능력 강화

문서에서 원자력 안전연구 기술수목 보고서 (페이지 120-123)

기술의 정의

원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사고(다중사고 및 극한재해 포함)를 도출하 고, 이들에 대해 체계적/종합적으로 심층방어 능력을 강화함으로써, 대량 방 사성 물질을 누출을 원천적으로 방지

국내 기술개발 수준 및 현황

다중고장사고 대처기술 개발 과제에서 결정론적/확률론적(DSA/PSA) 기법을 이용하여 국내 원전의 다중고장사고 경위를 도출하고, 이에 대해 심층방어 능력을 강화하는 연구를 시범적으로 수행함.

EU-APR1400 설계에서 핀란드 규제요건의 DEC 대처 방안을 검토한 바 있음.

국외 기술개발 수준 및 현황

최근 IAEA에서 DEC 개념이 도입되었음. 핀란드에서 DEC가 법제화되어, 신 규원전에 대해 DEC가 적용되고 있음.

세계적으로 DEC가 도입되는 단계에 있으나, 아직까지는 개념 도입단계라고 할 수 있음.

미래동향 예측

방사성 물질의 대량 누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신규원전에 대해 다중고 장사고의 적용이 당연시되고 있으며, 운영 중인 원전으로도 확장될 것으로 예상됨.

기존원전의 경우에는 노형별 설계에 따라 심층방어 전략이 다르기 때문에, 노형별로 다중고장사고 대비 심층방어의 최적화 연구가 필요함.

기술개발 수행체계

종합적, 체계적으로 다중고장사고 대비 심층방어 능력 강화 전략의 도출이 필요함.

- 특정 사건에 대한 대처 전략을 수립하는 것보다는 모든 사건에 대해 종합적으로 대처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비용 측면에서 효과적임.

- 심층방어 능력 강화는 설비 개선 방안, 절차서를 개선하는 소프트웨어적 방법, 또 는 피동안전계통을 이용한 방법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음.

대량 방사성 물질을 누출을 실질적으로 방지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수 반될 수 있으므로, 심층방어를 효과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단계적으로 연구 를 수행하는 것이 필요함.

- 1단계(5년) 시범 원전 대상으로, 모든 노형에 적용될 수 있는 공통 기술 개발 - 2단계(5년) 노형별 심층방어 최적화 기술 개발

- 3단계(5년) 노형별 개선 방안

세부기술의 구성 및 주요 내용

항목 주요 내용 개발대상 핵심 요소기술

Ÿ 중대사고 방지 취약점 도출을 위한 PSA 종합 평가

Ÿ 모든 사건에 대해 PSA 분석을 수행하여, 종합적으로 취약점을 도출

Ÿ Level 1 PSA 및 Level 2 PSA 통합 분석, 외부 재해 PSA 통합 분석을 통한 종합적인 취약점 도출 Ÿ DSA/PSA 종합적

국내원전 DEC 사건 도출

Ÿ 결정론적 및 PSA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노형별 DEC 사건 도출

Ÿ 기존 DEC 연구의 노형별 적용

Ÿ 심층방어 취약점 도출

Ÿ 결정론적 방법, PSA 방법, 전문가 의견 등을 종합하여 DEC 대비 심층방어 취약점을 도출

Ÿ 종합적으로 심층방어 강화를 위한 핵심 인자 도출

Ÿ 심층방어 능력강화 전략 수립

Ÿ 결정론적 방법, PSA 방법, 전문가 의견 등을 종합하여 심층방어 강화 전략 수립

Ÿ 종합적/체계적/효과적인 심층방어 강화 전략 개발

1.3.6 사고대응 인적 수행도 향상 가. 기술 개요

이슈 및 문제점

원전 안전성 측면에서, 인적요인은 전체 노심손상빈도 (CDF; Core Damage Frequency)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항목임.

- 원전 안전성 향상 기술 NEA (Nuclear Energy Agency) 분석에 따르면, 인적오류로 인한 노심손상빈도의 영향이 많게는 약 80%까지 차지하는 것으로 밝혀짐.

고장·정비를 위한 예방정비 뿐 아니라 예상하지 못한 원인으로 인해 원전 정지가 발생할 경우 주제어실 운전원은 비상운전절차서 (EOP, Emergency Operating Procedure)를 따라 원전을 안전정지상태로 진입시켜야 함.

특히 후쿠시마 사고 이후, 보다 효과적인 사고 대응을 통한 원전 안전성 향 상을 위해 다양한 종류의 이동형 펌프나 발전기를 설치하고 있음.

기술개발 필요성

최근 개정된 원자력안전법에 따르면, 모든 가동 및 건설 원전은 다양한 사고 발생 시 충분한 사고관리 전략 및 관리능력이 있음을 보이기 위한 사고관리 계획서를 의무적으로 제출해야함.

이를 위해, PSA 기법 등을 활용한 상세 리스크 평가를 통해 사고관리 전략 및 관리능력의 효용성을 객관적으로 보일 것을 요구함. 이러한 측면에서, 사 고 대응을 위한 비상운전절차서의 개발 및 효과적 수행을 지원하기 위한 기 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Ÿ 설비 개선 방안 Ÿ 노형별 심층방어 강화를 위한 설비 개선 방안

Ÿ 특정 설비별 실질적/비용 효과적 개선 방안 평가 Ÿ 절차서 개선 방안 Ÿ 노형별 심층방어 강화를 위한 절차서

개선 방안

Ÿ 종합적/체계적인

EOP/SAMG/EDMG 개선 방안 연구

Ÿ Inherent Safety 향상 방안

Ÿ 신규 원전의 경우, 기존 안전 기능을 완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피동계통을 연구

Ÿ 기존 원전의 경우에는 기존 안전 기능을 보완할 수 있는 피동 기능의 도입을 통해, 심층방어 지속 시간을 연장하는 방법이 효과적임

Ÿ 기존 안전 기능을 보완할 수 있는 효과적인 피동 기능 개발

또한 최근 건설되는 원전에 설치되는 디지털 주제어실은 기존 주제실과 다 른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디지털 주제어실에 근무하는 운전원의 효과 적인 사고 대응을 지원하기 위한 기술과 새롭게 도입된 이동형 기기를 포함 한 최적 사고 대응전략을 지원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필요함.

나. 세부기술내용

문서에서 원자력 안전연구 기술수목 보고서 (페이지 12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