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업경영 및 농촌생활에 대한 의식 변화

○ 농업인에게 올해 농사 만족도 및 불만족 이유, 농사와 관련해 올해 가장 큰 관심사, 농업경영에 가장 큰 위협요소, 농업종사 직업 만족도 및 불만족 사 유, 현재 농촌 생활 만족도, 육체적 건강상태 및 관리정도 등을 조사하였음.

4.1. 농업인 30%, 2018년 한 해 농사 ‘만족’

○ 농업인을 대상으로 올해 농사에 어느 정도 만족하는지 물어본 결과, ‘만족 한다’ 30.0%, ‘불만족한다’ 30.9%로 올해 농사에 대한 만족, 불만족 의견이 비슷하게 나타났음.

- 연도별로는 올해 농사에 ‘불만족한다’는 응답은 점차 감소하고 있으며,

‘만족한다’와 ‘보통이다’는 증가하는 추세임. 특히, ‘만족한다’는 응답은 시설원예 35.8%, 축산 35.3%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구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매우 만족 5.3 1.6 2.1 3.2 6.4 5.3 7.9 2.4 3.3 3.1

약간 만족 23.8 12.7 22.9 20.1 26.6 28 27.3 17.4 21.6 26.9

만족(소계) 29.1 14.3 25.0 23.3 33.0 33.3 35.2 19.8 24.9 30.0

그저 그렇다 27.3 31 33.3 40.2 32.2 31.1 28.5 28.6 34.7 38.4

약간 불만 28.6 30 27.9 22.2 23.5 23.9 22.7 29.1 27.0 25.3

매우 불만 14.6 24.3 12.9 14.2 10.7 11.1 12.5 21.7 12.1 5.6

불만(소계) 43.2 54.3 40.8 36.4 34.2 35.0 35.2 50.7 39.1 30.9

무응답/모름 0.4 0.4 0.9 0.2 0.5 0.7 1.1 0.8 1.3 0.7

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표 2-13> 올해 농사 만족도

단위: %

29.1

14.3

25.0 23.3

33.0 33.3 35.2

19.8

24.9

30.0

0.0 10.0 20.0 30.0 40.0 50.0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그림 2-45> 올해 농사 만족도(연도별)

단위: %

○ 올해 농사에 불만족하는 응답자(n=398)를 대상으로 그 이유를 질문한 결과,

‘농자재 값 상승 등 농사여건이 나빠졌다’는 응답이 39.9%로 가장 많았음.

다음으로 ‘농산물 수입 증가로 가격 경쟁력이 저하됐다’ 31.4%, ‘정부의 관 심과 지원이 줄었다’ 11.1% 등의 순으로 응답되었음.

○ 기타 응답으로는 ‘기상이변, 자연재해로 인한 농작물 피해/수확량 감소’, ‘수 확량 감소’ 등의 의견이 제시되었음.

<그림 2-46> 올해 농사 불만족 사유

단위: %

4.2. 올해 농사와 관련해 ‘가격, 인력, 유통’ 순으로 관심 많아

4.3. 농업경영 위협요소로 ‘일손 부족’, ‘생산비 증가’ 꼽아

○ 농업경영에 가장 큰 위협요소가 무엇인지 중복응답으로 받은 결과, ‘일손 부족’ 49.5%, ‘농업 생산비 증가’ 48.4%로 가장 많이 응답하였음. 다음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기상 이변과 재배여건 변화’ 23.1%, ‘가뭄, 홍수, 태풍 피 해’ 22.5%, ‘후계인력 부재’ 22.4%, ‘불합리한 유통 구조와 수급 불안정’

21.7%, ‘판로확보 어려움’ 21.1% 등의 순으로 나타났음.

○ 연도별로 ‘일손 부족’, ‘가뭄/홍수/태풍 피해’, ‘조수 피해’, ‘농업 생산비 증 가’, ‘농가부채 증가’, ‘기상 이변과 재배여건 변화’ 등은 2014년 이후 꾸준 히 증가하고 있음.

- 반면, ‘불합리한 유통 구조와 수급 불안정’, ‘판로확보 어려움’, ‘농업정책 오류’, ‘영농자금 압박’ 등은 감소 추세임.

구분 2014 2015 2016 2017 2018

글로벌 시장 경쟁 심화(FTA 등 개방 확대) 51.5 52.1 34.8 43.2 12.9

농업 생산비 증가 43.4 42.1 39.4 41.5 48.4

영농자금 압박 5.0 5.4 5.7 4.9 5.1

농업정책 오류 18.0 15.9 14.9 17.9 15.8

일손 부족 39.5 41.6 42.8 49.0 49.5

판로확보 어려움 23.3 28.5 28.9 22.9 21.1

농지부족 1.6 1.0 1.7 1.7 3.5

농가부채 증가 17.6 12.1 11.9 12.0 14.5

후계인력 부재 14.9 15.6 13.6 19.0 22.4

구제역 등 가축질병 2.5 2.3 1.7 3.4 3.7

가뭄/홍수/태풍 피해 5.6 8.9 12.3 10.8 22.5

농업에 대한 정부지원 감소 16.5 16.2 14.0 13.8 13.9

불합리한 유통 구조와 수급 불안정 35.8 31.4 23.9 25.9 21.7

기상 이변과 재배여건 변화 10.3 17.2 27.2 20.3 23.1

조수 피해 4.6 4.4 6.2 6.6 9.6

기타 2.6 1.7 6.5 3.2 3.3

<표 2-14> 농업경영 위협 요소 인식(중복응답)

단위: %

4.4. 농업인 직업만족도 전년보다 개선, ‘낮은 보수’ 불만 커

19.9 20.5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전반적 만족 정도 영농에 대한 만족 정도 수입에 대한 만족 정도

-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표 2-16> 농업종사 직업 불만족 사유

단위: %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8년 2009년 2011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소득보장 미흡 장래 불안함 정부의 관심과 지원 부족

육체적으로 힘듦 일반국민의 좋지 않은 인식 기타(무응답 포함)

<그림 2-49> 농업종사 직업 불만족 사유(연도별)

단위: %

※ 추세 파악을 위해 각각의 비율(%) 순서는 제외하였음.

4.5. 농업인 40% 농촌 생활에 만족하나, 건강관리는 소홀

○ 농업인을 대상으로 농촌 생활에 어느 정도 만족하는지 물어본 결과, ‘만족 한다’가 38.7%로 ‘불만족한다’는 18.5%에 비해 약 2배 정도 높게 나타났음.

한편, ‘보통이다’는 41.5%였음.

- 계층별로는 연평균 소득 2천만 원 이상, 월평균 생활비 200만 원 이상 응답자에서 농촌 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 연도별로는 농촌 생활에 ‘불만족한다’는 의견은 점차 감소하고 있으며,

‘만족한다’와 ‘그저 그렇다’는 의견은 증가하는 추세로 조사됨.

구분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매우 만족 0.8 0.8 1.5 1.2 2.5 3.2 3.2 2.5 3.7 3.2 4.5 6.7 8.6 4.7 8.2 5.3 약간 만족 9.9 10.1 8.0 15.3 15.3 19.5 22.4 20.8 21.9 29.3 26.8 37.1 28.8 24.4 32.5 33.4 만족(소계) 10.7 10.9 9.5 16.5 17.8 22.7 25.6 23.3 25.6 32.5 31.3 43.8 37.4 29.1 40.7 38.7 그저 그렇다 37.2 40.2 32.4 40.6 40.0 39.9 38.2 38.4 42.2 34.0 38.2 36.1 39.9 39.5 35.3 41.5 약간 불만 34.4 32.9 34.1 31.7 29.8 24.3 26.4 28.3 24.4 27.4 24.3 15.5 17.8 23.9 16.5 16.3 매우 불만 17.7 15.9 24.0 10.2 11.9 12.5 8.3 9.9 7.3 6.0 4.9 3.3 3.2 6.9 4.6 2.2 불만(소계) 52.1 48.8 58.1 41.9 41.7 36.8 34.7 38.2 31.7 33.4 29.2 18.8 21.0 30.8 21.1 18.5 모름/무응답 - - - 1.1 0.6 0.6 1.6 0.1 0.5 0.2 1.3 1.2 1.7 0.6 3.0 1.3

<표 2-17> 농촌 생활 만족도

단위: %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 육체적 건강상태가 나쁘다는 응답자(n=432)를 대상으로 적절한 건강 관리 를 하고 있는지 물어본 결과, ‘관리를 못하고 있다’가 55.1%로 ‘잘 관리하고 있다’는 22.0% 보다 2배 이상 높게 나타났음.

- 계층별로는 산간지대, 60세 미만의 연령층에서 ‘관리를 못하고 있다’는 응답이 상대적으로 높게 조사됨.

- 연도별로는 2014년과 비교해 ‘관리를 못하고 있다’(전혀, 대체로 포함)는 의견이 17.7%p 상승한 반면, ‘보통이다’와 ‘잘 관리하고 있다’(매우, 대 체로 포함)는 의견은 소폭 감소함.

4.3

33.1 31.8

23.3

6.7 3.3

48.4

22.9 20.8

1.2 0.0

20.0 40.0 60.0

전혀 관리를 못하고 있다

대체로 관리를 못하고 있는 편

보통이다 대체로 잘 관리하고

있는 편

매우 잘 관리하고 있다 2014년 2018년

<그림 2-52> 적절한 건강 관리 여부

단위: %

농정에 대한 건의 및 제안 6

○ 소비자와 생산자 입장에서 농업 농촌 문제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파악 하기 위해 도시민과 농업인이 바라는 농업 농촌에 대한 기대와 의견을 자유 롭게 기술한 것을 취합, 구분하여 정리하였음.

○ 농업정책에 대한 각계의 의견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제기되어 높은 관심을 보였으며, 최근의 농정현안에 대한 의견도 다양한 각도에서 제시되 었음.

1. 정책 건의를 통해 본 농업 농촌에 대한 기대

○ 도시민은 ‘농산물 유통, 가격’에 대한 주문이 377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농 업인은 ‘농업정책’이 225건으로 가장 많은 의견을 제시하였음.

6 도시민과 농업인이 바라는 농업 농촌에 대한 기대와 의견에 대해 3장에서는 요약 정리한 내용만 제시함. 전문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미래정책연구실에서 작성하 였음.

- 도시민은 유통구조 개선을 통한 농산물 가격 안정화 등을 제시하였으며, 농업인은 일관성 있는 정책 추진, 농업에 대한 관심과 지원 등을 요구함.

○ 도시민은 정책건의 중 ‘농산물 안전성’에 대한 의견이 259건으로 두 번째로 많아 안전한 농산물 생산 및 공급 필요와 관리감독 강화, 농약사용 자제 및 유기농산물 확대 등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음.

○ 도시민들은 ‘귀농·귀촌’ 120건, ‘농촌인력, 후계인력’ 118건, ‘농촌 지역개 발, 복지’ 83건 등에도 높은 관심을 보였음.

○ 농업인들도 ‘농산물 유통, 가격’ 177건에 대해 많은 의견을 제시했는데 농산 물 가격 안정, 산지와 소비자 간의 가격 격차 최소화 등의 의견을 집중적으 로 제시하였으며, ‘농촌인력, 후계인력’ 130건에 대한 의견으로 후계 인력 양성, 농촌 고령화 및 인구감소 문제 해결책 마련 등을 제안하였음.

○ 이 밖에도 ‘귀농·귀촌’ 95건, ‘농산물 안전성’ 71건, ‘영농자금, 농가부채’와

‘농지’ 57건 등에 대해서도 많은 의견을 제시하였음.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