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업개발정책 및 전략

문서에서 세계농업 (페이지 71-80)

2019년

2. 농업개발정책 및 전략

2.1. ‘

기아제로 도전 실행계획

기아제로 도전 실행계획

(Zero Hunger Challenge Action Plan 2016~2025, ZHCAP)’

2016

년부터

2025

년까지 기아 종식과 식량안보 달성 및 영양 상태를 개선하는데 목표를 둔다

.

네팔은 국가 헌법에

식량권

(Right to Food)’

을 명기함으로써 식량주권을 인정하는 몇 안 되는 국가 중 하나이다

.

네팔은

4

명중

1

명이 빈곤선 아래에서 생활하고 있고

,

500

만 명의 인구가 영양실조 상태이다

(Ministry of Agricultural Development 2016: 1-5).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식량에 대한 접근성 향상 및 농업 생산량 증가를 강조한다

.

ZHCAP

의 세부 목표는 ▲ 농업분야의 성장 가속화를 위한 지속가능한 생산 과정 강화 ▲

빈곤층의 취업 및 소득창출 기회 확대 ▲ 국민의 식량 및 영양 안보 상황 개선 ▲ 기아

,

빈곤 및 영양실조로 고통 받는 빈곤층을 위한 사회보장시스템 개선 ▲ 기아 및 영양실조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한 식량거버넌스 및 서비스 개선 ▲ 식품안전 보장 등

6

가지이다

(Ministry of Agricultural Development 2016: 8-14, 14-21).

ZHCAP

의 전략적 우선지원 분야 및 이행전략은 다음

<

8>

과 같다

.

<표 8> 기아제로 도전 실행계획(ZHCAP)의 우선지원 분야 및 이행전략

우선지원 분야 이행전략

농업비즈니스 개발 - 관련기관, 협동조합, 농민연합의 제도적 지원을 통해 소농 및 무농토 농촌 빈민의 가치사슬 참여 확대

고용기회 확대

- 농업 가치사슬과 관련된 분야의 일자리 창출

- 비농업분야 직업훈련 지원을 통한 청년층 취업기회 확대를 통해 저숙련 된 해외취업 청년층 이주노동자 비율 감소

농업분야에 대한 청년층의 관심제고

- 영농을 위한 투입재 보조금 지원 - 영농기계화 인센티브

- 시장과 연계한 전후방 산업 개발

소농 및 무농토 생산자 지원 - 소농 및 무토 농민에 대한 고정계약을 통한 농지 지원

- 자영업활동 증진을 위한 대출, 종자, 비료, 관개용수 제도적 지원 마련

취약계층을 위한 사회 안전망

- 1년에 3개월 이상 식량난을 겪는 취약계층에 대한 사회 안전망 지원 규 정을 제안

- 현대적인 영농방식 도입 제도 마련 - 농작물 및 가축 보험 보조금 지원 - 영양가 있는 음식 섭취를 위한 요리법 훈련 식량 거버넌스 개선 - 식품 가격 결정 과정의 투명성

- 공공 서비스 제공의 책무성 강화

자료: Ministry of Agricultural Development(2016: 9-14)를 바탕으로 저자 재구성.

2.2. ‘

번영하는 네팔

,

행복한 네팔인

네팔 정부는

2019

년도 예산안 제출을 앞두고 향후

5

년간의 주요 경제정책 방향을 발표했 다

. ‘

번영하는 네팔

,

행복한 네팔인

(Prosperous Nepal, Happy Nepalese)’

라는 이름의 이 경제발전 비전이 제시한 주요 정책목표는

10%

이상의 경제 성장을 이룩하고

1

인당 국민소득

2,000

달러를 달성하여

2030

년까지 중진소득국가로 진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또한 농업

의 현대화 및 상업화를 추진하고 토지 사용의 효율화를 도모하여 농업생산성을

2

배로 증가 시키는 것이다

.

이 밖에도 네팔 근로자의 해외 송출 중단

,

수입기반 경제구조에서 생산

,

고용창출

,

수출 등의 산업기반 경제구조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10)

경제정책 방향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다섯 가지의 우선순위를 제시하였다

.

첫째

,

사회보장을 증진하고 낙후지역 및 소외계층의 지위를 향상시키며

,

빈곤을 종식함으로 써 복지국가를 건설하는 것

,

둘째

,

공공

·

민간

·

협동조합

(cooperative)

간의 파트너십

,

생산관 계

(production relations)

의 변화 및 생산역량 강화를 통해 국가의 자본을 마련하고 일자리

10)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2019: 8; 주 네팔 대한민국대사관 웹사이트(http://overseas.mofa.go.kr/np-ko/brd/

m_1720/list.do)(검색일: 2019.8.22.~30.)

(계속)

세부 목표 내용

농업의 상업화, 전문화, 현대화

- 국민의 식량권(right to food) 보호, 빈곤종식, 농민 소득수준 향상 및 국가 경제기반 공고화를 위한 농업의 상업화, 전문화, 현대화 추진

- 정부는 예산을 토지사용, 관개, 농촌 도로 및 전화 (electrification), 농산물 시장 및 저장 시설에 편성함. 또한 농업 투입재에 대한 보조금, 농업 사업을 위한 무상대출, 농업기계화를 위한 장려금 등 관련 프로그램 및 예산을 마련함.

총리주도 농업현대화사업(PMAMB)의 확대 및 재구조화

- PMAMB 확대 및 재구조화를 위해 71백만 달러의 예산을 편성함. - PMAMB 사업을 39개 지역(69ha)으로 확장하고, 콩과 메밀을 집중적으

로 생산하기 위한 지역의 타당성 조사를 실시 할 예정

지속가능한 자급자족

- 식량과 가축생산 증가를 통해 기본식품의 자급자족 촉진

- 계란 및 가금류의 자급자족 지속화, 우유, 생선, 육류, 신선한 채소를 위한 축 산, 어업 및 채소 영농의 증대

- 감자와 양파의 국내 생산 증대를 위한 특별 프로그램 시행

토지 개발

- 상업영농, 축산업, 약용식물 재배에 종사하는 농민을 대상으로 수입에 대한 세금 감면, 기술지원 및 보조금 등이 제공될 예정

- 평원지역의 농산물 수집, 공동경작, 계약재배를 장려하기 위한 토지개발 (Land Polling)실시 예정

토양품질 관리

- 화학비료 보조금(기계설치 포함) 39백만 달러 증대 - 지역단위의 이동 실험실을 통한 토양품질 테스트 지속 - 독성살충제 사용 규제 및 관리 예정

- 도시지역의 가정 생활쓰레기 관리를 통한 유기농 채소의 옥상농업 장려

농업대출 확대

- 양모, 면화, 실크의 경작 및 가공공장 설립을 위한 보조금이 지원됨. - 제도 개혁을 통한 소농은행(Small Farmer Bank)의 효과적인 농업대출 실

시 예정

- 중소규모 농업경영인의 무상대출 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정부는 8.7십 만 달러 지원 예정

- 사탕수수 재배 농민을 위한 보조금 제공(8만 달러)

과일묘목 생산 및 유통 프로그램 시행 확대

- 향후 5년 이내에 원예 면적을 두 배로 확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과일 묘목 생산 및 유통 프로그램 실시

- 고부가가치 현금작물 및 비수기 작물의 생산, 가공, 포장, 브랜딩을 통한 수 출 장려

창출과 소득을 증대하는 것

,

셋째

,

양질의 교육

,

보건

,

식수 등을 아우르는 사회기반 시설 개발

,

농업과 관광 등의 산업 분야에 경제적 인프라 마련

,

물리적으로 중요한 전략적 인프라 개발 및 진행 중인 프로젝트를 이행하는 것

,

넷째

,

법의 지배

(rule of raw)

강화

,

효과적인 공공서비스 제공

,

개발에 있어 사람들의 참여확대를 통해 시민이 인지할 수 있는

굿 거버넌 스

를 추진하는 것

,

마지막으로 자원과 기회를 최대한 활용하고 협동조합과 민간부문의 협력 및 연방

·

·

지역 간의 파트너십을 강조하였다

(MoF 2019a: 3).

이 가운데 정부가 추진하고자 하는 농업분야의 정책적 세부 목표는

<

9>

와 같다

.

<표 9> 네팔 정부의 농업분야 세부 추진 목표

세부 목표 내용

유기농업 장려

- 모든 지역(province)에 유기농가 모델 설립을 장려함. - 카르날리(Karnarli) 주와 구릉지역의 유기농작물 생산 확대

- 협동조합, 지역사회, 민간부문과 협력하여 액화 석유가스의 감축을 위한 대 규모 바이오 가스 공장 설립을 촉구

- 유기비료 생산을 위한 바이오 축분 사용 장려

- 유기농업분야에 네팔로 귀국한 해외이주 숙련 노동자들 고용장려

농산물 시장 인프라 구축

- 협동조합을 통한 농산물 도매 시장 관리 및 농산물 시장 인프라 구축을 위해 보조금이 마련됨

- 농민들에게 농업 정보 및 시장 가격에 대해 쉽게 알리기 위해 모바일앱 개발, 정보 기술의 개발 및 사용에 중점을 둘 예정

- 농민들이 정부 보조금으로 마련된 냉장시설을 사용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 할 예정

건강식품 캠페인

- 건강식품 풀뿌리 캠페인 시행

- 안전한 농약사용 권고, 식품 저장용량 증설, 소비식품의 품질 보장 - 모든 지역(province)에 식품품질검사 실험실 설립 예정

- 저 품질의 농산물 수입 통제

농업분야 전문가 확보

- 각 지역 단위의 농업분야 전문가(최소 1) 확보 - 농림연구소 인턴쉽 프로그램 마련

- 농업지식센터 역할 확대: 농축산 관련 기술 및 지식 제공을 위해 설립된 농 업지식센터는 농민들에게 즉각적이고 필요한 상담을 제공하기 위한 콜 센터 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예정

- 농업기술센터 및 농업대학의 농업연구 활동 장려

- 농업연구센터는 5(province) 및 극서부 지역에 설립될 예정

- 정기소작제(lease-hold farming), 농작물 수집, 계약재배, 협동조합 등의 분야에 종사하는 청년노동자를 위해 440만 달러 보조금 제공

자료: MoF(2019a: 11-13)를 바탕으로 저자 재구성.

2.3.

「농업개발전략

2015~2035

네팔 농업개발부

(Ministry of Agricultural Development, MoAD)

2015

년부터

2035

년까 지

20

년간 추진할 「농업개발전략

(Agriculture Development Strategy 2015~2035, ADS)

」을 수립하였다

(GON 2016a; 2016b). ADS

는 농업분야에 초점을 맞춘 가장 포괄적이고도 중요한 국가 전략이다

.

이 전략은

자립적이고 지속가능하며 경쟁력 있고 포용적인 농업을 통해 경제성장을 추동하고 생활을 개선하며 식량주권을 위한 식량과 영양안보 달성에 기여한다

는 비전을 제시하였다

(GON 2016a: 61).

이를 구성하는 요소별로 달성하여야 할 목표수준도 제시하였다

.

(계속)

<표 10> ADS 비전 달성을 위한 목표

비전 지표 현재(2015) 단기목표

(5) 중기목표

(10) 장기목표 (20)

자립 곡물자급률 16% 부족 부족률 0% 교역 후 잉여

0-5%

교역 후 잉여 0-5%

지속성

상시 관개율 25.2% 35% 60% 80%

토양 유기물 1.96% 3% 3.92% 4%

ha당 농지생산성 3,278달러 4,184달러 5,339달러 8,697달러

경쟁력 농업교역 적자 1,123

백만 달러 적자 1,073

백만 달러 적자 882

백만 달러 흑자 508 백만 달러 농산물 수출 225백만 달러 456백만 달러 814백만 달러 2,598백만 달러

포용성

여성/공동소유

농지면적 비율 16% 20% 30% 50%

농업서비스 프로그램 수혜농가비율

18.2% 22% 26% 32%

성장 농업GDP 성장률 2.23% 4% 5% 6%

생활수준 개선 농촌빈곤율 24.3% 19% 15% 9%

식량영양 안보 영양상태

(저발육 아동) 37.4% 29% 20% 8%

자료: GON(2016a: 64-67)에서 발췌하여 저자 재구성.

전략적으로는 거버넌스 강화

,

생산성 제고

,

수익성을 보장하는 상업화 추진

,

경쟁력 강화 등 네 가지를 핵심 과제로 설정하고 이와 동시에 사회적

,

지리적 포용성 증대

,

천연자원과 경제적 지속가능성 확대

,

민간부문과 협동조합 부문의 개발

,

시장 인프라와 정보 인프라

ICT,

전력 인프라 등과의 연계성 강화 등을 추구하는 것으로 하였다

.

이는 궁극적으로

식량 및 영양안보 달성

,

빈곤 감축

,

농업교역에서의 경쟁력 확보

,

소득제고와 형평성 증대

,

농민의 권리 확보 및 강화 등을 지향하게 된다

(GON 2016a: 4-5).

<그림 2> ADS의 구조

자료: GON(2016a: 71)을 바탕으로 저자 재구성.

네 가지 핵심 과제를 중기과제

(outcomes)

로 달성하기 위하여 이 계획은

35

개의 단기과제

(outputs)

232

개의 추진과제

(activities)

를 설정하였다

.

이들 과제들은 선도

(flagship),

핵심

(core)

의 두 부류로 구분하였는데

,

전자는 혁신적이고 다부문적 사업이라서 다수 기관들의

협력과 조정이 필요한 프로그램들을 가리키며

,

후자는 기존에 담당하고 있는 부처

,

기관들이 핵심적으로 추진할 성격의 프로그램들을 말한다

(GON 2016a: 9, 15).

<표 11> ADS의 선도과제와 핵심과제

번호 중기/단기과제 선도과제 핵심과제

거버넌스 강화

1.1 정책의 신뢰성 제고 √

1.2 ADS 집행을 위한 조정 기능의 개선 √

1.3 통합적 기획 √

1.4 효과적인 집행 지원 √

1.5 성평등과 사회, 지리적 포용을 위한 메커니즘 수립 √

1.6 적기에 효과적인 점검과 평가 √

1.7 시민사회의 참여를 위한 메커니즘 수립 √

1.8 ADS 조정과 집행에 관련이 있는 기관들의 역량 제고 √

1.9 혜택 받지 못한 집단의 식량 및 영양안보의 개선 √

1.10 성과에 대한 보상 체계 구상 및 시범실시 √

생산성 제고

2.1 농업지도 서비스의 분권화 √

2.2 농업연구 체계의 분권화 √

2.3 농업교육 체계의 강화 √

2.4 효율적, 지속가능한 적정규모 농지의 농장운영 √

2.5 관개 확대 및 개선 √

2.6 농자재 접근성 확대 √

2.7 종자관련 정책 집행 √

2.8 비료 공급 √

2.9 가축 사료 개선 √

2.10 기계사용 선택 제고 √

2.11 농민의 (재해 손실 후) 회복력 개선 √

2.12 지속가능한 농업, GAP, GMP, GVAHP 채택 √

2.13 산림개발 √

수익성 있는 상업화

3.1 투자환경 개선 √

3.2 상업농을 위한 계약영농 √

3.3 상업농 지원을 위한 세제 정책 √

3.4 농업금융 및 보험 √

3.5 경쟁력 있는 농업 가치사슬 √

3.6 농촌도로 네트워크 확대 √

3.7 농업시장 정보 제공 √

3.8 농촌전력화 및 재생가능 에너지 보급 √

경쟁력 강화

4.1 시장 인프라 개발 √

4.2 중소규모 농기업체 성장 √

4.3 농식품 수출 성장 √

4.4 식품 품질 및 안전성 제고 √

자료: GON(2016a: 177-178)을 토대로 저자작성.

문서에서 세계농업 (페이지 71-80)