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업의 다원적 기능 중요도 인식

2. Ordered-response Probit 모형을 이용한 통계검정

2.2. 검정 결과

2.2.1. 농업의 다원적 기능 중요도 인식

가. 식량안보 기능 중요도 인식에 대한 개인 특성 분석

농업의 다원적 기능중 식량안보 기능의 중요도 인식에 대한 OPM 적용결과, 6개의 독립변수 중 성별, 나이, 학력, 월평균 수입 등 4개 의 변수가 유의수준 5%와 10% 범위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검정 치를 나타내었으나, 농촌경험 유무와 가족의 농사 종사 유무등 2개 의 독립변수는 종속변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 석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성별에 대한 계측치는 -0.1468로 나 타났는데, 이는 여성이 식량안보 기능에 대한 중요도 인식이 남성에 비해 낮다는 점을 보여 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나이에 대한 추정된 계측치는 0.1231로 나타나 나이가 많을수록 식량안보 기능에 대한 중요도 인식이 높아지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학력에 대한 추 정된 계측치는 0.0862로 학력이 높을수록 식량안보에 대한 중요도 인식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평균 수입에 대한 추정된 계측치는 -7.08E-8로 월평균수입이 높 을수록 식량안보에 대한 중요도 인식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식량안보기능에 대한 도시민들의 중요도 인식은, 남성이 여성 보다, 나이가 많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월평균 수입이 낮을수록 높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같은 결과는 앞서 제3장에서 단순통계로 제시된 결과 및 교차 분석 결과와도 일치하는 것이다. 다만, 남성이 여성보다 중요도 인

표 4-2. 식량안보 기능 중요도 인식 OPM 적용 결과

주: 분석에 사용한 OPM 적합성 평가를 위해 우도비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한 결과 검정통계량 값은 19.5287이고, 연관된 p-값이 0.0034로 귀무가설을 강 하게 기각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 * p < 0.10, ** p < 0.05 )

Analysis of Maximum Likelihood Estimates

Parameter DF Estimate Pr > ChiSq

성별 1 -0.1468 0.0534 *

나이 1 0.1231 0.0143 **

농촌경험유무 1 0.1069 0.2021

가족농사종사유무 1 0.1077 0.2147

학력 1 0.0862 0.0598 *

월평균수입 1 -7.08E-8 0.0617 *

식이 높게 나타난 것은 본 연구 전반의 계층간 인식과 차이를 보이 고 있는 점이라고 할 수 있으나 이는 ‘식량 안보’라는 특정 사안에 대한 인식결과로써 한정해 이해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나. 국토의 균형발전 중요도 인식에 대한 개인 특성 분석

‘국토의 균형발전’ 기능에 대한 중요도 인식에서는 독립변수들이 종속변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 고용창출 효과 중요도 인식에 대한 개인 특성 분석

고용창출 효과 중요도 인식은, 6개의 독립변수 중 성별과 나이, 월평균 수입 등 3개 변수가 유의수준 각 5%, 10% 범위에서 통계적 으로 유의한 검정치를 나타내었다.

성별에 대해 추정된 계측치는 0.3087로 여성이 남성보다 고용창출 효과의 중요성에 대해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이에 대 해 추정된 계측치는 0.0928로 나이가 많을수록 고용창출 효과의 중 요성에 대해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평균 수입에 대해 추정된 계측치는 -8.14E-8로 월평균 수입이 높을수록 고용창출 효과에 대한 중요도 인식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 었다. 즉, 고용창출 효과에 대한 도시민들의 중요도 인식은, 여성이 남성보다, 나이가 많을수록, 월평균 수입이 낮을수록 높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라. 환경 및 생태계 보전 중요도 인식에 대한 개인 특성 분석 환경 및 생태계 보전 중요도 인식은 6개의 독립변수 중 성별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검정치를 나타냈는데, 성별에 대한 추정된 계측 치는 0.1968로 여성이 남성보다 ‘환경 및 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에 대해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 사회, 문화적 공익기능 중요도 인식에 대한 개인 특성 분석 사회, 문화적 공익기능 중요도 인식은, 6개의 독립변수 중 성별과 가족 중 농사 종사 유무 등 2개 변수가 유의수준 각 5%와 10% 범위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검정치를 나타냈다. 성별에 대해 추정된 계 측치는 0.1514로 여성이 남성보다 ‘사회․문화적 공익기능’의 중요 성에 대해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가족농사종사유 무에 대해 추정된 계측치는 0.2778로 가족 중 농업에 종사하는 사람 이 있는 사람일수록 ‘사회․문화적 공익기능’의 중요성에 대해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 농촌 경관보전 기능 중요도 인식에 대한 개인 특성 분석 농촌 경관보전기능 중요도 인식은, 6개의 독립변수 중 성별, 나이, 가족의 농사종사유무 등 3개 변수가 유의수준 각 5%, 10% 범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검정치를 나타냈다. 성별에 대해 추정된 계측치는 0.1474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 ‘농촌경관보전’의 중요성에 대해 높게 생각하고 있으며, 나이에 대해 추정된 계측치는 0.0974로 나이가 많을 수록 ‘농촌경관보전’의 중요성에 대해 높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가족농업 종사유무에 대해 추정된 계측치는 0.1487로 가족 중 농업에 종사하는 사람이 있을수록 ‘농촌경관보전’의 중요성에 대 해 높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농촌 경관보전에 대한 중요도 인식은, 남성보다 여성이, 나이가 많을수록, 가족 중 농업에 종사하는 사람이 있을수록 높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